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젊은 과학자들은 트위터를 좋아해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one)’ 10월 12일자에 발표했다.과학커뮤니케이션센터 킴벌리 콜린 교수팀은 31개국에서
박사
과정 이하인 젊은 과학자 587명을 대상으로 어떤 미디어를 선호하고 많이 이용하는지 온라인 설문조사로 알아봤다. 설문은 ‘자신의 연구 주제를 어떤 미디어를 통해 공개하는가’와 같은 질문 52개로 ... ...
[과학뉴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향수의 비밀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동방
박사
의 선물로 유명한 유향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향수다. 최근 프랑스 니스 화학 연구소 니콜라스 발도비니 연구팀은 유향에서 나는 ‘오래된 교회 냄새’ 성분을 세계 최초로 찾았다.연구팀은 아프리카 소말리아에서 가져온 유향 3kg를 여러 번 끓여 약 1mg으로 농축한 뒤, 기체 ... ...
Part 3. 사람 앞서 화성 갈 눈 만든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유인 탐사를 위한 기초 연구를 시작할 계획이다.마스2020의 프로젝트 리더인 미치 슐트
박사
의 발표로 문을 연 콘퍼런스는 상상 이상으로 흥미진진했다. 마스2020 로버는 큐리오시티보다 기술적으로 많이 향상된 모습이었으며, 새로운 장비도 눈에 띄었다. 광물의 미세구조와 유기물 분석을 담당하는 ... ...
[Tech & Fun] 센서스 코무니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뇌공학과 현실정치를 연결하는 겁니다. 어느 정도 구상이 구체화됐을 때
박사
과정을 그만두고 한국으로 돌아왔습니다. 논문으로 발표할 내용은 아니었거든요.”“전화 설문조사 대신 뇌파를 측정하는 겁니까?”“이해가 빠르시네요. 뇌파를 이용한 여론조사는 두 가지 큰 장점이 있습니다. 하나는 ... ...
[교과연계수업] 멸종위기 생물을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것이 60%나 차지할 정도로 지난 100년 동안 멸종 속도가 급격히 빨라졌답니다. 세바요스
박사
팀에 따르면 이렇게 멸종 속도가 빨라지는 건 사람 때문이라고 해요. 자연스러운 멸종 속도라면 800~1만 년이 걸려 사라졌을 동물들이 사람들 탓에 100년 동안 빠르게 사라졌다는 거예요. 그래서 네덜란드 ... ...
[수학뉴스] 내 수학 점수는 아빠 때문?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파악 능력과 사칙 연산 실력에 관련이 있었습니다.연구를 이끈 멜리사 리베르투스
박사
는 “자녀의 수학 능력은 유전뿐만 아니라 환경에도 영향을 받는다”며, “부모의 성별, 학력 등으로 세분화해서 연구해 가정에서 수학 우등생을 키울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는 데 힘 쓸 예정”이라고 ... ...
INTRO. 구부러진 세상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나는 지금 도시 한가운데 서 있다. 하늘 위로 쭉쭉 뻗은 아파트와 고층 건물에서 알 수 없는 무뚝뚝함이 묻어난다. 직선이 주는 날카로움 때문일까. 어어…. 그런데 갑자기 세상이 구부러져 보인다. 모든 것이 굽어보이기 시작했다. 눈을 비비고 다시 쳐다봐도 마찬가지다. 뭐라고? 세상은 사실 모두 ... ...
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그 이후 피인용 횟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해 작년에만 400회 가까이 인용됐다. 필자의
박사
학위 논문이 통과된 날 저녁, 지도교수 사울레스 교수와 맥주집에서 찍은 사진. 대학원생 시절, 외부에서 방문한 교수가 사울레스 교수와 연구실에서 토론하는 모습을 본 적이 있다. 두 사람은 칠판에 적힌 ... ...
[Knowledge] 암세포 ‘원샷 원킬’ 작은 RNA가 뜬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그 유전자가 복제되는 과정에서 생기는 RNA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암브로스
박사
팀은 22개의 염기서열로 이뤄진 RNA가 예쁜꼬마선충의 성장을 억제하는 단백질을 못 만들게 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마이크로RNA(miRNA)의 정체가 세상에 드러난 순간이다.그로부터 5년 뒤, 카네기연구소의 ... ...
Part 2. 지금이 ‘인류세’라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것이 60%나 차지할 정도로 지난 100년 동안 멸종 속도가 급격히 빨라졌답니다. 세바요스
박사
팀에 따르면 이렇게 멸종 속도가 빨라지는 건 사람 때문이라고 해요. 자연스러운 멸종 속도라면 800~1만 년이 걸려 사라졌을 동물들이 사람들 탓에 100년 동안 빠르게 사라졌다는 거예요. 그래서 네덜란드 ... ...
이전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