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덕분"(으)로 총 3,856건 검색되었습니다.
- [fun] “알고리듬이 위험하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파고들어 있다. 위 사례처럼 SNS가 대표적이다. 기자는 자동 친구 추천을 해주는 알고리듬 덕분에(?) 취재원에게 사생활을 다 들켜버리기 일쑤다.미국 시카고 매터사이트 코퍼레이션이라는 글로벌 기업의 사례를 보자. 이 회사 콜센터는 고객을 상담원에게 연결할 때 국적(언어)이나 전문 지식을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수학의 실체와 예술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이 3개의 공리로 구체적인 힘이 작용하는 수많은 상황을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었다. 덕분에 달이나 행성의 궤적, 또는 발사된 대포알의 운동을 설명했다.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정량적인 시각으로 세상을 이해할 수 있다는 믿음을 한 번에 만들어냈다는 것이다. 뉴턴은 공리체계를 사용하는 데 ... ...
- [체험] 스튜디오 지브리 입체조형전 전시관에 숨겨진 비밀을 파헤치다!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스튜디오 지브리는 시각뿐만 아니라 청각, 촉각까지 동시에 여러 감각을 자극한다. 덕분에 관람객은 전시 공간에서 마치 그 장면 속에 들어간 것처럼 느낄 수 있다.토토로 뒤편의 빗줄기는 끊임없이 아래로 흐르는 것 같지만, 사실은 같은 영상을 반복 재생한 것이다. 바닥의 낡은 느낌은 별도의 ... ...
- 내 몸은 탈수 중 물 마시기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아주 깨끗해졌답니다. 예전과 달리 수업시간에 조는 시간도 줄고 피로감도 덜 느껴요. 덕분에 시험성적은 평균점수가 5점이나 올랐지요. 물론 이 모든 변화가 오로지 물 때문이라고 말할 순 없어요. 하지만 예전과 지금의 생활습관에서 달라진 점은 물 먹는 양이 늘어났다는 거예요. 결과·내장지방 ... ...
- 종이학부터 변신로봇까지 오리가미의 진화수학동아 l2014년 11호
- 것은 물론, 점선, 실선, 화살표로 이루어진 ‘오리가미 언어’를 정의했다. 요시자와가 덕분에 전 세계 사람들이 ‘종이학’을 같은 모양으로 접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한 가지 더 가장 놀라운 변화는 오리가미가 체계를 갖추면서 오리가미 기술로 자연을 흉내 낼 수 있게 됐다는 점이다. 잘 ... ...
- 명예기자와 기자단이 만나 제주에서 우주로~!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위로 작용하는 압력이 위에서 아래로 작용하는 압력보다 높아져요. 이 때 생기는 양력 덕분에 비행기는 하늘로 둥실 떠올라 하늘 구석구석을 누비며 날 수 있답니다.제주항공우주박물관의 ‘How things fly’ 코너에서는 이런 내용을 실험과 함께 재미있게 배울 수 있어요. 미국 스미소니언 ... ...
- Part 2 테러리스트 검거, 데이터 분석이 책임진다수학동아 l2014년 11호
- 불과 4일 만에 테러리스트가 붙잡혔다. 어떻게 이것이 가능했을까? 바로 빅데이터 분석 덕분이다.FBI는 보스턴 마라톤 폭탄 테러를 일으킨 범인을 잡기 위해 통화 기록과 목격자들이 제공한 사진과 동영상, SNS 기록, 인근 지역 600개에 이르는 CCTV 영상을 10TB 분량 가까이 모았다. 그리고 ‘데이터 ... ...
- [체험] 두근두근 생애 첫 코딩, 스크래치를 만나다!수학동아 l2014년 11호
- 쉽게 게임, 동화책, 또는 일상생활에 필요한 발명품으로 만들 수 있다. 모두 소프트웨어 덕분이다. 지난 9월 26일 수학동아 독자 17명이 서울시 서초구에 위치한 삼성전자 사옥에 모여, 소프트웨어로 만드는 새로운 세상을 만났다.설레는 생애 첫 코딩!삼성전자 투마로 솔루션랩에 들어서자, 가장 먼저 ... ...
- INTERVIEW 1. 올해 노벨상 수상자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없었다. 장비가 작아진 덕분에 살아있는 동물의 뇌에 직접 미세전극을 삽입할 수 있었다. 덕분에 해마에서 장소세포를 찾아낼 수 있었다. 본인의 연구에 집중하면서도 최신 기술 경향을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장소세포 논문을 3쪽 분량으로 ‘브레인 리서치’에 투고했는데 거절당했다. 실험 ... ...
- PART 4. 화학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이 논문은 초분해능 형광현미경 논문 중에 가장 인용수가 많다. 베치그의 연구는 머너 덕분 머너는 세계 최초로 ‘분자 하나’를 탐지한 과학자다. 그는 IBM에서 연구원으로 지내던 1989년, 단일 분자 검출에 성공했다. 1년 후 프랑스에서 형광을 이용하면 더 쉽게 고감도로 단일 분자 검출이 ... ...
이전1881891901911921931941951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