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d라이브러리
"
일자
"(으)로 총 2,324건 검색되었습니다.
타란툴라의 독은 맵다?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타란툴라의 독이 TRPV1이라는 신경세포 수용기에 작용한다는 사실을‘네이처’11월 9
일자
에 발표했다. TRPV1은 고추의 매운 맛을 내는 물질인 캡사이신을 받아들이는 수용기다.율리어스 교수는“생물체가 타란툴라에 물리면 독이 TRPV1 수용기에 부착하고 이 신호는 뇌에 전해진다. 그러면 고추를 ... ...
달은 거대한 가스 창고?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1000만년 전까지 달 내부에서 가스가 분출한 증거를 찾았다”고‘네이처’11월 9
일자
에 밝혔다. 45억~46억년으로 알려진 달의 나이와 비교했을 때 1000만년은 매우 짧은 시간이다.지금까지 알려진 달은 지질학적으로 이미 활동이 멈춘 커다란‘암석’일 뿐이었다. 많은 과학자들은 달의 마지막 활동이 ... ...
달콤함 뒤의 쓴맛 '시차적응'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물론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고 영국 생물학지‘커런트 바이올로지’인터넷판 11월 6
일자
에 발표했다.연구팀은 나이든 쥐와 어린 쥐를 섞은 뒤 세 그룹으로 나눴다. 첫 번째 그룹은 매주마다 6시간 빨리 빛을 비춰 기상 시간을 앞당겼고, 두 번째 그룹은 매주마다 6시간 늦게 빛을 비춰 기상시간을 ... ...
매미 날개는 나노 도장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만든 플라스틱 거푸집으로 나노 기둥을 찍어냈다고 나노기술 분야 학술지‘스몰’10월 6
일자
에 발표했다.매미 날개 표면에는 아래쪽 지름이 150nm(나노미터, 1nm=10억분의 1m), 위쪽은 80nm로 점점 가늘어지는 높이 400nm의 무수히 많은 나노 기둥이 촘촘히 붙어 있다.연구진은 우선 날개에서 이물질을 ... ...
체온 낮추면 수명 늘어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세포를 노화시키는 활성산소를 억제할 때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를 보였다.지난 11월 3
일자
‘사이언스’에 수명연장과 관련된 새로운 요인이 발표됐다. 체온을 조절해 수명연장을 할 수 있다는 콘티 박사팀의 연구결과다. 사람이 체온을 37℃로 유지할 수 있는 이유는 뇌 시상하부의 온도조절장치에 ... ...
자면서 기억력 쑥쑥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들었을 때 뇌에 전류를 흘린 결과 단어 암기력이 8% 높아진 것을 발견 해‘네이처’11월 9
일자
에 발표했다.본 박사는 의대생 13명에게 잠들기 전 단어 46개를 외우게 했다. 실험 참가자가 머리에 전극 4개를 붙이고 깊은 잠에 든 뒤 연구팀은 뇌에 75Hz급의 약한 전류를 1분 간격으로 5분간 5회 흘렸다. ... ...
어과동과 함께하는 월드컵 100배 즐기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이루어진다’고 월드컵 우승이 상상으로만 가능한 일은 아닐 거예요. 이번 11호(6월 1
일자
)에 부록으로 제공되는 '레오와함께하는독일월드컵우승보드게임’과함께 미리우승을 경험해 보세요.‘꿈은 이루어진다’한국의 월드컵 우승 가상 시나리오게임은 2006독일월드컵에서 한국의 실제 경기 일정과 ... ...
'최후의 심판', 최후 맞을 뻔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안료가 왜 변색하는지 알아냈다고 미국 온라인 과학뉴스 ‘사이언스데일리’가 10월 10
일자
에 보도했다.연구팀에 따르면 푸른색 안료는 알루미늄과 규소로 구성된 입자에 붙잡혀 있는 황이 만들어낸 색이다. 그런데 시간이 지나면 이 구조가 부서지면서 황이 떨어져 나가 변색된다. 연구팀은 ... ...
갈기없는 수사자?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했다.그러나 미국 필드박물관의 동물학자 토마스 그노스케 박사팀이 ‘사이언스’ 9월 29
일자
에 그 해답을 제시했다. 10년간 야생동물원의 사자를 관찰해 온 그노스케 박사는 더운 지역보다 추운 지역에서 데려온 사자의 갈기가 더 많이 자라는 것을 발견했다. 즉 더운 날씨와 사자 갈기 사이에 ... ...
물질+반물질=물질?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만드는 새로운 과정을 발견하고 이를 ‘피지컬 리뷰 레터스’(Physical Review Letters) 10월 9
일자
에 발표했다.프로토늄은 2002년 스위스 제네바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반수소 발생 실험에서 처음 만들어졌다. 당시 실험을 했던 아테나(ATHENA) 연구팀은 반양성자와 양전자를 진공에서 충돌시켜 반수소를 ... ...
이전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