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초
사초
모래톱
촛불
식초
kyaw
d라이브러리
"
초
"(으)로 총 5,853건 검색되었습니다.
대한민국을 덮친 AI의 정체는? AI 바이러스 수사 파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4호
감염됐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가창오리가 우리나라에 도래한 때는 2013년 11월
초
이며 H5N8형 AI의 잠복기는 2~20일이다. 따라서 1월 17일에 죽은 가창오리는 오히려 우리나라 축사에 있는 닭 또는 오리로부터 감염됐을 가능성이 높다는 주장이다. 인 . 터 . 뷰 김재홍(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교수, AI ... ...
걸음걸이도 수학이다! 랜덤 워크
수학동아
l
2014년 04호
움직이는 평균 거리는 시간의 제곱근에 정비례한다는 성질도 밝혀냈다. 즉, 입자가 4
초
동안 움직인 평균 거리는 1
초
동안 움직인 거리의 2배가 된다는 뜻이다.이뿐만이 아니라 아인슈타인은 브라운 운동과 일정 부피의 기체와 액체 속에 있는 분자의 수인 아보가드로의 수를 연관 지어 추정하는 ... ...
[생활] 생생한 화질 경쟁, 수학으로 앞서 간다!
수학동아
l
2014년 04호
확인하는 의료영상장치인 자기공명저항률단층촬영장치(MREIT)를 지난 2008년 세계 최
초
로 개발했다.MRI는 강력한 자기장을 만들어서 몸속에 있는 수소 분자의 반응과 분포를 통해 질병 정보를 파악한다. 반면 MREIT는 인체에 전류를 흘려 줄 때 생기는 자기장을 측정해서 세포의 전기 전도율 변화를 ... ...
4회 K의 은신처를 탈출하라!
수학동아
l
2014년 04호
잠겨 있을 때, 박 형사가 신발장에서 딸깍거리는 소리를 들었다.“반장님! 폭탄이에요! 60
초
부터 시간이 줄어들고 있어요. 어서 문을 열어야 해요!”박 형사가 서두르자, 소마는 지금껏 푼 퍼즐의 답을 하나씩 생각하기 시작했다.“지금껏 퍼즐을 통해 찾은 두 자리 수는 모두 4개예요. 한 가지를 더 ... ...
PART 3. 인간의 역사를 바꾼 꽃의 유혹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보시려면?INTRO. 꽃, 세상의 은밀한 지배자PART 1. 꽃이 없었다면, 지금 당신은 없다PART 2. 태
초
의 꽃을 찾아서Bridge. 튤립은 어떻게 세상에 퍼졌나PART 3. 인간의 역사를 바꾼 꽃의 ... ...
쓰레기에 신음하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조사와 환경 학술지의 연구 결과, 그리고 자체 답사 결과를 종합해서다.이곳들은 단 1
초
라도 살아서는 안 될 만큼 유독한 환경이다. 하지만 그곳을 떠나지 못하고 안에서 먹고 자고 일하고 사랑하며 살아가야만 하는 사람들이 수만~수십만 명에 이른다. 이들은 오늘도 오염된 물과 공기를 마시고 있다 ... ...
[Knowledge] 질병은 적인가 동지인가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이상의 의미를 지니게 됐다.➊ 정신질환자들을 격리 수용한 런던의 베들렘 병원. 19세기
초
를 전후해 정신병도 질병으로 간주되기 시작했다.➋ 1918년 ‘스페인 독감’ 대유행을 풍자한 그림. 독감 바이러스를 무서운 유령에 비유해 유령이 사람의 머리를 내리치며 바이러스를 전염시키는 상황을 ... ...
사물인터넷 사이보그 세상 연다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다른 사람에게 전달해 주는 일종의 데이터 택배원이다. 불의의 사고로 저장 용량을
초
과하는 데이터를 받아들인 주인공은 과부하로 죽지 않기 위해 세계 최고의 천재 해커를 찾아간다. 우여곡절 끝에 해커를 만난 주인공은 경악을 금치 못했다. 눈앞에 나타난 건 사람이 아니라 수조 속의 돌고래였기 ... ...
PART2. 지하 500m도 위험하다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심지층처분보다 아직 체계적인 연구가 부족하다. 강정민 교수는 “이 방식은 1990년대
초
구소련이 핵무기 해체 후 남는 플루토늄을 처분하는 방식으로 검토하면서 연구가 재개됐기 때문에 아직 실증 자료가 많지 않다”고 말했다. 심층시추공처분을 우리나라 환경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 ...
인공위성이 바닷속 고래도 찾는다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고 영국 BBC가 최근 보도했다.남방긴수염고래는 20세기
초
멸종위기에 처했다가 최근 개체수가 서서히 늘고 있는 보호종. 그간 생태학자들은 멸종위기종인 고래를 보호하기 위해 배나 비행기를 이용해 개체수와 서식지를 조사해 왔지만 한 번에 조사할 수 있는 범위가 좁아 ... ...
이전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