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이"(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카멜레온처럼 색 변하는 전고체 소재 개발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주변 환경에 맞춰 자유자재로 피부색을 바꾼다. 피부 속 광결정 구조 사이의 간격을 스스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박정열 서강대 기계공학과 교수팀은 카멜레온의 색 변화 원리에 착안해, 별도의 염료 없이 스스로 색을 바꾸는 유연한 전고체(고체 전해질) 소재를 세계 최초로 개발하고 ... ...
- 단위계 ‘프랑스 혁명’ 국제도량형총회 르포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단면적을 가진 두 개의 평행한 직선 도체가 진공 중에서 1m 간격으로 유지될 때, 두 도체 사이에 m당 2×10-7N의 힘을 생기게 하는 일정한 전류’라는 정의를 써 왔다. 이는 1948년 제9차 국제도량형총회에서 정의됐다. 하지만 ‘무한히 길고 무시할 수 있을 만큼’이라는 말은 주관적이다. 그래서 이번 ... ...
- 남극, 달, 부메랑 성운, 세상에서 가장 추운 곳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바다의 따뜻한 공기를 얻지 못하는 것도 이유다. 무엇보다 가장 큰 이유는 거대한 산 사이의 계곡에 위치하고 있어 북극에서 내려온 차가운 공기가 땅에 계속 머무르기 때문이다. 인간이 상주하지 않는 지역까지 포함하면 지구에서 가장 추운 곳은 남극이다. 1983년 7월 남극에 세워진 러시아의 ... ...
- [매스미디어] 수학 잘하는 법수학동아 l2018년 12호
- 금세 웃고, 또 금세 울어버려서 예측할 수 없다”처럼 도무지 알 수 없는 도진과 배희 사이의 감정 변화도 ‘수학 잘하는 법’에서 반드시 주목해야 할 관전 포인트다. ● 단원 정리 : 수학 그 자체를 좋아하는 순수한 사람들의 이야기 ‘수학 잘하는 법’ 베스트 댓글(베댓)에는 다른 만화와는 ... ...
- Intro. 과학으로 통일을 준비한다! 반달가슴곰의 팩트체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난 비무장지대 ‘DMZ’에 살고 있는 반달가슴곰이야. 최근, 남한과 북한의 사이가 좋아지고 있어서 어쩌면 가까운 미래에 한반도의 백두대간이 이어질 수도 있다고 들었어. 그럼 지리산에 사는 반달가슴곰과 백두산호랑이가 만날 수도 있대. 통일을 위해 과학자들도 준비 중이라던데…. 진짜일까? ... ...
- 크리스마스에 솔로인 당신 ‘AI 연인’은 어떠세요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말을 하는지 알아듣는 음성 인식 기술이 필요합니다. 장 수석연구원은 “단어와 단어 사이의 관계를 일일이 설정하는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음성인식에도 딥러닝 학습법을 적용하면서 현재 AI의 음성인식 수준은 (100점 만점에) 96점 정도까지 비약적으로 발전했다”고 말했습니다. 주변에 소음이 ... ...
- 세계에서 통한 수학 게임 앱, 토도수학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수학이 중요합니다. 일단 탈리의 위치를 시간에 따른 함수로 표현하고, 탈리들 사이의 상호작용이 있으니 탄성, 작용과 반작용, 관성과 가속도 등을 적용해야 하죠. 그런 뒤 상수들을 조절해가면서 느낌이 좋고 자연스러운 결과가 나오도록 합니다. 이런 규칙들을 수식으로 표현할 수 있어야 ... ...
- [이승재의 매스일레븐 12] 버는 만큼 써라! FFP 규칙수학동아 l2018년 12호
- 그저 울며 겨자 먹기로 지출을 줄이는 방법으로 해결했다는 게 문제입니다. 구단들 사이의 수입 불균형 자체를 해결하지 못하는 한 부자 구단들과 그렇지 못한 구단들의 차이가 점점 벌어질 것이란 우려의 목소리가 큰 상황입니다. 무엇보다 돈이 얽혀있는 문제인 만큼 이미 부패한 이미지가 있는 ... ...
- [화보]양자역학과 예술의 만남, 나노 조각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자외선을 받으면 딱딱하게 굳는 광경화수지를 사용한다. 충치가 생기면 손상된 치아 사이를 메우는 ‘레진’이 대표적인 광경화수지다. 광경화수지에 고에너지 레이저를 쪼이면 2개의 광자가 흡수되며 물질이 딱딱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이 현상은 나노미터 크기의 ‘복셀(voxel.부피(volume)와 픽셀 ... ...
- 화학상 - 효소와 항체 생산의 진화를 이끌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함께 진행하고 있다. 2011년 필자는 아놀드 교수가 중점적으로 연구했던 단백질인 ‘사이토크롬 P450’에 관한 논문을 그와 함께 공동으로 집필해 발표했는데, P450 효소가 다른 단백질보다 방향적 진화가 잘 이뤄지는 이유에 대해서 정리했다. doi:10.1016/j.copbio.2011.02.008 바이러스로 치료용 항체 ... ...
이전1871881891901911921931941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