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녕
빵꾸
홀
함정
입
바람구멍
바람
d라이브러리
"
구멍
"(으)로 총 2,357건 검색되었습니다.
잘못 알려진 코리올리 효과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동안 생긴 움직임이 잠잠해질 때까지 기다린다. 그런 후에 마개를(아래쪽에서) 제거한다.
구멍
이 작기 때문에 아주 천천히 물이 빠진다. 이러한 과정이 필요한 이유는 코리올리 힘이 배수중인 물의 흐름을 변화시킬 정도로 충분해져서 회전하는 흐름을 만들어내기까지 몇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 ...
Ⅰ. 20세기를 달려온 인공장기6 : 심장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도와준다. 예를 들어 좌심실과 대동맥(심장에서 온몸으로 혈액을 내보내는 혈관)에 각각
구멍
을 뚫고 몸밖에 있는 혈액 펌프에 연결한다. 이 펌프는 심실의 피를 직접 대동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혈액의 박출 작업을 도와준다. 왼쪽 심실에 사용하는 것을 좌심실 보조장치, 오른쪽 경우를 우심실 ... ...
Ⅰ. 20세기를 달려온 인공장기6 : 혈관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때문에 혈관이 막히는 일이 드물다. 탯줄도 활용그러나 혈관을 이식한 초기에 이
구멍
을 통해 혈액이 누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인공혈관을 이식하기 직전에 혈관표면을 미리 환자의 혈액으로 응고시킴으로써 누출을 막는 방법이 사용됐다. 현재는 혈액단백질인 알부민, 조직의 한 성분인 ... ...
금세기 최고의 우주쇼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캡을 끼운 상태에서 관측하면 된다. 하지만 이런 캡이 없다면 지름 50mm 정도로
구멍
을 뚫어 주경을 가리거나 종이를 앞에 대어 경통의 반을 가린다.파인더를 사용하지 않고 어떻게 태양을 겨눌까. 태양이 있는 방향으로 대략 겨누어보면 그림자가 생길 것이다. 긴 경통의 그림자가 가장 짧아질 때가 ... ...
당신의 생명을 구해주는 튜닝의 법칙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살펴보도록 하자.머플러국내에서 가장 많이 접하는 튜닝 분야는 머플러다. 마치
구멍
난 머플러처럼 시끄럽게 질주하는 차들은 적어도 10여만원에서 수십만원하는 머플러 튜닝을 한 차들이다. 차량의 출력에서 배기관 및 머플러가 차지하는 비율은 약 30%. 배기계통만 잘 조정해주면 1백마력짜리 ... ...
미시세계의 생명력 마이크로코스모스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몸에서 리디아의 몸으로 옮겨지게 된다. 어떻게 혈관을 통해 주입된 잠수정이 목
구멍
을 거슬러 올라갈 수 있었는지는 모르지만, 덕분에 주인공 팬들턴은 리디아의 몸에서 자신의 의해 잉태된 태아를 우연히 보게 된다. 자신보다 훨씬 거대한 자식의 모습을 맞닥뜨린 아버지의 눈망울은 이 영화의 ... ...
Ⅰ. 전자가 이룩한 4대 혁명 : 1. 전자시대 최대의 발명품 TV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만든 TV는 오늘날 우리가 보는 전자식 TV와 다른 기계식 TV이다. 베어드는 24개의 작은
구멍
이 뚫린 원판을 1분에 6백번 회전시켜 이를 통과한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바꿔 영상을 만들었다.1926년 베어드가 만든 TV는 영국왕립학회에서 50여명의 과학자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첫선을 보였다. 그후 그는 ... ...
인류 최고의 기호품' 인가 '마약'인가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줄로 나 있다. 담배의 외관을 형성하는 종이가 공기를 투과시키긴 하지만, 필터에 이같은
구멍
을 내면 담배 연기에 외부 공기가 섞여 희석됨으로써 흡입되는 담배 연기의 독한 맛을 줄여준다.담배는 환경오염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썩지 않는 담배갑이 문제제조공정에서부터 사용 후까지 “어떡하면 ... ...
2. 서비스로봇 빅4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로봇닥을 환자에게 접근시킨다. 그러면 로보닥은 자신의 팔에 쥐어진 고속드릴로 뼈에
구멍
을 낸다.의료 로봇은 향후 원격조종 기술과 결합해 의료 서비스의 질을 한차원 높인다. 현재 원격제어 분야는 컴퓨터 기술과 가상현실 기술을 바탕으로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고 있다. 멀리 떨어진 사람의 ... ...
음악듣고 자라는 식물들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음악을 들려 준 식물은 엽록소가 많이 만들어져 광합성을 활발하게 한다. 음악은 잎 뒤 숨
구멍
을 많이 열게 해 가스교환과 잎에 뿌려 준 양분을 많이 흡수하게 한다. 잎으로 흡수가 잘 안되는 철, 아연과 같은 성분이 최고 67%나 더 많이 흡수된다. 세포 내에서 축전지 역할을 하는 ATP도 많이 ... ...
이전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