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d라이브러리
"
일자
"(으)로 총 2,324건 검색되었습니다.
정자 DNA손상시키는 당뇨병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밝힌 연구를 영국 옥스퍼드대 생물학 전문지 ‘휴먼 리프로덕션 온라인판’ 5월 3
일자
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남성 당뇨병 환자 27명과 DNA 손상이 거의 없는 정상인 29명을 대상으로 정자 DNA를 조사해 이 같은 연구결과를 내놓았다.연구팀의 조사결과 당뇨병 환자의 정자 핵속 DNA가 작은 조각으로 잘린 ... ...
난류 타고 훨훨 나는 박쥐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때문에 느린 비행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다”고 ‘사이언스데일리’ 온라인판 5월 10
일자
에 발표했다.헤든스트롬 박사는 좁은 통로에서 공기의 흐름을 다양하게 변화시키며 박쥐의 비행을 관찰했다. 그 결과 박쥐가 날 때는 날개의 뒤쪽에 난류가 생겼다. 박쥐는 새와 달리 위쪽으로 날개를 ... ...
초음파로 전기 만드는 나노 발전기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등으로 직류전류를 만드는 나노발전기를 개발해 미국의 과학전문지 ‘사이언스’ 4월 6
일자
에 발표했다. 이 발전기는 연구팀이 2006년 4월 ‘사이언스’에 발표한 나노발전기를 개량한 것이다.나노발전기는 압전현상을 보이는 ‘아연산화물(ZnO) 나노와이어’를 굽히고 펼 때 발생하는 전류를 ... ...
한 번 속지, 두 번 속을까?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냄새로 독이 든꽃을 가려낸다”고 온라인 뉴스사이트‘사이언스데일리’4월 10
일자
에 밝혔다.라이트 박사는 염기서열이 밝혀진 벌의 유전체를 연구했다. 그 결과 비슷한 몸집의 파리나 모기보다 벌이 맛을 감지하는 유전자가 적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벌이 맛으로 독이 든 꽃을 찾아낼 가능성은 ... ...
기억력 높이는 메커니즘 규명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인산화를 억제시키면 기억력이 증가한다는 사실을 밝혀 세계적인 과학저널 ‘셀’ 4월 6
일자
에 실었다.기억은 단기기억과 장기기억으로 나뉜다. 단기기억이 전화번호 같은 숫자를 잠깐 기억할 때 쓰는 ‘휘발성 메모리’라면, 장기기억은 오랫동안 잊지 않도록 저장된 ‘하드디스크’다. 보통 ... ...
백내장이 명작 낳았다?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화풍과 비슷한 그림이 나타났다”고 온라인 뉴스사이트 ‘사이언스데일리’ 4월 13
일자
에 발표했다.마모르 교수는 먼저 드가의 ‘목욕하는 여인’과 모네의 ‘지베르니 정원의 풍경’과 비슷한 실제 사진을 컴퓨터에 입력했다. 그리고 그들이 앓았던 망막 질환과 백내장의 증상이 있을 때 어떻게 ... ...
쥐의 뇌를 조종하는 기생충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쥐가 고양이를 겁내지 않는 이유를 밝혀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온라인판 4월 2
일자
에 발표했다.쥐는 고양이의 소변 냄새를 맡으면 두려움을 느끼고 도망간다. 이는 쥐를 포함한 설치류가 천적인 고양이를 피하기 위해 선천적으로 타고난 행동이다. 그런데 톡소플라즈마 곤디(Toxoplasma gondii ... ...
쉬운 문제만 푸는 '똑똑한 쥐'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쥐가 인간처럼 ‘메타인지’를 한다는 연구 결과를 ‘커런트 바이올로지’ 3월 6
일자
에 발표했다.시험을 보는 학생은 자신이 어디까지 알고 어디까지 모르는지 알기 때문에 시험성적이 나쁠지 좋을지 대충 짐작할 수 있다. 이런 인지를 ‘메타인지’라고 한다.크리스털 교수팀은 쥐를 상대로 2~3. ... ...
그린피스 “몬산토 옥수수 유독하다”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연구보고서를 국제저널 ‘환경오염과 기술의 저장’ 3월 14
일자
에 게재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몬산토의 유전자변형 옥수수인 MON863을 90일간 먹은 쥐의 간과 신장에서 ‘유독성 증세’가 나타났다.그린피스의 프랑스 지부 대변인은 “제3 연구자의 평가를 거친 보고서를 통해 ... ...
거대 공룡 유전체, 벌새보다 작아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공룡이 몸집에 비해 훨씬 작은 유전체를 갖고 있었다는 연구결과를 ‘네이처’ 3월 8
일자
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멸종된 공룡과 조류 31종의 화석에서 유전체의 크기를 분석했다.이 결과 티라노사우루스와 벨로시렙터 같은 육식성이면서 두 발로 보행하는 ‘수각아목’ 공룡은 오늘날 새와 같이 매우 ... ...
이전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