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주"(으)로 총 6,89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미션 2] 태양풍을 관측해 대비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관측하던 SOHO 위성이 고장 나고, 많은 우주선들이 손상을 입었어요. 국제우주정거장의 우주비행사들도 방사선을 피해 안전한 지역으로 대피해야 했지요.이처럼 태양폭풍은 지구에 큰 피해를 줄 수 있어서 미리 예측하고 대비하는 것이 중요해요. 그러려면 태양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정확히 알아야 ... ...
- Part 2. [새 탐사선] 파커 솔라 프로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솔라 프로브는 2018년 7월 31일부터 8월 19일 사이에 미국 플로리다에 있는 NASA의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발사될 예정이에요. 최초로 태양 표면에 640만 km 이내로 접근해 코로나 영역까지 탐사할 계획이랍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미션 임파서블, 펄펄 끓는 태양을 탐사하라!Part 1. [탐사일지] ... ...
- Intro. 미션 임파서블, 펄펄 끓는 태양을 탐사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어과동 친구들 안녕? 나는 여름의 상징, 이글이글 불타오르는 태양이야. 그동안 지구인들은 내 비밀을 알아내려고 열심히 연구해왔어. 하지만 내가 너무 뜨거워서 가까이 다가올 수가 없었지. 그런데 얼마 전, 지구인들이 내게 도전장을 내밀었어. 내 표면 가까이 탐사선을 보낸다는 거야! 과연 성공 ... ...
- Part 3. [미션 1] 코로나의 수수께끼를 풀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이 파동이 태양 내부의 열을 코로나에 전달한다고 생각하고 있어요. 한국천문연구원 태양우주 환경그룹 김연한 연구원은 “전자레인지에서 발생하는 마이크로파가 물 분자를 진동시켜서 음식을 데우는 것처럼, 태양에서도 파동이 코로나 입자를 가열시킨다는 이론”이라며, “실제로 관측을 통해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부모님을 구출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갖고 있어 식물이 필요할 때 자동으로 물을 주거나 빛이나 온도를 조절해요. 앞으로 우주에서 샐러드를 먹을 날이 얼마 남지 않은 것 같죠?시원이는 얼른 하천을 건너 부모님께로 뛰어가 묶인 손을 풀어 드렸어요.“어떻게 된 거예요?”“근처에서 오 박사를 기다리다가 바나나 나무가 있기에 몇 개 ... ...
- [Origin] 빅뱅 우주론의 수호자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그럼 호킹이 이 문제까지 해결했을까. 김 교수는 “이 문제는 아직까지도 빅뱅 우주론이 풀지 못하는 숙제”라고 말했다. 하지만 호킹은 수학자 로저 펜로즈가 제안한 설명을 발전시켜서 이런 특이점이 나오는 것은 일반상대성이론에서 충분히 있을 수 있는 결과라는 사실을 증명했다. ... ...
- Part 2. 장난감 연구하는 수학자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적용되지 않는 지점을 ‘특이점’이라고 불러요. 특이점은 블랙홀 내부를 제외하고는 우주 어느 곳에도 없다고 알려져 있어요. 따라서 현실세계에서 오일러의 디스크는 영원히 돌지 않고 멈추는 거예요. 모팻 교수의 이 연구는 난기류에서도 하늘을 잘 날 수 있는 항공기를 설계하는 데 도움이 ... ...
- [과학뉴스] 지구 생명체 기원의 ‘미싱링크’ 찾았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교수는 “적절한 조건에서 인-질소 화합물을 만든 초기 광물이 있을 수 있다”며 “이미 우주의 성간 공간의 가스와 먼지에서 인-질소 화합물에 대한 증거를 발견했으므로 그 물질이 생명체의 단위 분자 출현에 역할을 했다는 것은 확실하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화학’ 1 ... ...
- [Culture]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은 인간의 마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참마음인 인간의 본성을 회복해 진짜 나를 찾는 것’이다. 필자는 그간 40년 넘게 항공우주공학만을 연구해온 전형적인 공학도였다. 우연한 기회에 명상을 하면서, 남들과 비교하는 마음이 없어지고 인간관계의 갈등과 스트레스를 해소했다. 삶이 편안해지고 여유로워지며 훨씬 행복해졌다. 이후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재미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과학, 인류학, 사회학 등 학문의 경계를 넘나들며 우주와 지구, 인류의 전체 역사를 살피는 ‘빅히스토리’와 유사한데, 한국 교수들이 자국 내에서 자발적으로 이런 연구회를 구성해 책을 펴내는 데까지 이르렀다는 점이 고무적이다. 그러나 여전히 서구 ... ...
이전1901911921931941951961971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