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이"(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 달 먼저 뽑아 본 2018년 10대 과학 뉴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태양계에는 소행성이 70만 개 이상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주로 화성과 목성 궤도 사이의 소행성대에 분포하며, 과학자들은 태양계 탄생 초기의 원시물질과 물, 유기물을 보유했을 것으로 예상되는 C형 소행성에 주목하고 있다. 류구도 C형 소행성이다. 탐사로봇은 내년 12월까지 류구 표면을 ... ...
- 허리 고치는 수술 로봇 ‘닥터 허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있게 한다. 또한 몸이 움직일 때 신체 전체를 지지하는 역할도 맡고 있다. 이런 척추의 뼈 사이에는 충격 흡수 역할을 하는 추간판(intervertebral disc)이 있는데, 척추의 원활한 움직임을 돕고 압박으로부터 척추를 보호하는 역할도 한다. 추간판은 흔히 ‘디스크’로 불린다. 여기에 인간의 척추는 ... ...
- part 4. 무한히 많은 도시 여행하기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스탠퍼드대학교와 캐나다 맥길대학교 공동연구팀은 이 알고리듬을 이용해 어떤 두 도시 사이를 왕복하는 비용이 같을 때 최저 값보다 약 1.49배 비싼 경로를 찾았습니다. 갈 때 다르고 올 때 다른 경우는? 그런데 현실에서는 두 지점을 오갈 때 드는 비용이 다른 경우도 있습니다. 상행선과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조르당 곡선에서 정사각형을 찾아라! 내접 사각형 문제수학동아 l2018년 12호
- 문제를 해결한 것이지요. 이 논문에서는 2보다 같거나 큰 자연수 n이 있을 때 1과 n-1 사이의 어떤 정수 k에 대해 인 직사각형이 있다는 것도 보였습니다. 하지만 이걸 뺀 어떤 경우도 알려진 연구가 없습니다. 그럼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 말고 다른 사각형은 어떨까요? 원 역시 조르당 곡선이므로, ... ...
- Part 1. 성분부터 구조까지 전격 비교 깃털 vs. 털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많이 먹는데, 뼈나 가시가 소장까지 이동해 상처를 입힐 수 있다”며 “깃털로 위와 소장 사이 통로의 면적을 넓혀 뼈와 가시가 소장에 도달하기 전에 위에서 완전히 분해 되도록 돕는다”고 말했다. 눈 위에서 사는 새에게도 깃털은 유용하다. 북미의 눈 덮인 지역에 서식하는 목도리뇌조는 보온을 ... ...
- Part 3. 패딩은 왜 깃털을 사랑하나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케라틴이 매우 복잡하게 얽혀있다. 마치 귤껍질 안쪽과 비슷한 형태다. 케라틴 사이사이에 갇힌 공기는 바깥의 찬 공기를 막고 안쪽은 따뜻하게 유지한다. 솜털은 클수록, 깃대 있는 깃털은 작을수록 인류는 깃털의 이런 기능을 진즉에 알아봤다. 중국에서는 11세기 송나라 때 거위 털로 의복을 ... ...
-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미치는 것을 ‘세대 간 후성유전(transgenerational epigenetics)’이라고 부릅니다. 최근 몇 년 사이 생물학계에서 ‘핫’한, 앞으로도 많은 연구로 우리를 놀라게 할 분야입니다. 관련 연구를 하나 소개하자면, 2015년 이사벨 만수이 스위스 취리히대 의학부 교수팀이 발표한 트라우마 연구가 있습니다 ... ...
- [오일러 프로젝트] 1만 개의 숫자에서 ‘우애수’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8년 12호
- 단어를 붙인 수다. 숫자에 우정이라니 좀 어색하지만, 어떤 수인지 설명을 들어 보면 둘 사이의 특별한 관계에 고개가 끄덕여진다. 우애수란, 어떤 정수 n의 진약수(약수들 중에서 자신을 제외한 것)의 합을 d(n)이라 정의할 때, d(a)=b이고, d(b)=a인 관계가 성립하는 서로 다른 두 정수 a와 b를 말한다. a와 ... ...
- [좋은 학교생활기록부 만들기 12] 왜 대학은 독서를 중요하게 생각할까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답변을 통해 마지막 인사를 갈음하고자 한다. “어떤 분야의 책이든지 읽고 또 읽어가는 사이에 생각하는 힘, 글쓰기 능력, 전문 지식, 의사소통 능력, 교양이 쌓여갈 것입니다. 타의에 의한 수박 겉핥기식 독서는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수많은 책 가운데 그 책이 나에게 왜 의미가 있었는지, 읽고 ... ...
- [과학뉴스] 굿바이! 소행성 탐사선 ‘돈(Dawn)’과학동아 l2018년 12호
- 1년 동안 소행성을 탐사했다. 돈이 항해한 거리는 총 69억km다. 돈은 2011년 7월 화성과 목성 사이의 소행성 벨트에서 두 번째로 큰 왜행성 ‘베스타(Vesta)’에 도착해 1년간 탐사 활동을 펼쳤다. 2015년부터는 소행성 벨트에서 가장 큰 왜행성 ‘세레스(Ceres)’의 궤도를 돌며 표면의 얼음 화산 등을 ... ...
이전1861871881891901911921931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