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행위
활동
행실
실행
동작
소행
태도
d라이브러리
"
행동
"(으)로 총 3,336건 검색되었습니다.
따뜻한 마음은 머리 안에 있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002년 연세대 의대 교수로 부임해 현재 영동세브란스병원 정신과 과장과 연세대 의대 의학
행동
과학연구소 소장으로 재직 중이다. 뇌영상 기술과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해 정신질환의 진단과 치료기술을 개발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고, 대표 저서로 ‘뇌영상과 정신의 이해’가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 ...
이공계 희망 쏘는 과학영재의 명문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말했다. 즉 호랑이처럼 눈을 부릅뜨고 사물을 관찰하되 소처럼 긴 시간을 두고
행동
하라는 것이다. 그는 또 “인터넷으로 모든 문제를 해결하려는 사고방식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책이나 신문, 잡지 등을 통해 다방면의 지식을 습득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강길 교무부장 교사는 ... ...
마술 같은 맛 그려내는 식품첨가물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흘러도 잘 변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타르계 색소가 암을 일으키거나 어린이의 과잉
행동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오면서 적지 않은 색소가 식품첨가물 목록에서 퇴출됐고 일부는 사용이 제한돼 있다.식약청 식품첨가물과 임호수 연구사는 “타르계 색소인 적색2호의 경우 기존 4 ... ...
[지구물리] 시끄러워지는 바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치명적인 영향을 준다. 해군의 수중음파탐지기는 500km가 넘게 떨어진 곳에서도 고래의
행동
을 교란시키며 소리로 먹이를 찾고 포식자를 피하는 물고기나 돌고래에게도 피해가 간다.헤스터 박사는 “바다가 조금만 산성화돼도 소리가 전달되는 정도가 너무 크게 변해 깜짝 놀랐다”고 말하면서 ... ...
[첨단기술]내 채팅 상대는 사람일까, 인공지능일까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개발됐다고 전했다.주인공은 최근 뢰브너 상을 수상한 ‘엘봇’. 미국의 케임브리지
행동
연구소가 주관하는 뢰브너 상은 12명의 심판관과 채팅을 해 가장 많은 심판관을 속인 프로그램에게 주어진다. 일종의 튜링 테스트다.영국 수학자 앨런 튜링이 1950년 제안한 튜링 테스트는 기계가 얼마나 ... ...
SPORE, 게임에 진화가 팍팍?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돼버렸다. 유저가 조종하는 크리처를 제외한 대부분의 NPC(non playable character) 역시 단순
행동
만 반복해 맥없는 움직임과 수동적 대응만 할 뿐이다.아마 ‘심스’나 ‘블랙 앤 화이트’ 같은 창의적 게임을 기대한 유저라면 ‘스포어’에 적잖이 실망할 수도 있다. 그나마 실감나는 사운드와 화려한 ... ...
이제는 보살핌의 본능 일깨울 때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이런 불행을 낳았다는 통찰을 얻었다. 그에 따르면 이기심만큼, 아니 그 이상 인간의
행동
을 지배하는 본능은 바로 ‘보살핌’이다.저자는 이를 지지하는 자신과 다른 사람들의 연구결과를 모아 이 책을 집필했다. 우리는 태어나면서부터 어머니의 보살핌을 받으며 살아간다. 어머니와 떨어지거나 ... ...
말을 잃은 소녀의 자아 찾기 나는, 인어공주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혼자지내기를 좋아하며 엄마와의 애착이 형성되지 않거나 한 가지 물건에 집착하는
행동
을 되풀이하면 유아자폐증을 의심할 수 있다.그 밖에 정서장애, 교육 부족, 지능발육 지연 같은 이유도 아이의 언어발달을 늦추는 원인이 된다.영화에서 의사가 알리사에게 무언증이라는 진단을 내리면서 ... ...
우유 속으로 풍덩 빠져볼까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차지하는 비율은 약 3%다. 간혹 거름이 되라고 식물에 우유를 주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행동
은 금물이다. 우유 속의 유단백질 때문에 식물이 죽게 되기 때문이다. 필자가 실험해본 결과 화분의 식물에 우유 1컵을 주었더니 2주 후에 완전히 말라서 죽어 버렸다. 유단백질이 뿌리 속 가느다란 물관과 ... ...
초파리로 파킨슨병 치료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시야가 좁아졌기 때문이다. 정 단장은 “세포 하나만 연구해서는 병에 걸린 개체의 이상
행동
이나 질병 전체를 이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고민 끝에 정 단장은 세포 수준에서 하던 연구를 개체 수준(동물 하나)으로 범위를 확대했다. 이런 시도는 전공인 세포 성장 분야가 아닌 새로운 영역에 대한 ... ...
이전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