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속품
부분품
부속부붐
부속물
부대물
재료
부속
뉴스
"
부품
"(으)로 총 2,178건 검색되었습니다.
잘 휘면서 정보 오래 보관하는 유기메모리 소자 개발
2014.12.21
기판에 이용해 만든 유기메모리 소자는 잘 휘어진다는 점에서 웨어러블 기기에 적합한
부품
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정보를 오래 보관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진은 정보가 저장되는 금 나노입자 표면을 나노실리카 껍질로 감싸는 방식으로 정보저장능력을 높이는 데 성공했다. ... ...
1000분의 1초만에 안경 도수가 바뀐다고?
2014.12.19
넣고 빼는 과정에서 모양을 변하게 만든 것이다.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펌프나 모터 등
부품
이 추가로 필요해 안경 렌즈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ETRI 측은 이런 방법 대신 ‘전기활성폴리머’라는 압전소자에 주목했다. 압전소자는 힘을 주고 누르면 전기가 발생하고, 반대로 전기를 흘리면 ... ...
성공의 비결은 조화와 노력
동아사이언스
l
2014.12.18
운명인 것 같았다. 실험실에서 - 오미혜 센터장 제공 직장 생활도 물 흐르듯 자동차
부품
연구원에 들어가게 된 과정도 운명처럼 자연스러웠다. 석사 시절 진행한 2차 전지 연구가 90년대 중반 붐을 이뤘던 전기자동차에 대한 관심과 맞물리며 입사하게 된 것이다. 그렇게 들어온 직장 생활이 ... ...
‘2014 올해의 여성과학기술자상’ 함시현-임혜숙-유향숙
2014.12.15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공학 부문 수상자인 임 교수는 차세대 인터넷 통신망 장비의 핵심
부품
인 패킷 전달 칩(엔진)의 고속화를 위한 알고리즘과 하드웨어 구조를 개발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임 교수는 칩에 내장된 작은 메모리로 가능한 한 많은 연산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만들어, 칩의 외부 ... ...
2014년 올해의 10대 과학기술 뉴스
2014.12.14
차량 주행 상황에 따라 기어를 변경할 수 있도록 2개의 클러치를 움직여주는 핵심 구동
부품
이다. 이 모터가 장착된 듀얼클러치 자동변속기는 일반 자동변속기 대비 약 12%, 수동변속기 대비 약 5%의 연비 개선 효과가 있어 유럽 등 선진 시장을 중심으로 주목받고 있다. 희토류를 사용하지 않는 ... ...
2020년 향해 나로우주센터는 업그레이드 중
2014.12.12
나로호 발사와 별개로 2010년부터 꾸준히 조성되고 있었다. 한국형발사체에 필요한
부품
을 개발하고 시험하려면 총 10종의 시험설비가 필요한데, 먼저 시급한 6종이 올해 완공됐다. 앞으로 세워질 시험설비는 4종으로, 75t급 엔진을 개발한 뒤 지상에서 연소하는 시험설비와 고공의 진공 환경에서 ... ...
항공기 만들던 기술로 국산 자동차
부품
만들었다
2014.12.10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이 기술은 공정이 간단해지고
부품
설계자가 원하는 모양으로
부품
을 제조할 수 있어 자동차 전체 무게를 줄이는 데 보탬이 된다”고 말했다. ... ...
배터리 없는 ‘진정한 인공와우’ 나온다
2014.12.03
건 이번이 세계적으로도 처음이다. 연구팀은 이 소자를 개발하기 위해 초소형 전자
부품
을 사용해 와우 속에서 소리의 높낮이를 분리해 주는 ‘유모세포’의 기능을 모방했다. 귀로 들어온 소리를 높낮이에 따라 분리한 것이다. 이렇게 생긴 신호를 압전소자(소리의 압력을 전기신호로 바꾸는 ... ...
‘합금만 쓸모 있다’던 상식 깬 순수 타이타늄 등장
2014.12.03
역시 일반 타이타늄보다 30% 이상 향상됐다. 또 순수 타이타늄을 이용한 만큼 이를 만든
부품
을 회수해 재활용하기도 쉽다. 박 박사는 “이번 연구로 우수한 성능의 타이타늄 소재를 싸게 공급할 수 있게 됐을 뿐 아니라 환경적인 부분에서도 긍정적인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 ...
미래 에너지 ‘핵융합’, 한국
부품
으로 첫 단추
2014.12.02
KAT), 넥상스코리아, 포스코특수강 등 국내기업들이 참여해 6년에 걸쳐 개발했다. 이
부품
은 전기저항이 전혀 없는 초전도 물질을 지름 0.82mm 정도로 가늘게 뽑아낸 ‘선재’를 다발로 엮어 만든다. 이번에 조달한 초전도 도체는 지름 43.7㎜의 스테인리스강 튜브 안에 지름 0.82㎜짜리 초전도 선재 90 ... ...
이전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