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
날씨
일기
기후
양미간
눈살
미간
d라이브러리
"
천문
"(으)로 총 3,078건 검색되었습니다.
싸늘한 겨울밤에 나타난 흑마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천체물리학에서 매우 중요한 대상이라는 사실을 처음으로 깨달은 사람은 유명한
천문
학자 에드워드 버나드였다. 오늘날 암흑성운은 별의 탄생과 우주의 기원을 밝히는 아주 중요한 대상으로 연구되고 있다. 말머리성운은 태양계에서 1200광년 가량 떨어져 있으며 부근의 성운을 빛나게 하고 있는 ... ...
만약에 세상의 모든 가로등이 사라진다면?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팔머호수를 소개하고 있으니 말이다.우리나라에서도 1999년 강원도 횡성군에서
천문
인 마을이 있는 강림면 월현리를 ‘별빛보호지구’로 선포했다. 지금과 같은 추세라면 앞으로 도시의 밤은 더욱 환해질 것이고, 부담스러운 인공 빛에서 벗어나려는 사람들도 그만큼 늘어나 더 많은 밤하늘 보호 ... ...
'딥 임팩트' 우주선 혜성 향해 발사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내부 구조 등을 고성능 광학카메라와 분광계를 통해 분석할 계획이다. 미 메릴랜드대
천문
학자 마이클 에이헌은 “충돌은 지구에서 1억2천8백만km 떨어진 곳에서 일어나지만 지구의 특정 위치에서는 소형 망원경으로 관측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앞서 올해 1월 NASA의 혜성 탐사선 ... ...
우주인 '체질' 따로 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한국 최초의 우주인은 과학자의 임무를 수행할 가능성이 가장 크다.연세대 김석환 교수(
천문
우주학)는 “우주에 처음 발을 내딛는 만큼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등 여러 분야에 걸쳐 간단한 실험을 수행해 의미 있는 결과를 얻어내야 할 것”이라며 “우주카메라를 이용해 태양이나 지구의 ... ...
다채로운 색깔 띤 우주의 거대 거품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목성이 접근한다는 예보가 있어 유럽
천문
학자들의 시선이 집중됐다. 독일의 유명한
천문
학자 요하네스 케플러도 관측에 나섰다가 공교롭게 두 행성 근처의 땅꾼자리에서 ‘새로운 별’을 발견했다. 이 별은 목성만큼이나 밝았다.케플러는 18개월에 걸쳐 이 별을 관찰한 결과를 기록했다. 당시에는 ... ...
연료전지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하나로 1940년 로스앤젤레스에서 확인되었다 미국의
천문
학자 P 로웰이 1894년에 건설한
천문
대 107cm 반사망원경, 61cm · 46cm의 굴절망원경 및 61cm 슈미트카메라 등의 광학관측기기들이 장치되어 있다 생물의 증식과정이나 경제의 발전과정을 근사적으로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곡선 벨기에의 수학자 P F ... ...
최초의 외계 행성 이미지 포착?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외계 행성의 최초 이미지일 확률이 매우 높은 사진이 지난 9월 10일 공개됐다.유럽남천
천문
대(ESO)는 지구에서 약2백30광년 떨어진 곳에서 희미하게 빛나고 ... 확률은 1천만분의 1 정도라면서 추가적인 관측을 통해 행성으로 확증된다면 이 이미지가
천문
학 교과서를 장식할 것으로 예상했다 ... ...
에어버스와 보잉의 에어쇼 수주전쟁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생각은 과학적으로 실증되지 않았으며 다분히 마술적이라는 결론을 내렸다프랑스의
천문
학자 C 메시에가 만든 성단 · 성운의 목록 메시에는 1700년대 후반에 13개의 혜성을 발견했는데, 그때 혜성과 비슷해 잘 분간할 수 없는 천체(성운 · 성단)를 109개 모아 84년에 출판했다이 목록에 수집된 성운 · ... ...
X선으로 본 요동치는 우주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별의 구조와 진화를 밝힌 업적으로 1983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영국의
천문
학자 마틴 리즈는 “찬드라세카르는 아인슈타인 이후 우주에 대해 누구보다도 오랫동안 깊이 생각한 사람이었다”고 회상했다. 찬드라(Chandra)는 ‘달’ 또는 ‘빛을 내는’ 이란 뜻의 산스크리트 말이다.1999년 우주로 ... ...
우주에 있는 거대한 '고양이 눈'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고리는 사실 양파껍질 같은 구형 껍질들의 가장자리가 2차원으로 투영된 모습이다.
천문
학자들은 별에서 1천5백년마다 한번씩 가스 방출이 있었고, 이런 격동으로 주변 먼지를 밀어내면서 일련의 구형 껍질들이 생겼다고 설명한다. 놀랍게도 각 껍질에 포함된 질량은 태양계 내 모든 행성의 질량에 ... ...
이전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