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정
한정
특별
d라이브러리
"
특정
"(으)로 총 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1991년 사이먼 르베이 박사의 동성애자 뇌구조 차이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무엇이 이런 차이를 유발할까. 동물을 대상으로 한 여러 실험 결과 태아의 발달과정의
특정
시기에서 분비되는 남성호르몬의 양과 분포가 성적 취향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요인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사람의 경우 남성호르몬은 테스토스테론인데, 뇌가 발달할 때 테스토스테론이 부족하면 INAH3가 ... ...
Photos as Memories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끄집어내는 곳이다. 해마의 손상은 기억상실을 가져오지만, 이때 손상되는 기억은
특정
한 종류의 기억뿐이다. 대부분의 기억상실 환자처럼 클레어의 ‘절차기억’은 잘 작동한다. 예를 들어 그녀는 운전하는 법을 기억하며 (레슨받은 경험 자체는 잊어버리겠지만) 그녀가 원한다면 피아노를 ... ...
Part 2. 과학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교수는 1998년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실었던 논문을 철회했다. 1998년의 논문은
특정
경혈에 침을 놓았을 때 뇌의 일부가 활성화됐다는 내용이었다. 그러나 8년 뒤 조 교수는 후속 연구 결과 경혈과 상관없는 곳에 침을 놓아도 똑같이 뇌가 활성화됐다며 원래 논문을 철회했다. 침을 찔렀을 때 ... ...
과거가 없는 현재, 현재가 없는 미래는 없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극단적인 사상을 내세우는 공산주의자나 사회 전복을 꾀하는 혁명가조차도 과거의
특정
시스템을 좀 더 발전시키는 형태로 이론을 만드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과거를 부정하는 경우에도 ‘반면교사’로 삼는 경우가 흔하다. 대가일수록 사상적 스승이 반드시 있고, 제자의 성공이 있으면 영향을 ... ...
맞춤의학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게놈 데이터를 이용해 항암제를 개발하면 유형별 맞춤 항암치료시대가 열릴 것이다.
특정
한 메커니즘으로 생기는 암을 치료하는 항암제는 이미 나와 있는데 폐암 치료제인 이레사가 대표적인 예다.차의과학대 암연구소 김성진 소장은 “폐암 가운데 EGFR이란 성장인자수용체의 돌연변이가 원인인 ... ...
Part 1. 한의학은 과학이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적절한 조합으로 썼을 때 약효가 가장 탁월했다. 김 박사는 “서양 의학은 약효가 있는
특정
성분을 추출해 약물로 쓰는 걸 선호하지만 꼭 그럴 필요는 없다”며 “국내 한 제약회사는 애엽(쑥) 추출물을‘천연물 신약’(위염치료제)으로 만들어 1000억 원 대의 연매출을 올리고 있다”고 덧붙였다. ... ...
이 시대 진정한 미인은 누굴까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본다. 전문의들은 성형중독을 신체이형장애(객관적으로 외모에 문제가 없는 사람이
특정
부위에 집착해 고치고 싶어 하는 장애) 로 설명하기도 한다. 전 교수는 “신체이형장애가 심각한 성형중독으로 이어지면 같은 부위도 맘에 들 때 까지 수술을 여러 번 받거나 자해나 자가 시술을 시도하기도 ... ...
세계의 과학문화에 도전하라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어디에서든 급격하게 추락하고 있다.기술적 진보로 무한대의 채널이 가능한 상황에서
특정
채널이 시청자를 큰 폭으로 점유하는 일은 원천적으로 불가능한 상황이다. 그런데 놀랍게도 월간 잡지는 세계 어디에서나 계속 증가하고 있다. 이것은 잡지시장이 계속 넓어지고 있다는 것을 말한다. 왜 ... ...
탄소 중매쟁이 노벨상 거머쥐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뿐 자체가 반응해 생성물에 포함되지는 않는다. 팔라듐촉매의 경우 두 분자에 있는
특정
탄소가 서로 결합하게 도와준 뒤 빠져나와 다음 반응에 참여한다. 화학반응에서 촉매를 소량만 써도 되는 이유다.그렇다면 도대체 팔라듐(Pd)은 어떤 원소이기에 이런 환상적인 작용을 할까. 1802년 영국의 ... ...
2000년 찰스 주커 교수의 쓴맛 수용체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그 추측이 맞은 것일까. 영양분인 단맛이나 감칠맛은 포도당이나 글루탐산나트륨처럼
특정
한 구조만을 인식하면 되지만 쓴맛은 다양한 구조를 인식해야 한다. 몸에 독이 되는 물질이 한두 개가 아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왜 우리는 다양한 쓴맛을 느끼지 못하고 그저 ‘쓰다’고만 느끼는 걸까 ... ...
이전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