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준비
차비
예비
대비
계획
설비
구입
d라이브러리
"
마련
"(으)로 총 3,511건 검색되었습니다.
살아 꿈틀거리는 미니 태양계 목성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선발대로는 성능이 입증된 파이어니어 탐사선을 개조해 2대(파이어니어 10호와 11호)를
마련
했다. 이 탐사선에는 10여개의 과학장비가 부착됐지만 이들의 주관측대상은 우주먼지, 방사능, 자기장 등 우주공간과 행성주변환경에 집중됐다. 1972년에 발사된 파이어니어 10호와 11호가 목성으로 가기 위한 ... ...
물리학 안경으로 통합되는 생명현상 생물물리학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구조를 밝히는데 혁명적이었던 물리학은 양자물리학을 통해 전자 산업혁명의 기초를
마련
해줬다. 그 결과반도체 혁명이 불러올 수 있었던 것이다. 21세기에는 물리학이 생명과학에 대한 체계적 이해를 가져올 뿐 아니라 신약개발, 의학, 생명공학처럼 생명 산업의 획기적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 ...
3. 진화생물학 받아들이는 성리학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기독교사상이 깔려있다. 즉 기독교사상은 과학이 크게 발전할 수 있도록 그 터전을
마련
해줬다.자연을 존중하고 신성시하는 고대종교와 달리 유일신을 섬기는 기독교는 신의 영광을 위해 인간에게 그 대리자로서 자연을 통치할 권한을 부여했다. 이 점은 고대사회에서 혁명적 발상이었다. 자연을 ... ...
연료전지 실용화하는 얇은 막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이동 메커니즘을 규명하는데 성공했다. 수 ng의 변화를 측정하는 나노과학의 기본 도구를
마련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이외에도 전기화학연구실에서 거둔 연구성과는 한두가지가 아니다. 곽주현 교수를 중심으로 자연과학의 입장에서 새로운 문제 풀기에 끊임없이 도전하는 전기화학연구실에는 ... ...
세계 종자시장에서 우위 차지하기 위한 출발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삽입기술을 통해 대량으로 벼 유전자의 기능을 분석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벼 DNA 풀을
마련
했다. 이제는 매년 1만개의 유전자 기능을 연구할 수 있게 됐다. 이 자료를 바탕으로 국내 벼 유전자 연구에 활력이 일어날 것이라고 최단장은 말한다.한편 최단장은 “해외 시장 공략을 위해서 발굴한 ... ...
위조방지기술의 결정체 화폐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방향에 따라 다르게 보이는 홀로그램 장치에 관심이 없다면 위조지폐도 그냥 지나치게
마련
이기 때문이다.또한 새 5천원권의 앞면 율곡 이이 초상의 오른쪽 공간에는 밝은 빛에 비춰보면 두개의 어두운 세로막대로 나타나는 은화바(Watermark Bar)를 넣었다. 이 은화바는 화폐의 위조방지장치로 널리 ... ...
2. 금강산댐 안전성 7대 의문점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댐의 누수는 안전에 치명적이기 때문에 누수문제에 대한 정확한 현황파악과 함께 대책을
마련
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지난 5월 14일 평양을 방문하고 돌아온 한국미래연합 박근혜 대표는 기자회견을 통해“김정일 국방위원장이 금강산댐의 남북한 공동 실태조사 제의를 받아 들였다”고 ... ...
유전자 감식으로 비행기 탑승자 신원 찾는다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필요한 한국인 유전자 분포를 얻었다.하지만 이 자료로 친자감별을 위한 자료가 다
마련
된 것은 아니다. 황교수는 법적, 생물학적으로 혈연관계로 확인된 한국인 2백41가족(2천4백31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했다. 이때 동원된 가족 구성원은 어머니, 아버지, 그리고 자녀 1명이었다. 이 결과를 ... ...
Ⅲ 각양각색 경기장 지붕에 숨은 의미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경제적으로 지어졌고 경쾌해보인다. 그러나 노골적인 가벼움은 아쉬움을 남기기
마련
이다. 필연적으로 홀쭉한 철의 초라함을 보완해주는 것은 풍성한 접합부인데 여기서는 무심히 처리됐다.미는 힘과 당기는 힘의 미학적 조화 - 울산 경기장여러모로 대전 경기장과 비교된다. 규모도 거의 같고 평면 ... ...
국내 최초 렌티큘러 표지 탄생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것처럼 보여서 그 그림을 손가락으로 눌러본 적이 있을 것이다. 이번 과학동아에서
마련
한 표지의 그림처럼 말이다.이같은 그림 카드를 ‘렌티큘러’(lenticular)라고 한다. 렌티큘러라는 말은 생소하지만, 이미 우리는 이 그림에 익숙해져 있던 셈이다. 그렇다면 렌티큘러 그림은 어떤 원리로 보는 ... ...
이전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