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스페셜
"
큰
"(으)로 총 3,979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 다윈의 항해
2020.10.01
8년 《종의 기원》이 세상에 나오게 되었다. 월리스는 훗날 자신이 58년에 쓴 논문의 가장
큰
결과는 다윈에게 《종의 기원》을 더 빨리 마무리할 수 있게 한 점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종의 기원: 1859년 11월 출간돼 인류의 세계관을 뿌리째 흔들어놓은 찰스 다윈의 ‘종의 기원’. 오클랜드박물관 ... ...
[이덕환의 과학세상]포기할 수 없는 화학물질, 차라리 친해지자
2020.09.30
있다는 주장은 설득력이 없다. 오히려 순식간에 썩어버리는 음식물 쓰레기가 환경에 더
큰
부담을 준다. 우리가 필요해서 만든 플라스틱은 우리 스스로 폐기까지 책임을 져야 한다. 소비자의 얄팍한 주머니를 노리는 엉터리 마케팅 전략을 경계해야 한다. 마음이 약한 독자들의 관심을 ... ...
[AI대학원 가이드](하) 교수·학생이 말하는 '합격비결'
동아사이언스
l
2020.09.30
“다양한 프로젝트들을 진행하며 논문을 몇편 써보는 경험도 했는데 대학원 입학 때
큰
도움이 됐다”며 “나중에 연구주제를 빠르게 잡는데도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고병찬 씨(석박사과정)는 “AI의 인기가 많아져서 사람들이 관심을 많이 가지는데 지원할 때 자신과 맞는 분야인지 꼭 ... ...
코로나19 완치자 10명중 9명 후유증 앓는다…피로감 호소 가장 많아
동아사이언스
l
2020.09.29
안전을 최우선으로 살펴달라”며 “마스크를 벗고 식사할 때가 감염 위험이 가장
큰
만큼 거리두기 수칙을 항상 머릿속에 기억해달라”고 당부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100억년 뒤 태양계는 어떤 모습일까
2020.09.29
수성 사이 거리의 20분의 1에 불과하다. 이는 1856이 나이 드는 사이 1856b의 공전궤도 역시
큰
변화를 겪었고 그럼에도 온전히 살아남았음을 의미한다. 1856이 적색거성으로 엄청나게 부풀어 오르고 외피층이 행성상성운으로 흩어졌을 때도 피해를 보지 않았을 거리에 있던 행성이 그 뒤 중심에 남은 ... ...
[조정식 의원] 지난해 출연연 안전사고 19건…2017년부터 증가 추세
동아사이언스
l
2020.09.29
부주의가 원인이고, 연구실 내 화학물질이나 장비 등을 다루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더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며“연구원별로는 장비나 시설물을 점검하고 연구인력은 안전교육을 실시해 안전사고로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도별 ... ...
화성 남극 지하에 거대한 소금물 호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9
발견한 호수는 면적이 약 7만5000㎢에 달한다. 독일 면적의 5분의 1 크기다. 중앙의 가장
큰
호수의 폭은 약 30km이며 주변의 작은 호수 3곳은 폭이 수km로 추정됐다. 화성 표면에서는 대기 물질이 부족하고 기압이 낮아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하기는 불가능하다. 그러나 과학자들은 화성 표면 지하에 ... ...
고려대팀 의학과 생물학 질의응답 AI 국제대회서 2년 연속 우승
동아사이언스
l
2020.09.29
의생명 질의응답 시스템의 성능을 유의미한 수준까지
큰
폭으로 개선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며 “사람이 읽기에 자연스러운 문장으로 질문에 대한 답을 할 수 있는 인공지능 시스템이라는 점에서 앞으로 임상적으로 유의한 의사결정 지원 도구를 개발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 ...
[이상민 의원] "출연연 전년 예산 50% 정부 출연금으로 지급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0.09.29
연구 과제 수주가 반복되면서 한 사람이 여러 개의 작은 과제를 수행하고 반대로
큰
연구나 도전적이고 창의적인 연구는 위축되는 문제도 나타났다. 출연연 사이의 협업이 어려워 국가연구개발(R&D) 전반이 침체된다는 지적도 고질병처럼 지적돼 왔다. 이 의원은 이번 개정안에서 연구기관 및 ... ...
유럽의 행성망원경 '키옵스' 첫 관측물은 3200도의 타원형 행성
동아사이언스
l
2020.09.28
322광년 떨어진 항성 HD 133112를 2.5일에 한 번 도는 가스행성이다. 목성보다도 1.5배
큰
행성이나 별과 거리는 지구와 태양 간 거리의 20분의 1에 불과하다. HD 133112는 지름이 태양의 2.4배다. 태양보다 2200도 뜨거워 행성을 가진 별 중 가장 뜨거운 별로 꼽힌다. 키옵스가 관측한 WASP 189 행성계의 밝기다. ... ...
이전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