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화초
플라워
조화
생화
플라우어
flower
d라이브러리
"
꽃
"(으)로 총 1,986건 검색되었습니다.
식생활의 혁명-제4세대의 식품이란? 최상의 것을 값싸게 구하는 시대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불고기용으로 엉덩이 살이 기형적으로 발달된 소의 품종도 개발돼 공급되고 있다.
꽃
상치나 토마토도 이제부터는 밭고랑에 특별처리된 영양액을 흘려보내 그 뿌리가 이 용액을 흡수할수 있도록 되어있다. 또 새로운 강낭콩이 나와 식탁에 선보일 예정이다. 이 강낭콩은 기장이 35cm에 이르는 ... ...
한국의 자연 대암산의 큰용늪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귀롱나무 전나무 단풍나무 고로쇠나무 메역순나무 병
꽃
나무 참회나무 층층나무 함박
꽃
나무 다갈덤불 백당나무 마가목 사스레나무 등 각종 고산식물군락이 도솔산의 능선을 거쳐 멀리 펀치볼이란 이름으로 더 잘 알려진 곳인 해안분지에 이르기까지 덮여 있다. 가히 우리나라의 유일한 원시상태의 ... ...
토리노의 수의(壽衣) 정말 예수의 것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자라는 식물은 물론 팔레스타인과 아나톨리아(Anatolia)에서 서식하는 식물들의
꽃
가루들도 확인된 것이다. 이것은 수의가 전에 팔레스타인이나 아나톨리아에 있었다는 증명일 것이다. 그러므로 역사의 기록에서 전해지지 않았던 13세기 이전의 이 수의가 성지(홀리랜드;Holy Land)에서부터 유래된 ... ...
두루봉 구석기 유적에서 세계에서 가장 오래 된 30만년전의 나비 비늘 발견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다만 당시 동굴부근의 나무나
꽃
에 앉았던 나비가 떨어뜨린 비늘들이 바람에 날려
꽃
가루 등과 섞여 동굴속에 들어왔다가 그대로 흙속에 퇴적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앞으로 구석기의 자연환경에 대한 연구가 좀더 진척되고 작은 동물상(microfauna)의 관계가 고생물학의 뒷받침을 받아 종(種)의 ... ...
한국의 봄
꽃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아마도 사람이 아닌 꿀벌일 것이다. 봄에 남쪽을 향한 비탈에 피어 있는
꽃
다지의 노란색
꽃
은 처음엔 현미경으로나 볼 수 있을만큼 작지만 꿀벌들은 이미 향기를 맡고 달려드는 것이다 ... ...
하늘을 나는 인간의 꿈 기구에서 초음속 비행기까지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1시간 반 동안 비행하였다. 이때 그는 약2천7백m의 고도에 이르렀다. 이로써 기구시대가
꽃
피게 되었고, 하늘을 날려던 인류의 꿈이 일단 실현되었다.이 기구 비행으로 인류는 처음으로 실용항공의 길을 열어 놓았다. 그러나 공기보다 무거운 항공기가 발명되고 실제적인 목적에 이용되기 위해서는 ... ...
환락의 극치에서 폐허로 폼페이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온 눈먼 소녀의
꽃
을…. 모두가 말하듯 이 대지가 아름답다면-" 거리 모퉁이에서
꽃
을 파는 눈먼 소녀의 노래가 흐르고 있다. 화려하게 장식한 마차가 지나간다. 바쁘게 오고 가는 군중의 소란….지금부터 약1천9백년전, 로마제국 제일의 항구이고 국제상업 도시인 폼페이(Pompei·이탈리아 남부 ... ...
인체 유전자가 모두 판독될 것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1로 응축된 염색질을 만드는 것이다. 20년 정도면 모두 해독 오늘날 유전자 연구가
꽃
피게 된 데는 70년대 중반에 확립된 두 가지 기법에 힘입은 바가 컸다. 하나는 DNA를 절단하는 제한효소의 발견이고 다른 하나가 바로 DNA 염기배열 결정법의 개발이다. 염기 배열 결정법 덕분에 이제껏 하나씩 ... ...
한국정보산업협회 회장 이용태 박사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패켓망도 1~2천 정도되는데 앞으로 급격한 신장을 보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컴퓨터문화가
꽃
피는 것은 역시 통신과의 결합이 이루어질 때 아니겠읍니까."메인프레임도 우리가 넘어서지 못한 벽은 아니라고 주장한다. 요즘은 메인프레임이 32비트 마이크로칩을 사용, 멀티프로세서화 되기 때문에 ... ...
대표적인 봄
꽃
, 개나리와 진달래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진달래
꽃
은 먹을 수 있다고 해서 참
꽃
이라고도 하고, 산철쭉은 먹을 수 없으므로 개
꽃
이라고 한다.개나리와 진달래는 비슷한 시기에 비슷한 지역에 피는 공통점이 있으나 약간씩 차이가 난다. 우리나라 전역에서 골고루 피고 있으나, 함경도지역에서는 개나리가 거의 없는 것으로 보이며, 진달래가 ... ...
이전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