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할아버지 숲이 지구를 구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이정도의 기온 차이는 생존에 영향을 줄 수 있을 정도로 큰 것이랍니다.프레이
박사
는 “숲의 모양이 기온에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밝혀냈다”며, “오래된 숲을 지켜야 지구환경을 지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어요 ... ...
[도전! 섭섭
박사
실험실] 악기 없이 음악 연주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음악이 빠질 수 없겠죠? 하지만 깜빡 잊고 악기를 집에 두고 왔지 뭐예요? 지금 섭섭
박사
님에게 있는 건 도시락 재료들뿐이에요. 혹시 이 재료를 이용해 신나는 음악을 연주할 수 있을까요?힌트 하나. 소리는 진동으로 전해진다!주변의 물체를 두드려 보세요. 물체가 미세하게 떨리는 것을 볼 수 있을 ... ...
[수학뉴스] 수학자 족보가 있다!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수학자가 이름을 올렸습니다. 벨기에 나무르대 복잡계센터의 플로리아나 가르기울로
박사
는 이 수학자 족보의 데이터를 분석했습니다. 족보의 정보가 맞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사용해 족보의 데이터와 위키피디아, 학자들의 온라인 프로필을 일일이 대조했습니다.그 결과 ... ...
[핫이슈] 지진 대비! 집을 지키는 수학!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깔려서 목숨을 잃는 경우도 많습니다. 영국 브리스톨대지진공학연구센터 아담 크루
박사
는 “지진이 언제 일어날지 예측하는 기술에만 의존하는 것보다 지진에 잘 버티는 건물, 설령 무너지더라도 안전하게 무너지는 건물을 짓는 것이 훨씬 중요하다”고 말했어요.지진으로 땅이 좌우로 흔들릴 때 ... ...
[과학뉴스] 신장암 환자는 뚱뚱하면 더 오래 산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그래서 이 효소의 활성이 떨어지면 암이 발생하거나 전이하는 현상도 느려진다.초우에리
박사
는 “이번 연구로 신장암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이 열렸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미국 임상종양학회지 9월 6일자에 실렸다 ... ...
PART 1. 연구비보다 '연구 자유'가 중요했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집 거실에서 초고해상도 현미경의 초기모델을 만들었다. 그때 나이가 45세였다.베치그
박사
만큼은 아니더라도, 소속 기관 외의 기관에서 연구비를 받지 않은 경우는 꽤 많았다. 104명의 노벨상 수상자 가운데 16명(15.4%)이 소속 연구기관에서 제공하는 연구 장비와 연구비만으로 업적을 냈다. ... ...
[Knowledge] 수컷 침팬지는 폭력의 대명사?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침팬지는 동물 중 유일하게 전쟁을 하는 종이다. 침팬지 연구의 대가인 제인 구달
박사
는 침팬지들이 수 년에 걸쳐 상대 무리를 모두 죽여 없앨 때까지 전쟁을 계속했다는 충격적인 보고를 했다. 당시 새끼를 죽이는 행위도 관찰됐는데, 이 때문에 침팬지는 인간 사회에서 일어나는 남성 폭력을 ... ...
[새 책] "당신들도 그곳에서 행복하길 바랍니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땀을 쥐게 된다. 박물관에서 우연히 지질학자이자 우주생물학자인 마틴 반 크라넨동크
박사
의 책을 만나고 보름 뒤 기적처럼 그와 함께 필바라로 떠난 대목을 읽으면 온몸이 짜릿하게 떨려 온다.때론 목숨까지 위험한 일에 뛰어든 그에게 뭇사람이 찬사를 보내는 것과 달리, 저자는 어쩌면 탐험은 ... ...
[가상인터뷰] “부르르~!” 암컷을 유혹하는 진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안녕~! 나는 어과동의 대표 귀염둥이 마녀, 일리야. 귀여운 얼굴 덕분에 많은 동물들에게도 인기를 끌고 있지! 동물들이 나를 얼마나 좋아 ... 않은 부분이 많거든요.저는 제 깃털을 이용해 화려한 옷을 만드는 것보다 로슬린
박사
님이 공작의 생태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일을 하고 싶어요 ... ...
PART 3. 수학으로 중력파를 찾다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살고 있다. 앞으로 중력파가 우리에게 보여줄 초기우주의 모습은 어떠할까. 오정근
박사
는 “수학자들이 함께 협력해 라이고의 실험적 한계를 극복하는 데 도움을 주길 바란다”며, 중력파 연구에서 수학자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수학이 미지의 문을 여는 열쇠 역할을 톡톡히 해내길 바란다.▼ ... ...
이전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