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도"(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과학사] 생명을 구하는 수혈법의 발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제공 인간의 몸에는 약 5L의 피가 흐르고 있어요. 이 중 40% 정도를 잃으면 목숨이 위험해지죠. 많은 피를 흘린 사람에게 다른 사람의 피를 공급하는 치료법을 ‘수혈’이라고 해요.수혈은 1901년, 오스트리아의 생물학자인 카를 란트슈타이너가 ABO식 혈액형을 발견하면서 ... ...
- [포토뉴스] 천체관측 방해하는 인공위성 수학으로 손본다!수학동아 l2020년 06호
- 띄워 전 지구적 초고속 인터넷망을 구축하려는 사업입니다. 하지만 맨눈으로 보일 정도로 밝은 인공위성 빛은 천체관측 결과를 왜곡할 뿐만 아니라 지구로 다가오는 소행성의 궤도 정보를 놓치게 할 우려가 있었습니다.이런 비판을 수렴해 스페이스X는 다양한 대책을 내놓았습니다. 태양광이 지구로 ... ...
- [수학뉴스] 조작된 인스타그램 좋아요 수 기계학습으로 밝힌다수학동아 l2020년 06호
- 분석했더니 팟즈로 조작한 게시물 중 약 70%가 그렇지 않은 게시물보다 댓글 수가 약 5배 정도 많았고, 전체 게시물 중 절반만 조작해도 게시물에 포함된 링크 클릭 수가 5배로 늘어났습니다. 연구팀은 이 연구 결과를 4월 대만에서 열린 ‘국제 월드와이드 웹컨퍼런스 2020’에서 발표했습니다 ... ...
- [매스크래프트] #6. 영국의 빅 벤, 하루는 왜 24시간일까?수학동아 l2020년 06호
- 고대에는 빵의 개수를 어떻게 셌을까요? 처음엔 손가락으로 세다가, 손가락이 부족할 정도로 빵의 개수가 많으면 작은 돌멩이나 조개 껍데기를 사용했습니다. 그러다 72개나 되는 빵을 나타내고 싶을 땐 작은 돌멩이 10개를 큰 돌멩이 1개로 바꿔, 큰 돌멩이 7개와 작은 돌멩이 2개로 표시했죠. 이처럼 ... ...
- [진로체험] 온라인에 남긴 흔적 찾는 데이터 분석 전문가수학동아 l2020년 06호
- 초등학교 입학 전에 배웠던 주산으로 아직도 머릿속에서 서너자릿수까지 암산할 정도로 수학에 대한 관심이 많죠. 이 점이 데이터를 볼 때도 아주 유용하답니다. 데이터를 가만히 살펴보면서 어떤 의미를 찾을 수 있을까 들여다보고 알지 못했던 데이터의 특성을 발견하는 과정은 수학적 호기심이 ... ...
- 과학동아 At a Glance과학동아 l2020년 06호
- 1인당 연간 100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분의 1m) 이상인 미세플라스틱을 2000개 정도 먹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네, ‘헉!’ 입니다. 소금이 포함된 음식까지 고려하면 체내에 들어오는 미세플라스틱의 양은 더 늘어나겠죠. 김 교수팀은 한강, 낙동강, 영산강, 섬진강, 금강 등 5대강에서 바다로 ... ...
- 신상 콤부차 대해부과학동아 l2020년 06호
- CCl4)를 일주일에 두 번씩 30일 동안 먹이고, 매일 콤부차를 줬다. 그리고 간염의 정도를 알려주는 대표적 표지인 간세포 내 효소(ALT, AST)를 측정했다. 수치가 낮을수록 간이 덜 손상됐다는 뜻이다. 실험 결과, 콤부차를 마신 쥐는 ALT는 70.15%, AST는 71.56% 수준으로 모두 감소했다. doi: 10.4014/jmb.08 ...
- 글로벌 제약 사업에 뛰어든 바이오 전문가 “인생의 멘토를 만드세요”과학동아 l2020년 06호
- 것이었다. “처음 미국에 왔을 때 작은 제약 벤처들이 근 10년 사이에 이름을 알릴 정도로 크게 성장하는 경우를 여러 번 봤는데 이 점이 매력적이었어요. 큰 회사에서는 특정 분야의 전문가가 될 수는 있지만 여러 분야를 두루 배우기는 힘들다고 생각도 했고요. 그래서 이직을 강행했죠 ... ...
- 과학동아천문대장이 내는 이달의 퀴즈 & 천체사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채층’이라 하고 가장 바깥층 대기를 ‘코로나’라고 해요. 이중코로나는 100만K 정도로 매우 뜨거우며, 이온화된 상태의 물질인 플라즈마로 이루어져 있답니다.요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다들 걱정이 많을 거예요. 태양의 바깥 대기층과바이러스의 이름에 모두 ‘코로나’가 들어간 건 둘의 ... ...
- [한페이지 뉴스] 페로브스카이트로 만든 반구형 인공 눈과학동아 l2020년 06호
- 150~160도로 넓고, 시신경이 모인 황반의 분해능은 1arcmin (각분‧1arcmin은 60분의 1도) 정도로 높다. 또 카메라로는 절대 담을 수 없는 미세한 빛의 변화도 감지한다. 돔 모양의 망막에 수백만 개의 광수용체가 밀집된 독특한 구조 덕분이다. 하지만 그동안 로봇공학 분야에서 사람의 눈을 모방해 만든 ... ...
이전1901911921931941951961971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