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과"(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 디자인으로 공간의 마음을 훔쳐라 (황지은 서울시립대 건축학부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하지만 운명이 바뀌는 계기가 찾아왔다. 주거환경학에서도 환경심리학이나 사회학과 관련된 주제를 연구하기로 마음먹고 있었는데, 대학원에 입학하기 보름 전 집에 불이 났다. 가지고 있던 많은 게 불에 타 사라졌다. 연구실 생활을 할 형편이 안 됐다. 어쩔 수 없이 첫 학기는 연구실은 가지 않고 ... ...
- 바다 소용돌이, 우주의 블랙홀과 닮았다?!수학동아 l2013년 11호
- 소용돌이의 정확한 경계를 알아내지 못했기 때문이다.하지만 연방공과대 비선형동역학과 조지 할러 교수팀은 물을 수송하는 소용돌이의 경계를 찾기 위해 남대서양에서 발견한 지름 150km의 거대한 바다 소용돌이를 오랜 기간 동안 위성을 통해 관찰했다. 그 결과, 카오스의 형태로 움직이는 복잡한 ... ...
- 밤늦게까지 놀기 좋아하는 아이 그냥 놔뒀다간…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생활지도가 필요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영국 유니버시티 컬리지 런던 역학및공중보건학과 이본느 켈리 교수팀은 3~7세 어린이가 불규칙한 수면습관을 갖고 있거나 잠이 충분하지 못할경우 대인관계에 문제가 생기거나 품행장애까지 일으킨다는 사실을 밝혀냈다.연구진은 3살, 5살, 7살의 영국 ... ...
- 남들이 하지 않은 길을 찾아 희열 느낀다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현택환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이라는 과학 4과목을 배우면서 ‘화학자가 되겠다, 서울대 화학과에 꼭 가겠다’는 결심을 했다. 외우는 것을 잘 못했던 그는 생물과 지구과학은 암기과목과 다름 아니어서 일찌감치 전공 대상에서 제외했고, 물리는 재미있기는 하나 마음이 가지 않았던 것. 그렇지만 ... ...
- 자동차의 ‘왕발’이 되다 (김필수 대림대학교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덕목 김 교수는 학생들에게 기본적 예의와 성실과 끈기를 강조한다. 대림대 자동차학과 입시 경쟁률은 상당히 높다. 그래서 그는 아이들을 평가할 때 성적보다는 성실함과 끈기를 본다. 성실함과 끈기를 갖추면 언젠가는 성공한다는 게 이유다. 요즘은 예의도 많이 강조한다. “또 하나 하고 싶은 ... ...
- 초기 인류의 ‘족보’ 전면 수정되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족보’를 전면적으로 수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미국 하버드대 인류진화생물학과 크리스토프 졸리코퍼 교수는 유럽과 아시아의 중간에 위치한 나라 조지아의 드마니시 지방에서 2000년과 2005년 각각 발굴한 180만 년 전의 인류 두개골과 턱뼈 화석의 생김새를 연구했다. 두 화석은 원래는 ... ...
- [life & Tech] 공감 길러주는 책 따로 있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집단괴롭힘으로부터 스스로를 효과적으로 방어할 수 있다는 것이다. 허태균 고려대 심리학과 교수팀이 집단괴롭힘 가해학생과 피해학생의 공감 능력을 조사한 결과 가해 학생은 정서적 공감 능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고 피해학생은 인지적 공감 능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적 공감 ... ...
- 나를 키운 건 팔할이 소변이었다 (정희선 전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원장 / 충남대 분석과학기술대학원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왠지 비슷해 보이는 제약학과에 눈을 돌리게 했다. 평소 친하게 지내던 선배가 제약학과를 추천해 준 것도 영향이 컸다. 정 원장은 “제 경험때문인지 중, 고교 시절에 진로에 대한 다양한 체험을 해보거나 조언을 들어보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특히 요즘에는 TV의 영향력이 큰 것 같다”고 ... ...
- 우리 땅에 ‘바이오디젤’을 뿌리 내리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얻어내는 ‘생물화학공학’을 공부하기로 하고, 미국 리하이(LEIGHT) 대학교 ‘생물화학공학과’를 택했다. 미생물의 생명현상과 화학적 처리는 물론, 이런 과정을 기계적으로 제어하는 공학기술까지 함께 배우는 융합 학문이다.리하이 대는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 베슬리헴(Bethlehem) 에 자리하고 있다 ... ...
- 금융 IT 산업, 새 시대를 열다! (유시완 하나은행 정보전략본부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사설 학원에서 프로그램 언어를 배우고, 시간을 쪼개 전략적으로 개론 위주의 전산학과 수업도 들었다. 수학이 눈에 보이지 않는 추상적인 학문이라면, 전산학은 논리를 바탕으로 생각을 시각적으로 드러내는 학문이었다. 논리의 흐름을 계속 공부하면서도 과정과 결과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으니, ... ...
이전1931941951961971981992002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