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간"(으)로 총 9,156건 검색되었습니다.
- 심판이 볼 수 없다면 수학이 본다! 심판 판정 돕는 기술수학동아 l2018년 04호
- ‘오심도 경기의 일부다’ 이런 말을 많이 들어보셨죠? 사람의 눈으로 찰나의 순간을 포착해 항상 옳은 판정만 내린다는 건 정말 쉽지 않은 일일 텐데요. 이런 ... 위해 사용되는 놀라운 첨단기술과 그 속에 숨어있는 수학을 기억한다면, 이런 재밌는 순간을 조금 더 즐길 수 있지 않을까요 ... ...
- 작심삼일, 네 탓이 아니야!수학동아 l2018년 03호
- 교수는 ‘계획가-행동가 모형’으로 계획가와 행동가의 소비를 각각 함수로 나타내 인간이 비합리적인 이유를 수학적으로 설명했다. 이것으로 다이어트 결심과 새해결심이 작심삼일이 되는 이유도 설명된다. 장기적으로 건강을 위해 운동하고 영양 가득한 식사를 해야 한다는 것을 알지만, ... ...
- [영재교육원 탐방 2] 극단으로 간 영재들수학동아 l2018년 03호
- 당시에는 인정받지 못했던 과학자에 공감하거나 비슷한 나이에 그들이 해나간 일을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다. 이렇게 연극캠프로 학생들은 다른 사람에 대해 알아가며 스스로 무엇을 좋아하는지, 어떤 일을 할 수 있는지 배운다. 서 원장이 생각하는 창의인성교육이란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 ...
- [Culture] 정현 호주오픈 4강 비결 분석, 테니스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보존법칙에 의하면 임팩트 전과 후 라켓의 회전 운동에너지는 같아야 한다. 임팩트 순간 팔뚝의 회전 속력이 줄어든다면, 운동에너지를 유지하기 위해 라켓의 회전 속력이 그만큼 증가한다는 의미다. 페더러, 나달, 조코비치 등 세계 정상급 선수들은 모두 이런 형태의 스윙을 구사한다. 한편, ... ...
- [Issue] 과학기술 대국에서 강국으로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정홍식_hongsikjeong@tsinghua.edu.cn연세대 물리학과 박사학위를 받고, 삼성전자에서 21년간 메모리반도체 분야 연구 개발에 참여했다. 상무로 퇴직한 뒤 연구자로서의 꿈을 펼치기 위해 2016년 9월 중국으로 향했다. 현재 중국 칭화대 전자공학과 교수 및 인공지능센터 연구원으로 인공지능용 소자 연구를 ... ...
- [인터뷰] UNIST 입학학생처장 곽상규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선택한 이후에도 본인의 의사에 따라 전공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한 마디로 전공 간의 경계가 없는 셈이다. 학생들을 위한 지원도 아낌없이 하고 있다. 2000억 원에 이르는 250여 개의 최첨단 연구 장비를 구축하고 있는 연구지원본부(UCRF)는 UNIST 학생들만이 누릴 수 있는 특권이다. 이를 통해 ... ...
- [과학뉴스] 평창 하늘 수놓은 1218대 드론 군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군집 비행을 할 수 있다. 슈팅스타는 평창올림픽 기간 동안 총 15차례 등장했다. 야간 시상식에서는 300대의 드론이 군무를 펼쳤다. 아닐 난두리 인텔 드론그룹 부사장은 “인텔이 자체 개발한 3D 디자인 소프트웨어를 통해 드론이 입체적으로 질서정연하게 움직일 수 있었다”며 “경기장에서 ... ...
- [과학뉴스] 타이핑 스타일 보면 성별 안다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성별에 따라 키를 입력할 때 걸리는 시간이나 두 개의 키를 연달아 입력하는 데 걸리는 시간 등에 차이가 있었다. 그 중에서도 ‘N’과 ‘A’를 연달아 누를 때 남녀 차이가 가장 컸고, ‘M’과 ‘O’, ‘K’와 ‘A’를 누르는 경우가 그 뒤를 이었다. 연구팀은 5개의 기계학습 모델에게 성별에 따라 ... ...
- [Culture] 해피 화이트데이를 기원하며♥과학동아 l2018년 03호
- 큰 거부감을 보였는데요. ‘상대가 어디 있는지 항상 알아야 한다’거나 ‘모든 시간을 함께 보내야 한다’ 등의 상황입니다. 하지만 연구팀은 “이는 문화에 따라 다를 수 있다”며 중국과 캐나다를 예로 들었습니다. 공동체 의식이 강한 중국 사람들은 부모가 아이의 행동을 통제하는 교육 방식이 ... ...
- 이보다 안전할 수 없다 양자암호통신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소인수 조합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그 가운데 비밀키(58417, 126761)를 찾는 과정은 시간이 오래 걸린다. 비밀키가 300자리 이상인 현재의 RSA 암호는 슈퍼컴퓨터를 이용해도 수만 년 이상 걸려야 풀 수 있다. 하지만 0과 1이라는 상태를 동시에 가질 수 있는 양자역학적 중첩 상태를 이용하는 ... ...
이전1901911921931941951961971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