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볼"(으)로 총 10,57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긴급! 현장으로 출동하라, 재난&군사 군집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업그레이드 되는 등 계속 연구되고 있어요. 조만간 붕괴 현장에서 바퀴벌레 로봇을 볼 수 있겠지요? 은밀하게 침투해 정보를 획득하라! 바퀴벌레 로봇은 미지의 장소에 침투하는 군사용으로도 활용할 수 있어요. 바퀴벌레 로봇을 이용해 적진의 구조를 미리 알고 있으면 침투하기가 훨씬 ... ...
- [과학뉴스] 분해 안 되는 펩타이드 약물 개발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아미노산이 여러 개 연결된 형태로, 펩타이드 치료제는 소량으로도 효과를 볼 수 있어 차세대 약물로 꼽힌다. 단백질과 구조가 유사해 거부 반응이 없다는 것이 장점이지만, 혈액 내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해 분해된다는 한계가 있다. 연구진은 ‘이중 가교’ 기술을 통해 쉽게 분해되지 않는 ... ...
- [Culture] ‘팔뚝 요정’이 들려주는 팔씨름의 과학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가깝게 만든다. 팔 근육의 회전력을 극대화 하기 위해서다. 팔꿈치 관절을 회전축으로 볼 때 근육의 회전력은 근육의 힘(주로 상완이두근)과, 관절에서 힘의 작용선에 이르는 수직거리(모멘트 암)의 곱이다. 그런데 모멘트 암은 팔의 각도를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주먹을 테이블 가까이 ... ...
- [Origin] 불붙은 신경세포 생성 논란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중간 단계의 신경 전구세포들이 발견된다면 뉴런이 계속해서 생성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연구팀은 단계마다 세포에 붙을 수 있는 항체 마커를 이용했다. 어떤 마커가 붙는지에 따라 발광 색을 다르게 했다. 그 결과 휴지 줄기세포는 태어난 지 1년 동안 급격히 감소했다. 이후 13세까지 휴지 ... ...
- Part 2. 우주 기원부터 암 치료까지 라온이 이끌 연구 4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낮아진다. 박 교수는 “전자의 크기는 작은구슬, 양성자는 야구공, 중입자 같은 원소는 볼링공에 비유할 수 있다”며 “크기가 큰 중입자로 DNA를 직접 친다면 DNA가 다시 복구될 수 없을 정도로 산산조각 난다”고 설명했다. 중입자는 암세포가 위치한 지점에서 방사선량이 최고에 이르는 만큼 치료 ... ...
- [이투스교육] 입시에서 가장 중요한 전략은 ‘수능’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필요가 없다. 꼭 내신을 활용해야겠다면 일종의 요행을 바라면서 상향 지원을 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B는 내신 경쟁력에 적합한 학교에 꼭 합격해야 한다. 잘못된 입시전략으로 수시에 모두 불합격할 경우 본인의 내신경쟁력을 활용하지 못하는, 아마도 만족할 수 없는 대학에 지원할 ... ...
- [수학공작실] 정십이면체 플라워볼 달력 만들기수학동아 l2018년 06호
- 성필용 선생님은 ‘수학은 아름답다’라는 말에 의아해하는 아이들에게, 그 말에 공감할 수 있도록 함께 생각하고 이야기하며 접점을 찾으려고 노력하는 중학교 교사입 ... 면이 12개이니, 달력으로 만들어보면 어떨까? 그러면 지금부터 정십이면체 플라워볼 달력 만들기에 도전해보자 ... ...
- [Future] 국내 첫 과학기구, 스누볼 발사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완벽하게 이뤄졌으니, 나름대로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둔 발사였다. 독자들이 이 책을 받아볼 때인 5월 말쯤 필자는 다시 삼척에 있을 것이다. 바람 방향이 바뀌는 6월 전에 시험을 마무리하기 위해서다. 그 때는 완벽하게 성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이관중_kjyee@snu.ac.kr서울대 항공우주공학과(현 ... ...
- [Culture] 세상의 모든 사이비과학에 경고를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캐릭터는 이런 유사과학 광고를 대변한다. 안 씨는 “과학교육 전공자로서 과장광고를 볼 때마다 답답함을 느꼈다”며 “웹툰도 과학적 팩트를 알리는 수단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싶었다”고 말했다. 매주 25만 명의 구독자들이 유사과학 탐구영역을 통해 진짜 과학을 만나고 있다. 웹툰의 주 ... ...
- Part 3. 경주 양성자-포항 전자-대전 중이온, 의 좋은 ‘가속기 삼형제’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다르다”며 “X선 촬영은 세기가 약하지만 가속기는 빛을 강하게 쪼여서 물질 내부를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가동하자마자 ‘사이언스’에 논문 게재4세대 방사광가속기는 본격 가동을 시작하자마자 세계적인 성능을 인정받았다. 가동 이후 첫 연구자가 된 앤더스 닐슨 스웨덴 스톡홀름대 ... ...
이전1921931941951961971981992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