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속품
부분품
부속부붐
부속물
부대물
재료
부속
뉴스
"
부품
"(으)로 총 2,178건 검색되었습니다.
갤럭시s6 탁자에서 충전?… 앞으론 자동충전 세상온다
2015.03.05
집안 어디서나 전선 없이 전자제품을 쓸 수 있고 휴대전화도 충전할 수 있게 된다. - 전자
부품
연구원 제공 《퇴근길 주머니 속 스마트폰에서 경고음이 울렸다. 배터리가 5%도 채 남지 않았다는 신호다. 하지만 김 과장은 집에 도착해 충전 케이블을 꽂지 않고 주머니에 넣어둔 채 재킷을 옷걸이에 ... ...
[3월 운영, 경주 방폐장 르포] 지하 130m 거대 ‘사일로(silo)’에 묻혀
2015.02.25
계획이 수립된 지 30년 만에 가동을 앞두고 있다. 국내 원전에 임시 보관 중이던 원전
부품
과 작업복 등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12만 드럼이 올해 5000드럼을 시작으로 순차적으로 옮겨진다. 드럼 하나는 200L다. 본보 기자가 경주 방폐장 시연 현장에서 ‘폐기물 로드’를 분석했다. 동아일보DB ... ...
글라이더로 인공위성 쏘아 올리는 세상 온다
2015.02.16
GALS 프로젝트 수석 엔지니어는 “이번 실험은 글라이더와 항공기를 연결하는 각종
부품
의 부하를 측정 한 것”이라며 “조만간 글라이더의 날개와 전체 탑재물에 걸리는 부하를 측정하는 실험을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
‘메이드 인 코리아’ 인공위성 컴퓨터 2017년 우주로
2015.02.15
성공한 케이스다. 이 센서는 군사용으로 활용이 많이 돼 수출입이 엄격히 제한된
부품
이다. 인공위성이 원하는 지역을 촬영할 때 이 센서가 정확히 자세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위성이 임무를 수행하는 데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정부는 2017년 발사 예정인 100kg ‘차세대소형위성’에 ... ...
3D 프린팅 넘어 ‘4D 프린팅’ 온다
2015.02.13
과학계는 3차원(3D) 프린팅을 넘어 ‘4D 프린팅’ 연구가 한창이다. 4D 프린팅의 핵심은
부품
설계도를 3D 프린터에 넣고 출력하면 스스로 조립된다는 것. 물체가 스스로 조립된다는 점에서 3D 프린팅보다 한 단계 진화했다. 특히 최근 4D 프린팅 연구에서는 한국인 과학자들이 대거 활약하고 있다. ... ...
[소재
부품
强國으로]나일론… 플라스틱… 신소재가 산업 패러다임 바꾼다
동아일보
l
2015.02.11
이어지고 있는 글로벌 경제침체 속에서도 우리 경제가 이만큼 버티고 있는 것도 소재
부품
산업의 지속적인 무역흑자 확대가 적지 않은 기여를 했다는 분석이다. 최윤호 기자 uknow@donga.com [화제의 뉴스] - 100억대 자택 내놓은 강덕수 회장, 왜? - 폈다 휘었다…TV, 내가 원한 만큼 구부려서 본다 - ... ...
SK하이닉스, 차세대 모바일용 D램 본격 공급
동아일보
l
2015.02.10
Mbps)의 속도를 내면서도 소비전력은 30%가 적다. 모바일용 D램은 스마트폰의 주(主) 기억
부품
인 램(RAM)을 만들 때 쓰이는 반도체다. 램 용량이 클수록 한꺼번에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양이 많아져 처리 속도가 빨라진다. 초고화질(UHD) 동영상처럼 크기가 큰 콘텐츠는 용량이 작은 램에서는 재생하기도 ... ...
국산 해상풍력발전용 기술, 세계적 인증 쾌거
2015.02.03
5MW급 변압기다. 풍력발전용 변압기는 전력 품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부품
인데, 특히 해상에서는 온도변화와 염분 같은 극한 환경을 견뎌야 하기 때문에 개발에 더 많은 기술이 필요하다. 이번에 연구진은 효율이 세계 최고 수준에 맞먹는 99.1% 수준이면서도 부피는 30% 가까이 줄인 ... ...
선진국 독식하던 자동차 핵심
부품
국산화 이뤘다
2015.02.02
자동차업계 숙원인 터보차저 휠 국산화의 길을 연 것”이라며 “우리나라도 경량 내열
부품
소재 분야에서 세계적인 선도그룹이 될 수 있는 길이 열렸다”고 말했다. ... ...
경주 방폐장 3월부터 운영한다
2015.01.31
수 있게 됐다. 경주 방폐장에는 원자력발전소나 병원 방사능시설 등에서 사용한 장갑,
부품
등 비교적 오염이 덜 된 방사성폐기물이 저장된다. 국내에서는 1978년 고리 원전 1호기가 상업운전을 시작한 이후 37년간 200L 드럼통 13만 개에 해당하는 중·저준위 폐기물이 발생했다. 지금까지 처리시설이 ... ...
이전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