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주"(으)로 총 6,895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알골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치더니 흐릿해지면서 사라졌다. 우리는 프로스페로의 집이자 연구실에 와 있었다. 우주식민지의 조립형 주택보다는 지구에 있는 리조트호텔에 훨씬 더 가까운 공간이었다. 그러나 그는 마음만 먹는다면 이곳에 자금성이나 피라미드를 복제할 수도 있을 터였다. 나는 이 집도 그에게 로봇 하인과 ... ...
- Part 1. 배트맨의 검은 배트슈트, 최소 두께 가진 최강 그래핀으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저궤도에서 활동하는 우주인의 우주복을 방탄 소재로 만들면 극초음속으로 날아다니는 우주쓰레기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첨단 방탄 재료가 지상의 모든 운송 수단에 사용될 날이 멀지 않았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저스티스리그 슈퍼 히어로의 무기Part 1. 배트맨의 검은 ... ...
- Part 5. 플래시 스피드포스 초소형 가속기 기술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같은 일을 과학계에서 해내고 있다. 양성자나 전자, 원자핵 등을 서로 충돌시켜 우리 우주의 기원을 연구하거나 물질의 속살을 파헤친다. 또 X선과 같이 파장이 매우 짧은 빛을 발생시켜 기존의 현미경으로는 도저히 볼 수 없는 극미의 세계도 열었다. ‘노벨상을 수상한 연구 5개 중 1개는 가속기를 ... ...
- Part 1. [물리학상] 100년 만에 중력파 존재 확인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이는 시작일뿐이다. 앞으로 중력파를 이용해 그 동안 광학 관측만으로는 볼 수 없었던 우주의 새로운 비밀을 파헤치고 이해하게 될 것이다. 정말 기대된다 ... ...
- Part 5. [노벨상 예측] 노벨상 제정 벌써 117년 향후 노벨상 탈 연구는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분석한 결과다.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 우주의 팽창률, 허블 상수 등 WMAP이 기존에 얻은 우주론적 매개 변수 등을 증명하거나 정정하는 성과를 올렸다. 화학상 : 조명과 차세대 배터리가 유망화학 분야에서는 ‘백색 발광다이오드(LED) 형광 소재’가 가장 주목할 만한 연구 분야로 꼽혔다. LED는 ... ...
- Part 1. 플라스틱 소라게가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수 있는 다양한 집들은 줄어들고, 대신인간이 버린 해양 쓰레기는 늘어났어요. 미국 항공우주국에서는 지금과 같은 추세라면 2025년까지 해양 쓰레기 총량이 무려 1억 5500만 톤에 달할 것이라 예측했어요. 이 정도면 전세계 해안을 따라 두께 30cm, 높이 30m의 쓰레기 벽을 쌓을 수 있는 규모랍니다.그 ... ...
- [Future] ‘ 마션 인 하와이 ’ 8개월의 기록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살던 집과 하던 일을 정리하고 가상의 화성으로 떠나기 위한 준비를 하면서, 진짜 먼 우주로의 여정에 나서는 것 같았다”며 “프로젝트 시작 전 느낀 흥분과 설렘, 긴장감에서 이미 화성 탐사는 시작됐다”고 썼다. 새뮤얼 페일러 대원은 글 대신 대원들이 생활하는 모습과 화성 기지 곳곳을 ... ...
- Part 4. [이그노벨상] 고양이는 고체일까, 액체일까?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대학생이 과학 연구에 관심을 더 가졌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한 씨는 현재 입자물리, 우주론, 군이론 등에 관심을 갖고 연구를 진행 중이다. 세 주제 모두 너무 재미있어서 향후 목표는 아직 정하지 못했다고. 커피와 음악에 대한 열정도 커서 언젠가 재즈 카페를 운영하는 것도 소원이란다 ... ...
- [Culture] 트라우마 극복법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미국 스탠퍼드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뒤 미국항공우주국(NASA)을 거쳐 KAIST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현재 미국 헬리콥터학회 부회 장, 한국 드론산업진흥협회 부회장이며 아시아·호주 헬리콥터 포럼 초대 회장을 역임했다. ‘지금이 내 인생의 터닝 포인트’, ‘인성본성탐구 및 인성본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세계여행 가장 싸게 하는 이동 경로는? 외판원 문제수학동아 l2017년 11호
- ×2×1로, 1049보다도 큽니다. 컴퓨터가 1초에 1억 개 경우를 처리한다고 해도 빅뱅으로 우주가 시작돼 현재까지 흐른 시간의 1023배 이상 걸리지요. 그래서 수학자와 컴퓨터과학자는 다양한 수학 기술을 동원해 문제를 풀고 있습니다. 첫 번째 의미 있는 결과는 1954년에 나왔습니다. 다양한 분야 ... ...
이전1921931941951961971981992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