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
구
뽈
교회 점토
보울
빰
ball
d라이브러리
"
볼
"(으)로 총 10,57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5. 연구자와 대중 모두를 위한 ‘수학의 집’
수학동아
l
2018년 08호
노력하고 있습니다. 국가차원에서 학생들이 관심 있던 학교나 연구소를 견학하고 체험해
볼
수 있는 과학주간을 만들어 운영하기도 합니다. 2010년 필즈상 수상자 세드릭 빌라니가 소장으로 있던 푸앵카레연구소는 수학의 대중화에 힘쓰고 있습니다. 푸앵카레연구소는 청소년을 위한 다양한 ... ...
하나를 가르치면 '0’을 아는 벌
수학동아
l
2018년 08호
지름 1km 공간에 50m 간격으로 인공 꽃 5개를 배치해 벌의 경로를 추적했습니다. 50m는 벌이
볼
수 있는 범위의 3배를 넘는 거리이므로 눈으로 보고 경로를 선택할 수 없습니다. 벌은 여러 번 설탕물을 채취하러 다니는 동안 경로를 기억해 다음에 어떤 방향으로 움직일지 결정했습니다. 처음에는 긴 ... ...
[수학공작실] 마름모삼십면체 드림
볼
로 즐기는 공놀이
수학동아
l
2018년 08호
마름모삼십면체를 이용해 부풀린 구 모양의 드림
볼
을 만들어 보려 한다. 아프리카 아이들에게 보내는 구호상자에 절취선을 미리 그려놓으면, 구호상자로 드림
볼
을 만들 ... 소재로 만들어서 공으로 만들었을 때 아이들이 문제없이 공놀이를 즐길 수 있다. 이 드림
볼
을 직접 만들어 보자 ... ...
[과학뉴스] 2만km 여행한 남극산 다시마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생태계와 교류할 수 있다는 증거가 최초로 발견됐다. 일각에서는 생태학적 측면에서
볼
때 긍정적인 현상은 아니라고 우려하고 있다.세리드웬 프레이저 호주국립대 환경사회학과 수석연구원팀은 남극 대륙의 생태계가 지구상의 다른 지역과 격리되지 않았다는 최초의 증거를 찾아냈다고 ... ...
[Career] ‘하버드 공대 공부벌레들’과의 2주일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포토리소그래피가 반도체 공정에서 흔히 사용되는 기술인만큼 학생들이 경험해
볼
수 있도록 하버드대 측과 협의해 프로그램에 포함시켰다”고 말했다.하버드대 공대에서 선발된 5명 중 정 허(생명공학부 4학년) 씨는 “태양전지 셀을 직접 제작해보니 저비용으로 고효율 셀을 만드는 데 오랜 ... ...
[Culture] 과학으로 분석한 ‘낚시꾼 스윙’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내밀었다. 엄지 한마디가 반쯤 잘려 있었다. 그는 “오른손 때문에 악력에서 손해를
볼
수밖에 없다”며 “대신 온몸의 힘을 이용해 스윙 스피드를 확보한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최 프로는 이렇게 모은 힘을 이용해 강력한 타구를 선보인다. 불혹을 넘긴 나이에도 그는 300야드(약 274.32m)가 넘는 ... ...
[Career] 세상을 바꾸는 코딩에 도전하자, 넥슨 청소년 프로그래밍 챌린지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문제 난이도를 단계별로 제공한다. 프로그래밍을 처음 접하는 청소년도 부담 없이 도전해
볼
수 있도록 문턱을 낮췄다. 올해 NYPC 출제위원장인 김성민 넥슨 인텔리전스랩스 개발실장은 “지난해보다 문제 유형이 훨씬 다양해졌다”며 “특히 프로그래밍에 관한 전문 지식이 없어도 풀 수 있는 쉬운 ... ...
[과학동아 X KRISS]
볼
츠만 상수로 더 완벽해진 켈빈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그중에서도 스코틀랜드의 물리학자 켈빈 경(본명 윌리엄 톰슨)은 오스트리아의 루트비히
볼
츠만과 함께 열역학 분야의 개척자로 평가받는다. 켈빈 경은 1848년 온도의 기준으로 켈빈(K)을 제안했다. 켈빈의 가장 큰 장점은 열역학적 온도를 묘사하는데 용이하다는 것이다. 온도는 길이나 중량과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소프트로봇 연구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8호
생체모방 로봇과 소프트로봇 등 그동안 연구실에서 개발한 로봇들을 모두
볼
수 있어요.” 서울대학교 기계공학부 김석준 연구원을 따라 연구소로 들어서자 가장 먼저 오른편에 있는 로봇 전시장이 눈에 띄었어요. 이곳에는 길고 가느다란 다리를 뽐내는 소금쟁이 로봇과 바퀴벌레를 닮은 ... ...
Part 2. ICM 관전 포인트 넷
수학동아
l
2018년 08호
다른 연구소에서
볼
수 없는 낯선 광경이 자주 펼쳐집니다. 공부하는 초중고생을 흔히
볼
수 있다는 건데요, IMPA는 수학 인재를 기르기 위해 브라질 수학올림피아드에서 수상한 학생을 직접 가르치고 관리합니다. 교육과정을 학생 맞춤형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학생이 따라오기만 한다면 아주 어린 ... ...
이전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