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존
존재
생존
현재
뉴스
"
기존
"(으)로 총 11,820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계에서 가장 높은 화산 꼭대기에도 '서리' 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11
브라운대 환경 및 행성과학과 연구원팀은 화성 저위도 지역에 있는 화산 꼭대기에서
기존
예측과 달리 서리가 생길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연구결과를 10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 지구과학'에 공개했다. 타르시스 고원은 화성 저위도에 있는 고원지대다. 높이가 약 2만1900m에 달해 ... ...
레이저로 열에너지 정밀 제어…고효율 AI반도체 공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강유전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상용화 가능성을 높이는 새로운 접근법"이라며 "
기존
고온 공정의 한계를 극복해 기술 혁신을 주도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권혁준 교수는 "
기존
실리콘 공정과도 호환성이 높다"며 "다양한 소자를 포함하는 차세대 AI 시스템 구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 ...
차세대 강유전체 메모리, 정보 저장 능력 극대화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소자에 걸어준 전압이 대부분 메모리 윈도우로 전환돼 에너지 소모량도 줄었다.
기존
하프니아 기반 강유전체 소자의 메모리 윈도우가 약 2볼트(V)인 것과 비교해 연구팀이 개발한 소자는 10V 이상의 메모리 윈도우를 기록했다. 이장식 교수는 "단위당 16개의 정보(4비트)를 저장하는 '쿼드러플 레벨 셀 ... ...
영하 80도 버티는 섬유형 태양전지 제작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섬유형 태양전지, 섬유형 유기발광 다이오드를 제작했다. 섬유형 태양전지의 광전효율은
기존
에 비해 40%, 섬유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효율은 48% 증가했음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M13 박테리오파지를 이용하면 소재의 표면 플라즈모닉 효과를 극대화한다"면서 "이번에 개발한 기술이 ... ...
실내조명 활용해 초고감도로 이산화질소 감지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첨가 효과와 나노섬유가 갖는 넓은 비표면적 특성을 통해 상온에서 이산화질소 반응성을
기존
센서 대비 52배 증가시켰다. 연구책임자인 김일두 교수는 “대표적인 대기 환경 유해가스인 이산화질소 가스를 우리 주변에서 일반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녹색광과 청색광영역의 가시광을 활용해 ... ...
슈퍼박테리아 정복에 AI가 도움줄까...항생제 후보 대거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직·간접적으로 목숨을 잃는 연간 환자 수는 전세계적으로 127만 명에 이른다. 연구팀은
기존
항생제 내성균이 저항할 수 있는 새로운 항생제 후보물질을 찾기 위해 자연 속에 존재하는 미생물에 주목했다. 미생물이 갖는 아미노산 단위체인 펩타이드에서 천연 항균물질을 찾을 수 있다는 가설을 ... ...
수학계 대통일 이론 '랭글랜즈 프로그램' 한발짝…30년 난제 해결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수상한 페터 숄체 독일 본대 교수는 랭글랜즈 프로그램의 기하학적 접근론을 빌려와
기존
랭글랜즈 프로그램을 해결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유 교수는 "숄체는 전혀 다른 분야라고 생각됐던 정수론과 기하학 사이에 다리를 놓았다는 점에서 숄체가 높이 평가됐다"면서 "소설을 영화로 ... ...
남성 정액서도 발견되는 미세플라스틱
동아사이언스
l
2024.06.09
비정상인 정자의 비율이 높아지며 정자의 대사 효소 활동이 낮아진다는
기존
연구가 있었다. 연구팀은 논문을 통해 “정자에서 발견된 미세플라스틱이 생식에 미칠 수 있는 잠재적 영향에 대해 추가적으로 연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 ...
뇌에서 '수읽기' 일어나는 과정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08
모델을 개발했다. 인공신경망을 활용한 연구팀의 계산 모델은 의사 결정을 하기 전에
기존
지식(해마)을 활용해서 각 선택에 따른 잠재적인 영향을 평가(전전두엽 피질)하도록 설계됐다. 연구팀은 행동 데이터와 신경 데이터를 모두 활용해 계산 모델을 검증했다. 먼저 인간이 컴퓨터로 미로찾기를 ... ...
[과기원NOW] 2차원 COF 합성 기술 개발, 광전자 소자 발전 가능성 열어
동아사이언스
l
2024.06.07
표면적이 있어 바이오 이미징, 약물 전달, 치료제 등에서의 활용이 기대된다. 연구팀은
기존
2차원 COF 필름 합성법이 가진 필름 오염 흡착, 물리적 손상 등의 문제점을 극복한 필름 생산에 성공했고 장치 제작 프로세스를 단순화해 광전자 소자로의 활용이 용이해지도록 했다. 육방정계 질화붕소 ... ...
이전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