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녕
빵꾸
홀
함정
입
바람구멍
바람
d라이브러리
"
구멍
"(으)로 총 2,357건 검색되었습니다.
3. 맛 좋고 키 큰 콩나물 기르려면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콩나물의 성장을 관찰한다.실험 수행1. 6개의 종이컵에 똑같이 밑바닥에 지름이 3mm인
구멍
을 5개씩 뚫었다.2. 준비한 6개의 종이컵 바닥에 거즈를 4겹으로 깔았다.3. 24시간 동안 물에 불린 콩을 6개씩 골라 위에서 준비한 6개의 종이컵에 넣었다.4. A-F의 종이컵에 밝기와 온도를 달리해 콩나물을 키웠다 ... ...
1. 전기를 고압으로 송전하는 까닭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검전 드라이버를 차례로 꽂아보면 한쪽
구멍
에서만 불이 들어온다. 불이 켜지지 않는
구멍
까지 온 도선은 땅과 연결돼 있다. 그래서 우리가 벗겨진 도선을 잡더라도 몸속으로 전류가 흐르지 않아 감전의 영향이 전혀 없다.2백20V용 콘센트는 아이들이 젓가락 등으로 찌르는 것을 막기 위해서 두 개를 ... ...
3. 통증을 정복한다 : 통증 극복하는 하이테크 의술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통증에 이용된다. 특히 보통 디스크라고 불리는 증상이 있을 때 요추부위 가운데 선에
구멍
을 뚫고 경막외강에 국소마취제와 스테로이드를 섞어 주사하면 통증이 상당히 줄어든다.통증치료에 적절한 방법을 사용하지 못해 오랫동안 고생하는 환자가 많다. 일례로 대상포진(바이러스에 의한 수포성 ... ...
동맥경화 해결사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같은 병적 현상으로 발전한다. 즉 지질이 동맥 혈관내에 축적되면서 점차 혈관
구멍
이 좁아지고 심장이나 뇌혈관에 제대로 산소를 공급할 수 없게 돼 심장마비나 뇌졸중이 일어난다. 이런 동맥경화의 주범인 고지혈증(고콜레스테롤증)은 어떻게 처치해야 할까? 우선 지방성분(특히 콜레스테롤)의 ... ...
신발과학의 정수 축구화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때 끈이 당겨서 주변 부위가 늘어나기 쉽다. 그래서 늘어나는 성질이 적은 인공가죽을 끈
구멍
에 있는 부분부터 밑바닥까지 연결해 발에 안정감을 준다.특수합금: 세라믹 재질. 발에 집중적으로 쏟아지는 압박감을 분산시킨다.뽕(stud): 경기 도중 땅에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갑지기 자세를 ... ...
KAIST 송태호교수가 최초로 밝힌 얼음골의 비밀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용안이 분출돼 급격히 식으면서 만들어졌기 때문에 구조가 치밀하지 못하고 미세한
구멍
이 송송 뚫려 있는 다공성의 돌이다. 이런 돌들이 얼키서키 쌓여 있어 공기가 큰 저항을 받지 않고 자유롭게 너덜을 통과할 수 있다.겨울이 되면 공기의 온도는 영하인 반면 너덜을 이루고 있는 돌들은 여름과 ... ...
날로 심각해지는 오존
구멍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거의 감소되지 않은 곳이다. NOAA 전용위성으로 측정된 이 수치들은 올해 봄 북반구의 오존
구멍
이 최악이라고 기록된 지상 관측과 일치한다.기상학자들은 북극 성층권의 온도가 갑자기 떨어져 구름이 많이 생성됐고, 이 구름이 CFC와 오존의 반응을 더욱 가속화시켜 오존량이 감소된다고 믿고 있다. ... ...
팩스, 동양적 발상의 첨단기기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현재의 팩스와 유사한 화학식 전신기의 원리를 발견했다.베인이 만든 화학식 전신기는
구멍
을 뚫은 종이조각으로 시간당 4백단어를 취급할 수 있는 획기적인 발명품으로, 비록 송신기와 수신기가 분리된 것이긴 하지만 그레이험 벨의 전화기 발명(1876년)보다 앞선 것이었다.일반적으로 팩스는 전송 ... ...
2. 홀로그래피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통해 외부를 보다가 그 창문을 작은
구멍
만 남기고 다 가려도 그
구멍
가까이에서는
구멍
을 통해 외부를 다 볼 수 있는 것과 같다. 물론 볼 수 있는 시야각이 좁아진다. 일부분으로 전체 정보를 알 수 있다는 이러한 홀로그램의 장점은 정보 기록의 방법으로 각광받을 것이다.1980년도 초반 국내에도 ... ...
1. 큰돈을 작은돈으로 바꾼다.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효모의 호흡 결과 갇혀있던 이산화탄소가 빵을 굽는 과정에서 박차고 나온 흔적이 남아
구멍
이 뚫려있는 모습니다. 흔히 인간에게 유익한 무산소호흡(무기호흡)을 발효라고 한다. 이와 같이 모든 생명체가 호흡을 하는데 산소가 필요한 것은 아니다. 우리가 흔히 접하는 대부분의 식물과 동물은 ... ...
이전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