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은혜
은덕
도움
덕
공덕
덕성
덕택
d라이브러리
"
덕분
"(으)로 총 3,856건 검색되었습니다.
[2030 인류, 화성에 가다] 화성 올림픽 폐막 파티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등이 추가됐다. 헬멧 시스템은 외부 먼지와 자외선, 적외선까지 차단할 수 있었는데,
덕분
에 돌발적으로 발생하는 화성의 모래폭풍 속에서도 자유롭게 탐사를 할 수 있었다. 하지만 복잡하고 무거워서 활동성은 매우 떨어졌다. 입는 시간만 45분 걸렸다. 몸통 부분에는 선외활동복의 압력과 온도를 ... ...
PART 3. 세계는 생물자원 전쟁 중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심지어 항암제가 방선균에서 나 올 가능성도 있다. 신종헌터가 발 견한 '암 잡는 방선균'
덕분
이다. 2006년 미국 스크립스 해양연 구소의 빌리엄 페니컬 교수는 남태평양 팔라우에서 1000m 깊 이 심해에 사는 미생물 '살리니 스포라 트로피카'를 발견했다. 팔라우에만 사는 것으로 알려진 이 균은 강력한 ... ...
[life & tech] 우리 조상은 언제부터 흰 쌀밥을 먹게 됐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조선을 뒤흔들다일반 백성들도 쌀밥을 먹을 수 있게 된 것은 조선 영조 때 시작된 모내기
덕분
이다. 모내기가 우리나라 역사에 처음 등장한 것은 고려 후기다. ‘고려사’에 공민왕 때 백성들이 모내기를 했다는 기록이 있다. 모내기가 전국적으로 실시된 영조 시대와는 400년이나 차이가 난다. ... ...
뇌과학으로 해결하자! 굿바이 학교폭력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있다. 인류가 다른 나라의 것을 받아들이고 배워서 문화를 발달시켜 온 것도 거울뉴런
덕분
이다.그런데 이런 ‘흉내 본능’이 좋기만 한 것은 아니다. 심리적으로 불안정하고 고민이 많은 사춘기 우리들은 친구가 저지르는 행동을 서로 배우고, 폭력에도 맹목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 학교폭력 ... ...
미래 세상의 공통어, 코드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사례는 많다.미래에는 달려오는 자동차의 브레이크를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신발
덕분
에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에서 무사히 길을 건널 수 있게 되거나, 정해진 알약을 먹으면 위 속에서 천천히 녹으면서 환자의 정보를 수집해 약 먹을 시간을 자동으로 알려 줄 수도 있다.이러한 사회적 흐름 ... ...
[체험] 세계수학자대회에서의 12시간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미분기하학은 미분을 응용하여 공간의 성질을 연구하는 기하학의 한 분야예요.
덕분
에 이와 같은 다양한 가상현실을 경험할 수 있는 셈이죠.”20 : 00 ‘제임스 사이먼스’ 대중강연제임스 사이먼스는 미국 하버드대 교수를 역임한 수학자로 현재 약 13조 원의 재산을 보유하고 있는 수학계의 거부다. ... ...
2014 가을 달이 빛나는 밤에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뜬다다음 달인 10월 8일에는 붉게 물든 특별한 보름달을 볼 수 있다. 바로 개기월식
덕분
이다. 태양과 지구, 달이 일직선상에 놓이면 지구가 태양빛을 가로막아 그림자가 생긴다. 이때 달이 지구의 그림자 속으로 들어가 어둡게 보이는 현상이 바로 월식이다. 그런데 지구 그림자에는 두 가지 종류가 ... ...
공룡의 역사 흔들 대발견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먼 고비사막에 오면서도 천체망원경을 챙겼을 정도로 과학에 관심이 많다. 발굴팀은
덕분
에 별빛이 쏟아지는 몽골의 밤하늘에서 달의 크레이터를 감상할 수 있었다. 서호주 및 과학 전문 탐험가인 문경수 씨 역시 세계의 천문학자 및 고생물학자와 교류하는 과학 애호가다. 역시 고비사막의 황량한 ... ...
BRIDGE. 에볼라가 보내 온 편지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잡아먹는 사람들. 갈수록 심해지는 기후변화. 교통의 발달과 도시화. 이런 문제
덕분
에 우리 바이러스와 사람들 사이의 거리가 점점 가까워지고 있지. 나뿐 아니라 여기 있는 모든 바이러스들이 곧 사람을 만난다는 생각에 설레고 있어(두근두근). 앞으로 자주 만나게 될 내 친구들을 다음 장에 ... ...
[knowledge] 아름다운 과학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아무렇지도 않게 배우는 해류지도는, 상당한 위험을 감수하고 직접 바다를 관측한
덕분
에 얻을 수 있었다. 360년 전인 1675년에 하펠이 만든 첫 해류 지도는 당시까지의 탐험 결과를 바탕으로 바다의 흐름을 정리하고 있다. 이 지도에 표현된 해류는 지금 보면 완전히 틀렸다. 표층수와 심층수의 구분도 ... ...
이전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