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초"(으)로 총 5,85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상상 속 건물을 마음대로 짓는 비밀, 파라메트릭 디자인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연구도 활발하다. 스위스취리히연방공대의 그램지오 코호러연구실은 2012년에 세계 최초로 건축물을 만들 때 하늘을 나는 로봇을 활용했다. 파라메트릭 디자인으로 제작한 설계도에 맞춰 흔히 쓰는 크기의 벽돌 1500장 이상을 공중을 나는 로봇이 하나씩 옮겨서 원통형 벽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 ...
- 우주 급팽창 첫 증거 발견, 그 이후 - 초끈이론이 흔들린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것일까. 게다가 초끈이론마저도 버려야 할까. 답을 먼저 하자면, “아니다”. 이는 단지 초끈이론에서 급팽창을 만드는 가정인 다차원의 안정화 과정에 문제가 있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이 부분에서만 새로운 답을 찾아야 하는 것뿐이다.또 우리는 바이셉2의 실험이 완전히 맞다고 전제했지만, ... ...
- PART 1. 꽃이 없었다면, 지금 당신은 없다과학동아 l2014년 04호
- 보시려면?INTRO. 꽃, 세상의 은밀한 지배자PART 1. 꽃이 없었다면, 지금 당신은 없다PART 2. 태초의 꽃을 찾아서Bridge. 튤립은 어떻게 세상에 퍼졌나PART 3. 인간의 역사를 바꾼 꽃의 ... ...
- Part 2. 은하와 생명의 진정한 기원 드러나과학동아 l2014년 04호
- 박석재 연구위원은 설명했다.급팽창이론의 또 다른 장점은 거대한 우주의 씨앗이 되는 초기조건을 준다는 데 있다. 빅뱅부터 급팽창 직전까지는 우주공간이 균일했다. 만약 이대로 시간이 흘렀다면 은하도, 별도, 생명도 탄생할 수 없었을 것이다. 그런데 급팽창이 일어나면 이 짧은 기간 동안에 ... ...
- PART 2. 태초의 꽃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4년 04호
- 보시려면?INTRO. 꽃, 세상의 은밀한 지배자PART 1. 꽃이 없었다면, 지금 당신은 없다PART 2. 태초의 꽃을 찾아서Bridge. 튤립은 어떻게 세상에 퍼졌나PART 3. 인간의 역사를 바꾼 꽃의 ... ...
- 나무 아파트, 몇 층까지 지어봤니?과학동아 l2014년 04호
- 들어설 프리덤타워, 시카고의 시어스타워 등을 설계했다. 콘크리트와 철근을 이용한 초고층빌딩 설계에서 SOM은 독보적이다. 그런 SOM마저 지난해 목조 타워를 연구했다. 자신들이 1966년 시카고 시내에 세운 42층짜리 콘크리트 고층 건물 ‘플라자 온 듀잇’을 목재로 탈바꿈시킬 수 있을지 기술적으로 ... ...
- [hot science] 울퉁불퉁 지방으로 만든 가짜 식스팩과학동아 l2014년 04호
- 마취제 때문에 호흡곤란 증상이 나타났을 때는 고개를 들어주는 등의 간단한 처치로 몇 초만에 회복된다. 하지만 모니터링을 제대로 하지 않아서 1~2분만 놓치더라도 환자에게 치명적일 수 있다. 따라서 종합병원에서는 수면마취 시에 마취 전문의가 수술 시작부터 환자가 깰 때까지 전 과정을 ... ...
- 장거리 출퇴근, 병드는 현대인과학동아 l2014년 04호
- 교수는 스웨덴 인구 통계국의 자료를 토대로 출퇴근 거리와 사망률에 대해 조사해 올해 초 ‘환경과 계획 A’라는 저널에 발표했다. 샌도우 교수는 1994년 당시 55세 직장인 5만 9699명의 기록을 1995년부터 2008년까지 14년간 분석했다. 출퇴근-건강-사망률까지 전체적으로 조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 ...
- 수학자 ‘더하길 모테’와 한판 승부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종이 울리고 마지막 종이 울릴 때까지 정확하게 5초 걸렸습니다. 그럼 12시에는 종이 몇 초 동안 울릴까요?”미션3 두 배로 자라는 나무“이런 문제는 어때요?”모테 박사가 뜬금없이 나무를 한 그루 가지고 나왔다.“이 나무는 잎이 하루만에 두 배로 많아지는 신기한 나무예요. 만약에 이 방의 반을 ... ...
- 배낭여행 프로젝트 꽃보다 할배 in Spain 좌충우돌 수학여행수학동아 l2014년 04호
- 늘어난다. 도시 수가 24개만 돼도 가능한 모든 경로의 수가 9407경 3336조 개나 되고, 초당 1000억 번의 계산을 할 수 있는 컴퓨터를 사용해도 모든 경로를 찾는 데 30년이나 걸린다. 따라서 수학자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 문제의 정답을 찾는 한편, 가장 정답에 가깝다고 여겨지는 ‘근사해’를 찾는 ... ...
이전1901911921931941951961971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