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조
대비
견줌
비유
비김
비교분석
분석
d라이브러리
"
비교
"(으)로 총 6,845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식]김재경 KAIST 수리과학과 교수
수학동아
l
2016년 01호
아주 복잡해서 그림으로 나타내도 제대로 알아보기가 힘들어요. 하지만 식으로 나타내면
비교
적 이해하기 쉬워지고, 컴퓨터로 시뮬레이션도 해볼 수 있어요. 실험에 드는 비용과 시간도 절약할 수 있어요.생물학자와 함께 일하는 건 어떤가요?생물학자에겐 생물학 용어를 써야 해요. 미분방정식이 ... ...
[재미]눈사람 만들려면 가루눈보다 함박눈!
수학동아
l
2016년 01호
해결할 수 있어요!함박눈은 상층대기(땅보다 2km 정도 높은 대기)의 온도가 영하 10~20℃로
비교
적 따뜻하고 습도가 높을 때 생겨요. 수분을 잔뜩 머금은 눈 결정들이 서로 엉겨 붙으면서 눈송이가 되거든요.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육각형을 띠는 별 모양이랍니다.하지만 상층대기의 온도가 영하 2 ... ...
[수학동아클리닉](초등)각기둥과 각뿔 요리하며입체도형탐구하기 (중등)작도로 즐기는 하트 모양디자인
수학동아
l
2016년 01호
창의적인 사고력을 기르는 데도 도움이 된다.마지막으로 학생들이 완성된 작품을 서로
비교
하고 평가하면서 나와 생각이 다른 동료 학생에 공감하거나 작품을 분석하고 감상하는 능력도 키울 수 있다 ... ...
[News & Issue]남자가 길 잘 찾는 이유는 ‘해마’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실험 결과 남자가 여자보다 50%가량 더 많이 길찾기에 성공했다. 이때 뇌의 반응을
비교
해 보니, 남자는 여자보다 해마 부위가 활발하게 반응했고, 여자는 남자보다 전두엽이 더 활성화됐다. 연구팀은 이런 차이가 남녀의 길찾기 전략과 관련이 있다고 분석했다. 남자들은 동서남북 기본방향을 ... ...
[News & Issue]디웨이브, 진실을 말해줘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바와 같이 디웨이브2X는 기존 컴퓨터에 비해 속도가 1억 배 빨랐다. 배 교수는 “이런
비교
방식으로는 디웨이브2X의 속도가 빠른 게 양자 때문인지, 기존 컴퓨터와 동일한데 좀 더 효율적인 알고리듬을 사용해서 속도를 높인 것인지 판단할 수 없다”고 말했다.양자 어닐링(Quantum annealing) 양자 ... ...
[News & Issue]내가 쓴 화장품이…해안을 더럽힌다고?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혈액 등을 정화시키는 작업을 진행해 ‘환경오염’ 2015년 4월호에 발표했다. 작업 전후를
비교
하니 작업 후에 체내에 남은 미세플라스틱의 크기가 더 작았다. 이는 0.06mm 이하의 미세플라스틱은 체내에 축적될 가능성이 있다는 뜻이다. 이렇게 몸에 쌓인 미세플라스틱은 생물의 먹이 섭취에 영향을 ... ...
[Knowledge]파충류의 속사정 ➒ 익룡 中 ‘중생대 뷔페’가 만든 기기묘묘한 머리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정말 많이 줄어들까. 익룡의 이빨이 아무리 크고 단단하다 해도 몸 전체의 무게와
비교
하면 그리 무겁지 않다. 게다가 이빨의 퇴화가 비행에 이롭다면 다른 익룡도 이빨이 없어지는 방향으로 진화했어야 한다. 하지만 현재까지 보고된 대부분의 익룡은 이빨을 가지고 있다. 요즘 과학자들의 생각은 ... ...
Part2.커피잔 속에서 우주의 원리를 보다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만드는 데도 쓰인다.1945년 일본 히로시마에 핵폭탄이 떨어지기 전(왼쪽)과 후(오른쪽)를
비교
한 사진.도시가 폐허가 됐다.표준모형, 그리고 그 너머다시 김 대리의 질문으로 돌아가 보자. 우리가 무언가를 만질 수 있는 이유는 우리 몸과 사물을 이루는 원자들 사이에 작용하는 전자기 상호작용 ... ...
유정란VS무정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4호
정답은 ‘그렇지 않다’예요. 지난 4월 농촌진흥청에서 유정란과 무정란의 영양을
비교
해 본 결과 단백질과 지질, 탄수화물 등의 양에 차이가 많지 않았어요. 오히려 단백질은 무정란에서 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답니다 ... ...
연꽃잎으로 메타물질 만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3호
적게 넣어 표면이 1600N/m 이하의 힘을 받으면 풍선 표면에 두세 개의 균열만이 발생하며
비교
적 큰 조각들로 갈라졌어요. 반면 공기를 많이 채워 표면이 2170N/m 이상의 힘을 받는 경우, 힘의 크기가 커질수록 균열의 갈래도 늘어나 풍선이 40갈래 이상으로 갈라졌답니다.세바스티앙 물리네 박사는 “이 ... ...
이전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