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성공]"(으)로 총 6,471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erview. “수중시체 검시, 특별한 애정 필요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김윤신 조선대 의학전문대학원 법의학교실 교수는 우리나라에서 수중시체를 가장 많이 검시한 법의학자 중 한 명이다. 그는 1998년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입사해 법의학과장, 서부분소장을 거쳐 2009년 퇴임할 때까지 10년 넘게 검시를 했다. 그동안 호남(전북, 전남, 광주) 일대에서 발생한 수중시체 ... ...
- [Tech & Fun] 다윈의 특별한 어려움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길을 걷다 보면 발 밑에 조그만 개미들이 기어간다. 정말 하찮은 미물이다. 누가 이들에게 신경이나 쓰겠는가? 믿거나 말거나, 찰스 다윈에겐 이들이 엄청난 우환거리였다. 다윈은 일개미나 일벌처럼 자신은 새끼를 낳지 않으면서 집단을 위해 헌신하는 불임성 일꾼 계급이 어떻게 자연 선택에 의해 ... ...
- [Tech & Fun] Inspired by human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사람의 몸은 언제나 공학자에게 아름다운 영감을 준다. 그렇게 해서 탄생한 인간의 몸을 대체할 기기와, 반대로 인간의 몸을 외부로 옮긴 기기를 소개한다.기계가… 인간에게인공망막 : 시각 장애 넘어서길 기대해망막색소변성증 환자들을 위해 개발된 인공망막 ‘아르거스2’는 풍경을 점자 패턴 ... ...
- [수학뉴스] 초콜릿 분수에 수학이?!수학동아 l2016년 02호
- 원래 2월 14일은 그리스도교의 성인 발렌티노를 기념하는 날이었어요. 그런데 지금은 서로 초콜릿을 주고 받으며 사랑을 고백하는 밸런타인데이가 됐습니다. 기자도 초콜릿을 참 좋아하는데요. 솔로라서 외로운 기자는 직접 사 먹기로 했습니다.올해는 특별히 초콜릿의 부드러운 맛을 생생하게 느 ... ...
- [과학뉴스]척! 하고 붙이면 심박수가 딱!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서울대학교 김대형 교수팀이 몸에 붙일 수 있는 기억 장치를 만들어 심박수를 측정하는 데 성공했어요.연구팀은 ‘금 나노 입자’를 이용해 기억 장치를 제작했어요. 금 나노 입자는 같은 면적에 더 많은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다른 화학물질과 만나도 잘 고장 나지 않아 기억 장치를 만들기에 매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시즌3]‘순대렐라’의 유리구두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제 구두를 들고간 사람의 뒷모습은 이렇게 생겼어요.”무도회장으로 들어가는 썰렁홈즈에게 순대렐라는 어떤 신사의 뒷모습이 그려진 종이를 한 장 내밀었다. 벗겨진 유리구두를 들고 간 사람의 뒷모습이 이렇게 생겼다는 것이다. 순대렐라가 그려준 종이를 들고 무도회장으로 들어간 썰렁홈즈. ... ...
- PART 3. 수중시체를 찾아온 살아있는 단서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수중시체는 하나의 생태계다. 물에 들어간 순간부터 수많은 수중생물들이 시체를 찾는다. 이들 생물의 생태를 연구해 사건이 일어난 일시나 환경 등 수사의 단서를 얻는 것도 수중과학수사의 중요한 영역 중 하나다. 이번 파트는 독자 여러분이 직접 수사관이 되어 바닷가에 나타난 연쇄살인범을 ... ...
- [News & Issue]사회성의 천재, 붉은털원숭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2016년은 ‘붉은 원숭이’의 해다. 이를 기념해 이름도 비슷한 붉은털원숭이를 보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가영장류센터를 다녀왔다. 사회성이 뛰어나고, 인류를 위해 수많은 실험을 대신해 준 고마운 존재를 그곳에서 만났다.2016년 붉은 원숭이의 해가 밝았다. 올해는 십이지신 중 원숭이의 해이며 ... ...
- [재미]동아리 탐방-인천 가좌고 ‘PAPER’ 딱딱한 통념을 접다수학동아 l2016년 01호
- 2002년 당시 18세였던 브리트니 갤리번은 종이를 한쪽 방향으로만 n번 접을 때 필요한 종이의 길이를 계산했다. 그리고 종이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반 접고, 위에서 아래로 반 접고, 다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접는 양쪽 방향 접기로 여러 번 접을 때 필요한 종이의 길이도 공식으로 만들었다. 공식에 ... ...
- [News & Issue]남자가 길 잘 찾는 이유는 ‘해마’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남자가 길 잘 찾는 이유는 ‘해마’남자가 여자보다 길을 더 잘 찾는 경우가 많은데, 그 원인을 뇌과학적으로 밝힌 연구 결과가 나왔다. 남자가 여자보다 해마 부위를 더 많이 사용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노르웨이과학기술대 뇌신경과학과 카를 핀츠카 연구원팀은 남자와 여자 각각 18명을 두 그 ... ...
이전1881891901911921931941951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