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축
비축
갈무리
보관
세이브
보존
재고
d라이브러리
"
저장
"(으)로 총 2,710건 검색되었습니다.
② 변신의 명수 바이러스 퇴치 최전선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바이러스)나 트로이 목마와 같이 컴퓨터와 관련된 바이러스들이다. 중요한 데이터가
저장
돼 있는 하드디스크를 망가뜨리고 값비싼 컴퓨터를 고철덩어리로 만들어버리는 것은 매우 순간적이다.흥미롭게도 컴퓨터 바이러스는 실제 자연계에 존재하는 바이러스와 여러가지 면에서 매우 유사하다. ... ...
DNA에 암호를 담는다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DNA 가닥의 끝부분에 표식을 해두고 네 개의 염기배열에 암호를
저장
한다. 암호가 숨겨진 DNA 가닥은 머리카락 두께의 3천분의 1 정도다. 그런 다음 사람의 DNA를 같은 길이로 잘라 메시지가 숨겨진 짧은 가닥과 섞어버린다. 수백만개의 보통 DNA들과 암호가 숨겨진 DNA가 섞여 ... ...
[비교] 미국과 러시아의 달정복 전략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우주비행사가 거주하는 생활공간이자 조종공간이다. 어지러운 조정계기판과 함께 음식
저장
고와 화장실이 갖춰져 있다. 달에 가고 오는 8일 동안 먹고 자고 용변을 보는 이곳은 지구환경과 같은 조건을 갖추고 있다.아폴로는 원뿔 모양으로 높이 3.23m, 지름은 3.91m, 무게는 5.56t이다. 사령선의 선단에는 ... ...
보이지 않는 위험 보이지 않는 과학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문제점이 있다. 아직까지 우리는 자기장을 이용해 플라스마를 예리한 실린더 형태로
저장
하는 방법을 알지 못한다. 플라스마가 실린더의 끝부분으로 끊임없이 새어나가는 문제도 해결해야 한다. 게다가 자기장은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급격하게 크기가 줄어들기 때문에 긴 광선검을 만드는 것은 ... ...
삼복더위와 누렁이의 수난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쉽게 방출할 수 있으므로 교미시간이 짧다. 반면 개나 고양이의 생식기관에는 정액을
저장
하는 정낭이 없다. 때문에 교미를 시작하면 그 자극으로 그때서야 고환에서 만들어진 정충이 수정관을 통과하고 사정관까지 도달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 이들은 충분한 정액을 사정하기까지 떨어질 수가 ... ...
컴퓨터바이러스 스토리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2세대는 암호화 바이러스로 백신 프로그램이 찾기 어렵게 바이러스의 일부를 암호화시켜
저장
했다. 그러나 암호부분이 항상 일정하기 때문에 역시 쉽게 퇴치할 수 있었다.불가리아에서 만들어지기 시작한 3세대 은폐형 바이러스는 바이러스가 스스로를 은폐하는 것이 특징. 파일의 길이를 속이고 ... ...
깨끗한 물은 어떻게 만들까?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물질과 비교할 때 물의 온도를 변화시키기가 어렵다는 뜻도 되지만, 일정한 양의 물이
저장
할 수 있는 열의 양이 매우 큰 편이라는 말이기도 하다. 그래서 뜨거운 물을 이용해 온돌방을 가열하기도 하고, 삶아낸 냉면 국수를 찬물로 식히기도 한다. 대형 공장에서 반응로를 가열하거나 냉각시키기 ... ...
이산화탄소 증가로 위협받는 산호초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대기중의 이산화탄소는 바닷물에 녹아 들어가므로 과학자들은 해양의 이산화탄소
저장
과 그 영향에 많은 관심을 기울여왔다. 이에 대해 미국 국립대기연구센터의 연구자들은 이산화탄소의 농도증가가 해양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열대지역의 산호초를 선택했다.산호초는 ... ...
물고기에도 나이테 있다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역설하였다.물고기의 나이 판정동물은 몸 속 어디에 자신의 성장에 대한 정보를
저장
하고 있을까. 어류의 경우 이러한 기록은 비늘, 이석(otolith), 혹은 등뼈 등에 나타난다. 이 중 나이를 판단하는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이석이다(그림2). 이석(耳石)은 물고기의 두개골에 위치한 뼈의 ... ...
아날로그와 디지털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1과 0의 조합인 101로 표현하고 이에 해당하는 단속적인 물리량(0V, 5V)으로 변환해 정보를
저장
하면 처음에 오는 1과 그 다음에 오는 0은 여간해서는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0V와 5V의 중간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느 정도까지는 신호가 왜곡되더라도 1이 0으로 바뀌는 일은 좀처럼 ... ...
이전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