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d라이브러리
"
학과
"(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은하와 생명의 진정한 기원 드러나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다 똑같다고 하니 수수께끼 같은 노릇이었다.이에 대한 해답으로 1980년 미국 MIT 물리
학과
앨런 구스 교수가 내놓은 것이 바로 급팽창이론이다. 빅뱅 후에 굉장히 짧은 시간 동안 우주가 엄청나게 커졌다면 최초의 우주에 대해서 다 똑같은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것이 설명된다. “강릉에 같이 있던 두 ... ...
“최고 과학자들과 협력하는 것이 돈 버는 비결”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원인을 밝히는 연구에 기부하는 것은 물론, 가족 DNA를 연구용으로 제공했다.“수
학과
물리학 같은 기초과학 연구가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기초과학 없이는 첨단기술과 공학은 불가능하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사이먼스 재단 기금의 90%는 기초과학 연구 지원에 힘쓰고 있어요.”그는 과학자를 꿈꾸는 ... ...
아기가 죽어도 슬퍼하지 않는 엄마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그 성격이 달라지는 일종의 문화랍니다.‘죽을 운명’을 타고난 아기미국 UC 버클리 인류
학과
낸시 쉬퍼 휴즈 교수가 쓴 ‘아무도 슬퍼하지 않는 죽음’은 출산과 모성에 대한 가장 충격적인 보고서 중 하나예요. 저자는 1965년부터 1980년대까지 브라질 북동쪽의 빈민가에 거주하면서, 이곳에서 ... ...
PART 3. 인간의 역사를 바꾼 꽃의 유혹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나중에 그곳에서 산딸기를 먹을 가능성이 더 높았다는 얘기다. 미국 하버드대 심리
학과
스티븐 핑커 교수는 ‘마음은 어떻게 작동하는가’라는 저서에서 “자연선택은 식물학자의 재능이 있는 사람들 편이었다”고 밝혔다.시간이 흘러 꽃은 인간의 욕망을 더욱 진하게 유혹했다. 대표적인 사례가 ... ...
Part 4. “정확도 99.999999636%”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연구팀이 그만큼 확신에 차 있었기 때문이라고 보고 있다. 김승환 포스텍 물리
학과
교수는 “연구팀이 하루라도 빨리 대중에게 알리고 싶어 기자회견을 미리 연 것 같고, 네이처 발표도 시기의 문제일 뿐 큰 문제없을 거라고 본다”며 “워낙 우주배경복사에 대해 오랜 시간 연구를 해온 팀이었으니 ... ...
[과학뉴스] 공대에 웬 커피과학?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부족하다”고 말했다. 커피센터는 커피에 대해 학문적으로 정립하고, 장차 ‘커피과
학과
’와 같은 세부전공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다.이 곳이 첫 번째 커피연구소는 아니다. 이미 미국 텍사트A&M대에서 세계커피연구소를 세워커피농업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UC데이비스빌 라이스텐파르트 교수는 ... ...
[Knowledge] 히틀러는 왜 계속 태어나는가?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영장류 사회에서 종종 목격된다. 박한선 성안드레아병원 정신과 전문의(서울대 인류
학과
연구원)는 “과대망상적이며 편집적 성향을 가진 사람이 기존 집단에 대한 불만을 고조시키고 분쟁을 조장한다”며 “집단 내 자원이 부족해 갈등이 일어나는 시점에는 이런 성향의 지도자가 출현하기 ... ...
썩소라도 웃는 게 보약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미소를 만드는 것만으로 같은 효과가 나타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미국 캔자스대 심리
학과
크래프트 교수팀은 다음과 같은 실험을 했다. 먼저 사람들에게 왼손으로 그림을 그리게 하거나 찬 물에 손을 담그고 있게 하는 방법으로 스트레스를 유발했다. 이런 짜증나는 과제들을 하는 동안 ... ...
첨단과학무기의 산실! 국방과학연구소
수학동아
l
2014년 04호
사람에게 적합하며, 분석적이고 독립적인 성격을 가진 사람들에게 유리하다.★관련
학과
국방과학연구원이 되려면 이공계 석사 이상의 학력을 보유해야 한다. 특히, 전기/전자, 기계/항공, 전산/컴퓨터 등의 전공을 우대한다.특전으로 전문연구요원 편입 혜택이 주어진다. 전문연구요원이란 이공계 ... ...
내 허파에 낀 초미세먼지는 정말 중국산일까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하지만 전 지구적으로 평균을 내면 냉각효과가 2배 이상 크다. 정철 GIST 환경공
학과
교수는 “특히 동아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초미세먼지가 많이 발생하는 곳이기 때문에 온난화 효과든 냉각 효과든 다른 곳보다 훨씬 클 것”이라며 “구체적으로 몇 °C가 올라가고 내려가는지 알기 위해서는 ... ...
이전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