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원
출생
출현
근원
출처
원천
발단
d라이브러리
"
발생
"(으)로 총 7,859건 검색되었습니다.
Intro. 北 핵실험으로 요동치는 백두산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분화 가능성을 언급했다. 이번 핵실험의 여파로 백두산 인근에서는 자연지진이 세 차례
발생
했다(10월 18일 기준). 백두산 지하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을지 추적해봤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北 핵실험으로 요동치는 백두산Part 1. 北 핵실험, 백두산 분화 가능성은 ... ...
Part 2. 오락가락 北 핵실험 규모, 왜?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특성에 대한 이해가 불완전하다. 특히 핵실험으로 생기는 인공지진은 자연지진과
발생
원리 자체가 다른 만큼 정확한 세기를 결정하기가 더 어렵다. 과학자들이 풀어야 할 숙제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北 핵실험으로 요동치는 백두산Part 1. 北 핵실험, 백두산 분화 가능성은?Part ... ...
Part 3. 원더우먼 굴복의 팔찌, 천의 얼굴 플라스마로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원리다. 물체에 대고 눌렀다가 떼면 빨판과 물체 사이 공간이 진공 상태가 돼 흡입력이
발생
한다. 습기가 많은 곳에서도 한 번 잡으면 놓치지 않는다. 고분자전해질은 전류를 흐르게 하는 성질도 있다. 즉 슬픔, 기쁨 등의 감정을 느낄 때 특정 시냅스에 흐르는 전류(이온의 흐름)를 감지할 수 있다. ... ...
[Origin] 1kg 정의, 130년 만에 바뀐다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1A 전류를 흘리면 두 도선 사이에
발생
하는 힘이 2×10-7Nm-1이다.’ 그러나 두 도선 사이에
발생
하는 힘이 워낙 작아서 실제로 암페어를 위 정의에 따라 실현하기가 쉽지 않았다. 새 국제단위계에서는 전자전하값을 1.60217X×10-19 쿨롱(C)으로 고정해 전류를 정의한다. 숫자 마지막의 X는 아직 ... ...
Part 2. “털! 이번 生엔 널 없애기로 했어”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털과 땀샘이 고르게 뒤섞여 있다. 일레인 푸쉬스 미국 록펠러대 포유류세포생물학및
발생
학연구실 교수팀은 ‘BMP5’라는 특정 단백질의 농도가 낮으면 털이 생기고, 농도가 높으면 땀샘이 생긴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2016년 12월 23일자에 발표하면서 줄기세포에서 털과 땀샘이 ... ...
[Origin] {숨} 어디까지 참아봤니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르윈 독일 막스델브뤽분자의학센터 체성감각분자생리학 교수는 “심근경색과 뇌졸중이
발생
하면 산소 공급이 몇 분만 중단돼도 회복 불가능한 손상을 받는다”며 “사람의 세포도 위급 상황에서는 에너지를 생산하는 경로를 벌거숭이두더지쥐처럼 바꿀 수 있을지 확인하고 싶다”고 말했다 ... ...
[Origin] 모세혈관 따라 10만km ‘건강 게이트키퍼’ 모세혈관 총정리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쌓여 혈류 속도가 느려지거나 혈관이 아예 막히면 심장에 무리가 가고 심혈관질환이
발생
한다. 하지만 최근에는 모세혈관이 스포트라이트를 받고 있다. 구불구불한 모세혈관을 따라 피가 천천히 흐르면서 장기에 영양분을 전달하고, 필요 없는 물질은 버려진다. 모세혈관이 우리 몸의 건강을 지키는 ... ...
[과학뉴스] 목성의 오로라 생성 원리 알고 보니 반대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분석했다. 그 결과 목성에서 전자가 가속되는 현상을 포착했지만 강력한 오로라를
발생
시킬 정도는 아니었다. 반면 연구팀은 목성의 극지역에서 자기장에 의해 전자들이 최대 400킬로전자볼트(keV)에 이르는 전위차를 만들어 낸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목성 오로라의 생성 원리가 지구의 약한 오로라 ... ...
[Issue] 토성 탐사 20년 그 위대한 기록들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토성의 대기권에 진입하면서 생을 마감했다. 고도 1500km 지점에 도달하자 엄청난 열이
발생
해 1분 만에 선체가 소진됐다. NASA 연구팀은 토성계에 존재할지 모르는 생명체를 보호하기 위해 카시니를 불태웠다. 카시니가 동력원으로 사용하던 플루토늄의 방사성 물질이 유출돼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기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
학 강의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배아줄기세포는 우리 몸의 어떤 세포로든 분화할 수 있는 발달 잠재력을 갖고 있습니다. 성체에 있는 줄기세포들보다 발달 잠재력이 높은 셈인데요. 하지만 배아줄기세포를 사용하는 데에는 항상 생명윤리 문제가 따라다닙니다. 발달을 시작한 지 5~7일 된 배아에서 세포를 꺼내 실험실에서 배양 ... ...
이전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