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정
한정
특별
d라이브러리
"
특정
"(으)로 총 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배다해와 장재인의 노래 비법이 궁금해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목소리 스펙트럼은 모음을 발음하려고 혀, 입술의 위치와 입의 벌림을 다르게 할 때
특정
음형대 가 나타난다. 하지만 조음기관만 움직여서는 나올 수 없는 주파수에서 강한 음형대가 나온다. 남 교수는 “이 부분을 활용하면 소리를 크게 내는 것과는 다른 강한 전달력을 얻을 수 있다”고 ... ...
2000년 찰스 주커 교수의 쓴맛 수용체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그 추측이 맞은 것일까. 영양분인 단맛이나 감칠맛은 포도당이나 글루탐산나트륨처럼
특정
한 구조만을 인식하면 되지만 쓴맛은 다양한 구조를 인식해야 한다. 몸에 독이 되는 물질이 한두 개가 아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왜 우리는 다양한 쓴맛을 느끼지 못하고 그저 ‘쓰다’고만 느끼는 걸까 ... ...
“세계 비소 오염 우리가 책임집니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정도와 원인이 다르기 때문이다. 동남아시아의 경우 토양 자체에 비소가 많기 때문에
특정
지역만 집중 관리할 수 없다. 되도록 그곳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광물, 식물, 미생물을 활용해 비소를 처리하려고 한다. 만약 우리나라의 미생물을 그곳 환경을 생각하지 않고 적용한다면 2차 환경 오염 ... ...
모의평가와 EBS 꼼꼼히 분석해야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그리 많지 않다. 그동안 문제에서 다룬 대표적인 앙금을 이해하고 있으면 충분하다.
특정
단원에 대한 개념을 정립했다면 그에 해당되는 연습문제를 풀어보는 게 좋다. 예를 들어 물 단원의 개념을 정리했다면 물에 대한 기본문제와 기출문제만 집중적으로 공략하는 게 효과적이다. 고난도 문제가 ... ...
Part 8. 한국 수학의 밤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4차원 공간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어떻게 밝혔는지를 강연하실 거래. 4차원 공간에서
특정
한 성질을 가진 공간을 찾는 연구를 하시는데 2007년, 오목하게 휘어진 4차원 공간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찾으셨대. 이 이전에는 원처럼 볼록한 공간이 있다는 것만 알려져 있었다고 해. 2010 인도 하이데라바드 ... ...
특별기획 2011학년도 자사고 진학 가이드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학습 과정과 비교과 활동사항을 항목별로 잘 정리하는 게 중요하다. 또 지원 학교의
특정
을 잘 이해하고 있다는 사실이 드러나는 것이 좋다. 학업계획서나 자기소개서 작성시 지원 동기와 이유를 분명하게 밝히도록 하자.각종 경시대회나 인증 성적표는 제시할 수 없으나, 자신의 목표를 위해 참여한 ... ...
PART 2 수학이 없는 학교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잰 것이다.우리가 평소 이용하는 지도는 수학적으로 모든 면에서 정확하진 않더라도
특정
기준에서는 정확하다. 그런데 수학이 사라지다 보니 이것마저 엉망이 된 것이다. 이처럼 지도는 수학을 기본으로 그려야 우리가 믿고 쓸 수 있다.산의 높이를 모른다면?어디가 가장 높은 산인지도 모를 뿐더러 ... ...
세계가 들썩이는 산업비타민 전쟁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예상되는 금속원소’라고 정의한다. ‘극소수 국가에 매장과 생산이 편재돼 있거나
특정
국에서 전량 수입해 공급에 위험이 있는 금속원소’라는 설명도 덧붙여 있다.설명 그대로 희소금속은 일부 국가가 거의 독점하고 있다. 철이나 구리 등 광물에 비해 매장량이 부족한데다 그나마 80%는 중국, ... ...
'사랑의 매'가 효과 없는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않음으로써 체벌을 당하지 않는 보상을 얻는다. 즉 싫어하는 자극(체벌)을 없애 줌으로써
특정
행동(떠들지 않음)을 유도하는 ‘부적 강화’로 처벌과는 다르다. 김성일 교수는 “부적 강화의 효과를 얻는 것은 체벌을 당한 학생이 아니라 체벌을 당하지 않은 나머지 반 학생들”이라며 “체벌이 ... ...
초파리의 짝짓기에서 인간의 뇌를 보다 - 분자신경행동학 연구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초파리의 ‘이중 교미’를 막는 성단백질은 일종의 ‘열쇠’다. 암컷의 몸속에 있는
특정
한 수용체 즉 ‘자물쇠’와 맞물려야 암컷이 더 이상 교미를 하지 않도록 뇌에 신호를 보내기 때문이다. 김 교수는 2008년 오스트리아 비엔나에 있는 분자병리학연구소에서 초파리에 대해 연구하다 이 자물쇠를 ... ...
이전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