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장소"(으)로 총 2,095건 검색되었습니다.
- 쥐의 웃음이 가득한 곳은?2014.11.16
- 제공 ◆ 동물을 깨닫는다 (버지니아 모렐 著, 추수밭 刊) 쥐의 웃음소리가 가득한 장소가 있다. 미국 워싱턴주립대 심리생물학과의 한 실험실이다. 이곳에서는 쥐를 간지럽히며 쥐의 감정상태를 연구한다. 실험이 시작되면 쥐들의 웃음소리가 실험실에 퍼진다. 하지만 사람은 그 소리를 듣지 ... ...
- "노벨상 원리, 장풍 알면 쉬워요"과학동아 l2014.11.15
- 적색 LED는 같은 원리로 백색 LED를 만들 수 없느냐”고 물었다. 올해 생리의학상 주제였던 장소세포와 격자세포의 차이를 설명하던 곽 교수에게 “철새는 특히 위치를 기억하는 세포가 발달했을 것 같은데, 연구한 논문이 있느냐”고 묻는 참가자도 있었다. 제15회 과학동아 카페에 연사로 참석한 ... ...
- 이-바퀴벌레-흰개미 중 가장 먼저 등장한 곤충은? 2014.11.09
- CERN)에서 운영하는 거대강입자가속기(LHC)처럼 초대형 가속기를 건설하는 데 비용과 장소 등 여러가지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길이만 27km에 이르는 LHC는 건설하는 데만 55억 달러(약 6조 원)의 비용이 들어갔다. 플라스마 웨이크필드 가속기는 규모가 작고 건설 비용이 저렴하지만 성능은 ... ...
- 그는 어떻게 50년 공룡 미스터리를 풀었나2014.10.23
- 이 관장은 “이번 논문의 공저자인 필립 커리 캐나다 알버타대 교수는 앞발이 처음 나온 장소를 그린 그림 한 장 달랑 들고 그 지역 사람들에게 물어물어 위치를 찾아 낼 만큼 이 공룡을 찾아내기를 간절히 바랬다”고 말했다. 데이노케이루스는 공룡학계에서 매우 상징적인 공룡이다. ... ...
- “반도체를 뇌에 꽂자는 아이디어 덕에 노벨상까지 받았네요”2014.10.21
- 논문을 1971년 발표했을 때는 학계에서는 너무 파격적인 결과라며 논란이 일었다. 이후 장소세포뿐만 아니라 위치와 방향을 인식하는 격자세포의 존재까지 밝혀지면서 오키프 교수의 연구는 빛을 발할 수 있었다. 그는 “지금도 시간이 나면 오후 6시 이후에도 연구실에 간다”며 “노벨상을 ... ...
- 유럽 생명과학연구소 허브 ‘프랜시스 크릭 연구소’2014.10.17
- 짐 스미스 국립의학연구소(NIMR) 소장은 “지금까지 영국의 과학 연구소들은 잘못된 장소에 있었다”면서 “근처에 대학도 없고 교통도 불편한 도심 외곽에 지었다”고 말했다. 크릭 연구소는 2005년 국립의학연구소를 런던 도심으로 이전하는 논의가 진행되면서 설립 가능성이 처음 제기됐다. ... ...
- 과학으로 독도 지키는 법, 아시나요?2014.10.16
- “독도는 동해 지역 심부지각구조를 학술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최적의 장소”라며 지진관측소 설립 이유를 설명했다. 관측소에 설치된 기기는 가속도센서 1개와 광대역 속도센서 1개다. 가속도 센서로는 강한 떨림, 광대역 속도 센서로는 작은 떨림까지 각각 잡을 수 있어 독도 주변과 동해안에 ... ...
- 다시 태어난 대한제국의 숨결동아사이언스 l2014.10.14
- 변형됐고, 해방 이후에는 미소공동위원회의 회의장소로 사용되는 등 역사적인 장소였다. 그러나 6.25 전쟁을 겪은 이후 국립박물관, 국립현대미술관, 궁중유물전시관 등으로 사용되면서 그 원형을 잃어버렸다. 이에 문화재청은 여러 차례 변형된 원형을 복원하기로 결정, 지난 2009년부터 올해까지 ... ...
- 2014 노벨생리의학상은 ‘노르웨이판 퀴리 부부’에게2014.10.13
- 오키프 교수는 1970년대 쥐의 해마에서 장소세포(place cell)를 발견한 신경과학자다. 특정 장소에서만 발화되는 뉴런이라서 이런 이름을 붙였다. 유명한 교수 밑에서 연구할 수 있게 된 부부는 그러나 몇 달 안 돼 선택의 기로에 서게 된다. 트론헤임에 있는 노르웨이과학기술대에서 두 사람 다 ... ...
- 영화 ‘메이즈 러너’처럼 기억 지울 수 있을까2014.10.10
- 암컷과 교미하도록 했다. 놀랍게도 수컷 쥐는 교미가 끝난 뒤 전기 충격을 당한 장소에서도 전혀 움츠러들지 않고 자유롭게 돌아다니기 시작했다. 전기 충격의 고통이 빛으로 인해 행복한 감정으로 바뀐 셈이다. 정용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는 “최근 뇌 기억을 지우거나 바꾸는 ‘브레인 ... ...
이전1911921931941951961971981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