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화초
플라워
조화
생화
플라우어
flower
d라이브러리
"
꽃
"(으)로 총 1,986건 검색되었습니다.
신비의 섬 발리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유사성도 동시에 느낄수 있다.종교적색채가 덜한 그림도 눈에 띄는데 남방의 화사한
꽃
과 뱀같은 동물, 화산의 분화구연기등이 주된 소재로 등장한다. 아주 원색적이며 소박하게 그려진 그림은 세련미가 없다고 할수도 있겠으나 자연의 힘과 순수를 맛보게한다 ... ...
두뇌산업에 가해지는 과학의 메스「소프트웨어 위기」를 극복한다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아름다운
꽃
을 재배하는 학문이 바로 소프트웨어공학이라고 생각된다. 소프트웨어
꽃
이 만발한 미래를 창조하는 소프트웨어 공학은 아직 미완의 공학으로 머물러 있지만 진정 인공지능과 우주과학을 꿈꾸려면 필연코 우리가 심혈을 기울여야 하는 학문일 수밖에 없다 ... ...
내가 본 제주도와 동해의 바닷속 새로운 발견에 황홀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소나무 만한 '운항'이 여기저기 버티고 있었다. 이곳을 알려 준 잠수부가 흔히 이곳을 '
꽃
동네'라고 부른다는 것이 정말 실감이 날 정도였다. 수심도 20m에서 36m정도여서 좋은 사진을 찍기에는 너무깊고 어두운 편이었다. 이곳에서의 촬영은 정확한 노출과 강한 조명이 필수적이라는 것을 느꼈다. ... ...
생생한 현장경험, 나와 학생에게 모두 유익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제비왕나비 눈많은 그물나비도 보았고, 가락지나비 4~5 마리가 금방망이
꽃
쥐손이풀 등에서 꿀을 빨고 있었어요. 특히 요즘이 우화(羽化)시기인 가락지나비가 교미하는 장면을 촬영한게 인상적이었읍니다. 이외에도 표범나비 뱀눈나비 제주꼬마팔랑나비 및 부전나비과 흰나비과의 나비들도 촬영할 ... ...
전쟁에 동원되는 전자기술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보이지 않는다. 그대신 거대한 파라볼라 안테나집단이 마치 부채춤이 만들어낸
꽃
송이처럼 군데군데 뭉쳐져 하늘을 향하고 있다. 따로 떨어져 있는 경비소에는 화력이 강한 경비용 무기가 설치돼있지만 그렇다고 미사일에 장착된 핵탄두는 아니다. 그러나 만약 소련이 미국을 향해 핵을 적재한 ... ...
PART 2 유럽에서 불어온 바람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대조적인 것은 어째서일까.재미있는 일은 이런 '성 후진국'에서 한편으로는 성문화의
꽃
을 피우고 있다는 점이다. 엄격한 억압때문에 노골적인 사람들은 격렬한 섹스 망상에 사로잡혀 있다.한편 '성 선진국'인 북극에서는 성해방이후 오히려 역궤적을 더듬어가 지금은 사람들이 포르노에 흥미를 ... ...
PART 3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경우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반사회적인 인간 등이 시험에 통과하지 못한다.할례는 보통 집단으로 행해진다. 집단은 '
꽃
다운 한창나이'라는 연령집단으로 매년 행하는 부족이 있는가하면 7년마다 행하는 부족도 있다. 케냐 최대의 부족 '키쿠유'족이나 동아프리카의 목축민 '마사이'족등은 앞의 케이스이며 같은 케냐이지만 ... ...
PART Ⅲ 곰팡이·버섯류 유용물질 생산하는 자연계 청소부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子實体)는 실상 버섯의 일생으로 볼때 극히 짧은 기간의 모습에 불과하다. 고등식물의
꽃
에 해당하는 자실체에 생긴 포자는 싹이 터 1차균사로 되고 이들이 세포질 융합을 일으켜 2차균사가 된다. 다시 2차균사는 적당한 환경에서 자라 3차균사가 되어 자실체를 형성한다. 따라서 버섯은 1년중의 ... ...
남극해 요트로 도전하다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킹 조지섬에 도착할 수 있었다. 이섬에는 10개국의 연구기지가 있어 코즈모폴리턴 문화의
꽃
이 피어있다.그러나 이와함께 환경파괴도 진전되고 있었다. 버려진 자재나 녹슨 기계류가 여기저기 흩어져있고 마구 달리는 캐터필러에 짖밟힌 귀중한 식물이 죽어가고 있었다.1985년에 중공기지가 이곳에 ... ...
30여년만의 본격조사 휴전선의 생태계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거의 유지하고 있었고 대암산 해발 1천2백m지점 펀치볼 부근엔 골풀 끈끈이주걱 기생
꽃
등 희귀식물이 군락을 이루고 있었다. 철원평야 용암지대엔 습지식물이 잘 보존돼 있어 관광자원으로서 큰몫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됐으며 고진동계곡에선 두릅나무가 높이 13m 흉고직경 17㎝까지 자라고 ... ...
이전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