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d라이브러리
"
학과
"(으)로 총 3,084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에서 벌어지는 기상천외한 실험
과학동아
l
200308
1998년 일본 최대 화장품 회사인 시세이도는 이 업계의 누구도 상상하지 못한 기상천외한 계획을 발표했다. 미국 우주왕복선에 장미를 탑승시켜 우주에서 피는 장미의 향기를 포착한다는 내용이다. 그해 우주로 출발한 디스커버리호에는 정말 막 피어나려는 꽃봉오리 두개가 달린 장미 한그루가 동 ... ...
디지털 세상 최강의 방패 양자암호
과학동아
l
200308
양자정보이론을 극적으로 다르게 만든다.‘수줍은 소녀’양자양자역학을 고전역
학과
가장 결정적으로 다르게 만드는 것은 중첩상태에 대한 측정이다. 측정이란 대상의 상태를 알아보는 것을 뜻한다. 그런데 측정 대상이 미시적 물체인지 아니면 거시적 물체인지에 따라 측정의 양상은 완전히 ... ...
세계 암연구에서 우뚝 선 토종과학자 김규원
과학동아
l
200308
친구들은 약대에서 질병연구를 하는지 잘 몰랐다. 질병을 치료하는 과학자가 되려면 화
학과
나 의대를 간다고 생각했던 시절이다. 하지만 그는 달랐다. 어린 시절부터 그의 집 약국 일을 돌봐왔던 관리약사가 그에게 약이란 무엇인지, 질병을 치료하려면 어떤 과학자가 돼야 하는지를 설명해줬다.김 ... ...
신의 입자 검출하려는 노력
과학동아
l
200307
대학에서 동물학을 배우고 나폴리에서 발생학을 연구했다1870~82년 오데사 대학의 동물
학과
비교해부학 교수로 있었고, 83년 메시나에서 극피동물을 연구하는 도중 식세포 작용을 발견하고 이를 발전시켜 면역설을 제창했다기계의 통제부분에 마이크로컴퓨터 등 전자장치를 조합한 새로운 지능 ... ...
영화 매트릭스의 세계 실현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307
“서기 2199년 지구. 인간이 창조한 인공지능 컴퓨터가 인간을 지배하는 세계. 인간들은 태어나자마자 인공지능의 생명연장을 위한 에너지원으로 사용된다. 인간의 뇌에는 인공지능에 의해 만들어진 매트릭스라는 1999년의 가상현실이 입력되고 인간은 평생 이 가상현실 속에서 꿈을 꾸듯 살아간다. ... ...
머리카락 한올로 범인 나이 알아낸다
과학동아
l
200307
영국에 명탐정 셜록 홈스가 있다면, 프랑스에는 괴도신사 아르센 뤼팽이 있다. 깔끔한 실크 모자와 외눈안경, 단단한 지팡이와 근사한 망토 차림의 멋쟁이 신사. 졸부들의 값비싼 보석이나 미술품을 훔치고, 살인은 절대 하지 않으며, 도둑질을 예술의 경지로 끌어올린 현대판 로빈후드. 머리는 누 ... ...
지수귀문도 해결의 열쇠 유전알고리즘
과학동아
l
200307
있으나 세간의 관심을 본격적으로 끌게된 것은 최근 10년 동안이다. 유전알고리즘은 생물
학과
컴퓨터공학의 연관성을 일찌감치 감지한 존 홀랜드에 의해 시작됐다. 홀랜드는 병렬처리에 관한 논문으로 미국 최초의 컴퓨터과학 박사학위를 받은 사람이다. 재미있는 것은 최초의 컴퓨터과학 박사인 ... ...
1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새로운 인재상
과학동아
l
200307
한다는 것이다.현재 우리나라의 융합전문가 양성기관으로는KAIST의 바이오시스템
학과
가 있다. 정부는 신기술융합사업을 추진하면서 정부출연연구소와 대학이 연합한 정부출연연구소연합대학원대학을 설치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 ...
롱다리·똘똘이 유전자의 허황된 약속
과학동아
l
200307
일환으로 진행되고 있다. 연구의 총 책임을 맡고 있는 KAIST 사회
학과
윤정로 교수는 “지금까지 ELSI 연구의 1단계가 마무리됐다”며 “우리나라 생명공학이 세계적 수준인 만큼 이에 걸맞는 ‘ELSI’의 위상을 위해 앞으로 좀더 다양하고 체계적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힘쓰고 있다”고 말했다 ... ...
미항공우주국과 함께 하는 우주망원경 갤렉스
과학동아
l
200306
고추의 매운 맛을 보여준다고 할까.광시야 로봇망원경 프로젝트는 1998년 연세대 천문우주
학과
의 변용익 교수에 의해 기획된 작품이다. 기획 의도에 대해 변용익 교수는 “한국 천문학의 투자나 인력 환경이 열악한 상황에서 남들이 못하는 새로운 연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없을까 라는 고민에서 ... ...
이전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