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자기
디지털
디지탈
digital
전기
전자껍질
껍질
d라이브러리
"
전자
"(으)로 총 5,848건 검색되었습니다.
노벨상 수상자의 4가지 비결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날아든 푸른곰팡이에서 병원성 세균을 치료하는 항생제 페니실린을 발견한 플레밍,
전자
를 금속에 충돌시키는 실험을 하다 투과력이 엄청난 X선을 발견한 뢴트겐 등 우리는 “유레카”를 외치며 갑작스런 기회나 예상치 못한 방법으로 우연히 발견한 과학이야기를 종종 듣곤 한다.여기서 한 가지 ... ...
자동차
전자
공학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현대인들이 살아가는 데 자동차는 필수품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사회가 산업화되면서 인간과 함께해 온 자동차. 앞으로 어떻게 진화할까? 미래 자동차를 개발하는 ‘자 ... 적용할 수 있다.
전자
및 소프트웨어 기술을 활용하는 대부분의 회사에서도 자동차
전자
공학을 필요로 한다 ... ...
그래핀의 변화 모습 눈으로 본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사이에 스며든 형태를 관찰할 수 있었다.김근수 교수는 “그래핀 표면에서 일어나는
전자
구조의 변화나 결합에너지의 힘을 구체적으로 측정해 낸 것은 처음”이라며 “이번 연구는 그래핀과 다른 물질을 합성할 때 필수적인 ‘도핑 기술’을 개발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이 연구 ... ...
생체신호 감지 인공피부 개발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팔에 붙이면 마치 문신처럼 떨어지지 않으면서 심장박동과 체온, 근육의 움직임, 뇌파를 측정할 수 있는 ‘
전자
피부’가 개발됐다. 김대형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가 개발한 이 피부는 앞으로 생체 데이터 측정기술과 원거리 전송기술을 더해 원격측정 의료기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
별과 생명체의 씨앗 우주먼지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밝을 것이다. 먼지가 빛을 흡수하거나 산란시키기 때문이다.[➊ 행성간 우주먼지의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 작은 씨앗(grain)이 여럿 뭉쳐 수 마이크로미터까지 자랐다.➋ 허블우주망원경이 찍은 말머리성운. 짙은 먼지가 성운 너머에서 지구로 향하는 빛을 막은 결과 검은 얼룩처럼 보이는데 우연히 ... ...
아시아 이공계 대학이 뜬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기초를 다지고 있다. 덕분에 이공계 인력에 대한 수요도 크게 늘었다. 박영준 서울대
전자
공학부 교수는 “영국을 비롯한 유럽지역에서는 계속해서 제조업과 산업시설이 해외로 이동하면서 덩달아 이공계 지원도 감소하는 추세지만 산업체가 집중된 아시아는 이공계 중점대학에 대한 지원이 ... ...
전력시스템공학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공학과 전력을 계산하기 위한 수학, 그리고 컴퓨터, 신재생 에너지,
전자
기기를 익히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 역사와 사회에 대한 관심을 가져야 한다. 전력시스템공학은 인류의 삶을 변화시키는 정책과도 연관돼 있으므로 넓은 시각을 갖고 있어야 한다. ... ...
PART 1. 공진은 무서워?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공진을 이용하는 사례가 맞다. 몸을 구성하는 물 속에는 수소 원자핵이 있다. MRI의
전자
기파가 수소 원자핵과 공진을 일으키면 수소 원자핵이 진동한다. 그때 진동을 멈추고 수소 원자핵이 원래 상태로 돌아갈 때 나오는 신호를 측정한다. 자기나 마이크로파 공진을 이용해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 ...
DNA벽돌로 나노 만리장성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본 종이비행기 형태의 DNA 오리가미를 가지고 만든 다양한 나노 구조물들(아래 두 줄은
전자
현미경 사진). 오리가미 표면의 미세구조를 어떻게 설계하느냐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결합한다.]생명체의 유전정보를 담고 있는 생체분자인 디옥시리보핵산(줄여서DNA)이 나노 구조물을 만드는 재료로 ... ...
세계에서 가장 밝은 빛 쏜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배 가까이 긴 직선 모양을 하고 있다. 직선 형태로 900m를 달려 빛의 속도에 가깝게 가속한
전자
를 막판에 구부려 방사광을 발생시키는 방식이다. 모양과 구조는 새롭지만, 기존의 가속기와 기초 원리는 똑같다. 3세대의 경험을 바탕으로 4세대를 만들 수밖에 없는 이유다.“우리는 장밋빛 전망 같은 ... ...
이전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