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구"(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버려졌던 이론의 재탄생과학동아 l2019년 03호
- 필요를 동시에 충족하기 위해 오늘도 열심히 노력하고 있습니다. 김문기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에서 연구원으로 있다. 심해퇴적물의 기원지 및 고환경 연구와 더불어, 해저열수광상과 망간단괴 등 심해저자원 개발 시 발생하는 잔사물질에 관한 ... ...
- [수학미술관]설탕에 녹아든 달콤한 수학, 슈가플래닛수학동아 l2019년 03호
- 특별전을 준비했습니다. 알록달록한 사탕, 푹신푹신한 초콜릿, 말랑말랑한 젤리까지 지구상 최고의 디저트를 모두 모아 놓았습니다. 그냥 먹으면 재미없으니, 퀴즈를 하나 내겠습니다. 이 디저트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네, 모두 설탕을 재료로 만든 간식이에요. 우리가 먹는 디저트는 대부분 ... ...
- [화보] 2월이 한여름이라고?! 남극의 여름을 소개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지났지만, 아직까지도 아는 것보다 모르는 것이 더 많은 곳이지요. 남극 연구는 미래 지구환경을 예측하고 준비하기 위한 가치 있는 도전이라고 생각해요. 처음 남극을 방문하였을 때 느꼈던 드넓은 풍경과 차갑지만 상쾌했던 느낌이 생생히 기억나요. 사진을 통해 이 느낌이 ... ...
- Part 4. 이종교배 - 네안데르탈인은 사라졌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호모 사피엔스(Homo sapiens) 한 종으로, 약 30만 년 전 아프리카에서 나타났어요. 이 당시 지구에는 호모 에렉투스, 네안데르탈인, 데니소바인 등 여러 고인류가 공존했어요. 그러면 왜 다른 종들은 사라지고 호모 사피엔스만 남게 된 것일까요? 이 질문에 대한 답으로 두 가지 주장이 있어요. 하나는 ... ...
- [과학뉴스] TESS, ‘미니 해왕성’ 찾아내다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드라고미르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카블리천체물리학우주연구소 연구원은 “HD 21749b는 지구 질량의 23배로 무겁지만, 놀랍게도 암석이 아닌 가스로 이뤄졌다”며 “물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밖에도 테스는 초신성 6개를 추가로 찾아냈다. 지난해 은퇴한 테스의 ‘선배’ 케플러 ... ...
- [이달의 PICK] ‘파리협약’ 본고장 파리의 실험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생산하는 차세대 기술 개발이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미혜 고려대 지구환경과학과 교수는 “화석연료를 태우면 이산화탄소뿐만 아니라 결국 최근 국내에서 심각한 문제가 된 미세먼지도 많이 배출된다”며 “친환경에너지 사용량을 늘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대도시의 인구 과밀화 ... ...
- [SPACE] 21세기 우주경쟁 스타트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위성은 달에서 약 6만5000km 떨어진 헤일로 궤도에 안착했다. 이 궤도에서는 위성이 지구와 달 뒷면을 동시에 바라보면서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췌차오 위성은 중국 베이징에 있는 관제센터와 창어 4호의 교신을 중계한다. 창어 4호의 달 탐사차(로버)인 ‘위투(玉兎·옥토끼라는 뜻) 2호’는 ... ...
- [지구사랑탐사대] 매미 연구로 최우수상 탔어요! 매벤져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암·수 구별, 탈피각, 약충의 구멍 등 매미의 생태를 척척 설명해 줄 정도랍니다. “지구사랑탐사대 탐사대장님이신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장이권 교수님도 큰 힘이 되었어요. 사실 처음 저희는 열섬과 온난화, 열대야 같은 현상들이 정확히 어떤 뜻인지 몰라서 헤맸거든요. 그래서 ... ...
- [과학뉴스] ISS로 간 식중독균, 우주 생활 적응 중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우주비행사와 ISS에 있던 화물에서 두 종의 박테리아를 수집해 유전자를 분석한 뒤 지구에 있는 박테리아와 비교했다. 그 결과, 두 종 모두 생합성과 이화작용 같은 물질대사와 외부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 등에 관여하는 유전자에서 변화가 나타났다. 특히 이들 박테리아는 ISS에서 살아남기 위해 ... ...
- [SPACE] 토성의 ‘절대 고리’가 사라진다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연구교수(현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트추진연구소(JPL) 외계행성프로그램 부수석)팀은 지구에서 430여 광년 떨어져 있는 별 ‘J1407’의 주위에서 토성보다 더 큰 고리를 가진 행성 ‘J1407b’를 찾아냈다. 최근 업데이트 된 연구에 따르면 J1407b의 고리는 토성 고리보다 약 200배나 넓다. doi:10.1088/0004-637X/ ...
이전1901911921931941951961971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