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정
관찰
d라이브러리
"
관측
"(으)로 총 3,466건 검색되었습니다.
세레스, 카론, 제나 추가돼 12개로 늘까?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시기는 2003년이었다. 미국 캘리포니아공대의 마이클 브라운 교수가 허블 우주망원경으로
관측
한 결과 명왕성(2302km)보다 지름이 크고 달(3474km)보다 작은 천체 2003 UB313 (3000km, 일명 ‘제나’)이 명왕성보다 더 멀리서 공전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때문에 천문학계는 명왕성이 행성이라면 ... ...
아인슈타인도 몰랐던 중력 이야기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2차원이란 사실뿐 아니라 호스 표면의 울퉁불퉁한 정도라든지 표면을 기어가는 벌레도
관측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초끈 이론에 등장하는 ‘부가차원’(extra dimension)은 아주 작아서 현재 우리가 하는 실험으로 들여다볼 수 없다. 현재 인류가 가진 최고성능의 현미경은 대략 ${10}^{-18}$m의 크기를 ... ...
꿈둘이와 함께 떠난 신난는 별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9호
널려 있는 수은 크레이터와 토성의 신기한 고리를 눈으로 볼 수 있었습니다. 토성과 달을
관측
하는 망원경 앞에는 늘 긴 줄이 서 있었어요.조경철 박사님을 비롯한 여러 선생님들의 재미있는 천체강연도 듣고 신기한 천체사진도 볼 수 있었습니다. 별 퀴즈 대회도 흥미로왔죠 ... ...
목숨 살리는 '생명 빨대'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노출해야 한다생물이나 물체가 발하는 열을 감지하는 특수 필름이다 원래 식물의 분포를
관측
하거나 군사적인 목적으로 항공촬영을 할 때 사용됐다 보통의 컬러 필름처럼 3개의 유제층이 있는데, 두 층은 가시광선의 녹색과 빨간색을 흡수하는 반면 다른 한층은 적외선을 흡수한다기둥의 중간을 ... ...
조지 에어리와 윌리엄 도즈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커도 0.05초를 넘는 일은 드물며 태양과 달의 각지름은 0.05로 가장 크다.분해능 : 멀리서
관측
할 때 두 개의 별이 하나의 별처럼 보이는 것을 원래대로 두 개의 별로 나눠 볼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분해능이 좋을수록 더 세밀하게 볼 수 있다 ... ...
제2의 대포동 쇼크의 진실은?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 전화나 신호를 도청하는 위성을 이용해 미사일의 이동 상황과 발사 준비 상황을 정밀
관측
한다. 이밖에도 이지스함에 설치된 SPY-1 레이더와 RC-135S 정찰기로 미사일 발사 징후를 정확히 포착한다.일단 미사일의 1단 로켓을 점화해 연소가 시작되면 적외선 영상에서는 배출가스의 온도차를 확인해 ... ...
똑똑한 인공위성 만들기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그 성과를 인정받아 2002년 국가지정연구실(NRL)로 지정됐다. 연구팀이 개발한 ‘고해상도
관측
위성의 정밀 자세 결정을 위한 별인식 알고리즘’은 한국과학재단이 선정한 ‘2005년 대표적 우수연구성과 50선’에 뽑히기도 했다.인공위성은 목적지에 도달하는 길을 찾은 다음 실제로 그 길을 따라 ... ...
과학문화의 '메디치'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내줬다. 브라헤는 이곳에 ‘우라니엔보리’라는 천문대를 설립하고 항성과 행성의 위치
관측
에 전념했다.근대 초기 유럽에서는 왕들이 과학자를 고용하거나 후원하는 일이 드물지 않았고, 이런 후원은 새로운 근대 과학이 태동한 이유의 하나로 꼽힌다. 예술과 과학을 가로질러 자연에 대한 지식을 ... ...
문자를 음성으로 듣는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말하면 사이코메트리는 어떤 물질적 대상을 매개로 삼는 투시능력의 일종이다천체를
관측
해 해와 달의 운행과 절기 등을 적어 놓은 책 이순지와 김담이 중국 원나라의 수시력법과 명나라의 통궤력법을 참고해 세종 26년(1445년) 우리나라에 맞게 만든 것이다목성의 섭동으로 소행성대 내에 소행성이 ... ...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에 오른 19인의 과학도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여긴 세종대왕은 이순지에게 우리나라만의 역법서를 만들 것을 명했고 그는 세밀한
관측
과 연구를 통해 당시 세계에서 가장 정확한 역법서이자 달력이라 할 수 있는 ‘칠정산’ 을 만들었다.동양 최고의 한의학자 허준(1539〜1615)조선 중기의 한의학자. 1613년 총 25권에 이르는 동양 최고의 의서 ... ...
이전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