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탐구자
조사자
연구원
d라이브러리
"
연구자
"(으)로 총 2,588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에서 벌어지는 기상천외한 실험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자세히 살펴보니 여기 저기에서 팥알만한 작은 불꽃들이 희미하게 빛나고 있었다.
연구자
들은 이를 불꽃공(flame ball)이라고 이름지었다. 마치 UFO처럼 날아다니는 불꽃공은 미미한 빛을 내면서도 상당히 오랜 시간 동안 지속됐다. 지금까지 기록은 81분이다. 더욱 놀라운 사실은 불꽃공이 적은 ... ...
다차원 공간의 외로운 여행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수에 비례하는 세포 수스튜어트 카우프만은 의사이자 뛰어난 생물학자로 1987년 천재적
연구자
에게만 주는 ‘맥아더 연구비’를 받은 사람이다. 자신의 생각을 남에게 몇 시간이고 이야기하기를 좋아해서 그가 지적인 넋두리를 시작할 낌새가 보이면 모두들 도망간다는 일화도 있다.카우프만은 ... ...
국내 최고 논문왕 자랑하는 수학자 박세희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위상수학을 전공하셨던 분이었어요. 여러 선배들이 수학기초론은 너무 어렵고
연구자
들끼리나 서로 죽이 맞아 얘기하는 분야라고 하면서 위상수학을 하라고 권했어요. 당시에는 잘 이해도 못하면서 석사학위 논문을 이 분야로 썼습니다.”박 교수의 박사학위도 위상수학이 주제였다. 그런데 ... ...
2 외계생명체 찾는 첨단로봇들의 화성침공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유명한 화성운석 ALH84001에 나타나는 미생물 같은 구조와 놀랍도록 일치한다는 것이다.
연구자
들은 이들 암석과 뾰족탑은 광합성하는 시아노박테리아의 서식처이기 때문에 이런 미세구조가 시아노박테리아에 의해 생겼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한편에서는 침전에 의해 자연히 형성됐을지 모른다는 ... ...
1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새로운 인재상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정부 연구개발사업에서 융합을 강조하는 사업인 것이다. 신기술융합사업은 타 분야
연구자
간 결합이 실제로 이뤄지기 위해 세부 사업에 다양한 기술분야의 연구인력집단들이 ‘반드시’ 참여해야 하고 컨소시엄 형태로 구성된 연구팀을 적극 ‘우대’한다고 명시했다.한편 우리는 융합기술과 ... ...
영화 매트릭스의 세계 실현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인공지능이 영화 속에서 상상하는 수준에 도달할까. 대부분의 인공지능
연구자
들은 현재의 발전 속도로 볼 때 40년 정도 후면 인공지능이 지능, 감성, 의식, 몸 기능의 측면에서 인간의 수준과 대등할 것으로 믿고 있다. 일단 인공지능이 인간의 지능과 대등해지면 이미 그 시점에서는 인공지능이 ... ...
3 침팬지는 인간의 조상인가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있던 네안데르탈인 등 모든 다른 인종을 대체했다는 주장이 아프리카 치환설이다.많은
연구자
들이 세계 각국의 인간 유전체에 대해 연구한 결과, 아프리카 치환설에 더많은 힘이 실리고 있다. 최근 지구의 언어별 또는 지역별 인간 분포에 따라 샘플을 구분해 X염색체의 ‘Xq13.3’ 영역의 DNA ... ...
미항공우주국과 함께 하는 우주망원경 갤렉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알아볼 수 있다.애스트로-F에서 우리가 참여하는 부분은 물론 하드웨어가 아니다. 우리
연구자
들은 소프트웨어적인 일을 훌륭하게 감당하고 있다. 미리 수치모의실험을 통해 관측이 제대로 될지를 알아보고 광학모의실험을 통해 적외선이 망원경에 들어와서 최종적으로 어떤 상이 맺힐지를 실제로 ... ...
인간형 로봇으로 후끈 달아오른 일본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로봇도 마찬가지였다. 목적이 무엇이든지 우선 인간과 닮게 만들어야 한다는 일본 로봇
연구자
의 생각이 읽혀졌다.인간의 행동을 보여주는 인간형 로봇의 대표주자는 혼다의 ‘아시모’(ASIMO)다. 2000년 처음 공개된 아시모는 인간 크기를 갖고 완벽한 2족 보행을 한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전세계 ... ...
로봇에 감정을 불어넣는다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학습, 지능, 기억을 갖는 로봇이란 생명체를 만들고 싶다”고 자신의 꿈을 보여준다.로봇
연구자
로서 언제 보람을 느끼는지에 대한 질문에 대해 스가노 교수는 고뇌하면서 만든 로봇이 예상대로 실제 움직이는 모습을 볼 때라고 대답한다. 웬디가 자신의 팔로 문을 인간처럼 부드럽게 열었을 때, 또 ... ...
이전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