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자기
디지털
디지탈
digital
전기
전자껍질
껍질
d라이브러리
"
전자
"(으)로 총 5,848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노 세계의 중심에서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업무를 수행 중이다.]는 학부와 대학원에서 금속 및 재료공학을 전공했다. 2000년에는 삼성
전자
반도체 사업부에 입사해 반도체 공정 개발 업무, 그 중에서도 화학적·기계적 연마(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공정을 개발했다. 이때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하면서 좀 더 체계적인 접근법과 이론적, 학문적 ... ...
반도체공학 및 전기화학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선택하면요?반도체는 거의 모든
전자
제품에 사용되기 때문에 취업의 길은 다양하다.
전자
회사 외에도 차세대 에너지에 관심이 많은 정유 회사나 에너지 회사에 입사할 수 있다. 또한 원자핵 연구소를 비롯한 국·공립 연구소에도 간다 ... ...
불굴의 탐사선 하야부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희귀가스를 만들 수 있다.만약 소행성에서 채취한 물질에서 희귀가스가 발견된다면
전자
인지 후자인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산소 동위원소처럼 희귀가스 역시 생성 기원에 따라 고유한 동위원소비를 보여준다. 이토카와 물질에서 발견된 희귀가스는 주로 태양풍에서 왔다. 희귀가스 중에서 표면에 ... ...
혈당 알리는 문신에서 거미줄로 만든 피부까지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이 연구는 과학학술지 ‘사이언스’ 8월 12일자에 실렸다. [“피부 껍질 아니에요”
전자
피부는 판박이 문신처럼 피부에 붙였다가 쉽게 떼어낼 수 있다.] [‘손 안에 든 키패드’. 우리 몸은 부위마다 두드릴 때 나타나는 소리의 파장이 다른데, 이를 이용하면 우리 몸을 키패드로 활용할 수 ... ...
PART 2. 노벨상을 부르는 수학의 힘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전자
현미경으로 알루미늄과 망간 합금을 연구하다가 합금의 구조를 알려주는
전자
의 회절패턴이 10각형 모양으로 나타나는 걸 발견했다. 이론과 다른 결과에 그는 실험을 계속했다. 하지만 합금이 5각형 대칭구조라는 사실만 확실해졌을 뿐이다. 수학적으로 10각형이나 5각형은 규칙적인 반복구조를 ... ...
스티브 잡스는 어떻게 시대의 아이콘이 되었나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거라는 부정적인 전망이 쏟아졌다.하지만 아이패드는 발매된 지 8개월만에 8000만 대라는
전자
기기 역사상 가장 빠른 속도로 팔렸다. 잡스가 혁명적인 제품을 내놓을 때마다 이렇게 혹독한 비판을 받아야 했던 것은 사람이 보수적인 동물이기 때문이다. 인간은 과거를 통해서 미래를 보기 때문에 정말 ... ...
뇌는 알고 있다 오르가슴의 비밀을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활성화되는 모습을 연구하기 위해서라면 성행위 도중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이나 양
전자
방출 단층촬영(PET) 같은 장비를 사용해 뇌의 변화를 조사해야 하지만 이처럼 용감한 학자는 아직 없었다. 하지만 성적 쾌락이 주로 대뇌 안쪽 부분인 변연계(감정과 기억을 담당하는 대뇌 반구 안쪽 영역)를 ... ...
‘구리실 반도체’ 더 작게, 더 빨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개발해왔다. 전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속도가 중요하지 않았지만
전자
기기의 데이터 용량은 커지고 부품 크기는 점점 작아지면서 그 속도도 중요해졌기 때문이다. 데이터 저장량이 많아지면 그만큼 처리속도가 빨라져야 한다는 뜻이다. 지금까지 사용해왔던 알루미늄만으로 감당하기엔 이미 ... ...
Part 3. ‘가장 완벽한 이론’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다양해졌다.“눈부시게 변한 것은 응용 분야입니다. 1930년대만 해도 휴대전화 같이 작은
전자
시스템이 가능할 거라 생각하지 못했어요. 하지만 트랜지스터를 거쳐 양자역학을 응용한 반도체가 개발되면서 불가능은 현실이 됐습니다.”양자역학은 이미 완성된 것 아닌가라는 질문에는 “절대 ... ...
가장 정확한 원자시계 나온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원자의 양자역학적 성질을 이용해 시간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고정된 궤도를 도는
전자
에 레이저를 쏘면 궤도 사이를 왕복하게 만들 수 있는데, 이것이 시계추 역할을 한다.연구를 이끈 얀 톰센 박사는 “이 원리를 이용하면 9억 년에 1초밖에 틀리지 않는 원자시계를 만들 수 있다”고 ... ...
이전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