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조
대비
견줌
비유
비김
비교분석
분석
d라이브러리
"
비교
"(으)로 총 6,845건 검색되었습니다.
[News & Issue] 아홉 번째 행성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궤도’의 차이는 어마어마하다고 말했다. “해왕성은 르베리에가 천구상의 위치를
비교
적 정확히 계산한 덕분에 관측으로 바로 찾을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번 경우는 다릅니다. 브라운 교수팀은 행성의 위치가 아닌 궤도를 예측했을 뿐입니다. 그것도 해왕성이나 명왕성보다 몇 배나 큰 ... ...
[Knowledge] 직립보행의 선구자 원시 악어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등장한 거북목이나 1억9900만 년 전에 등장한 유린목(도마뱀과 뱀)과
비교
하면 악어목은
비교
적 최근에 등장한 분류군이다. 겉모습과는 달리 파충류계의 막내인 셈이다.등장한 시기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보니 악어목은 파충류 무리 가운데 그다지 규모가 큰 편이 아니다. 하지만 이들은 훨씬 더 큰 ... ...
[Knowledge] 우리도 부모가 되고 싶다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정자의 단백질도 해동에 잘 견디는 구조를 갖고 있어 다른 세포들에 비해 냉동보관이
비교
적 쉬운 편이다. 때문에 얼린 정자의 50~90%는 정상 기능을 유지하며, 최대 10여 년 동안 보관할 수 있다. 현재 전국의 382개 불임치료 전문 병원들이 개별적으로 정자를 보관할 수 있는 시설을 갖고 있다 ... ...
[Knowledge] CCTV에 기록된 그 날의 진실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의뢰가 들어왔다. CCTV 속 사람의 걸음걸이와 휴대전화로 찍은 영상 속 사람의 걸음걸이를
비교
분석 해달라는 것이다. CCTV에 찍힌 사람은 ‘비대칭 보행(unsymmetric gait)’을 하고 있었다. 양쪽의 보폭이 다르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다. 또 하나 특이한 건 오른쪽 발만 바깥쪽을 향하는 팔자 보행을 하고 ... ...
[Tech & Fun] 박승휴 망해라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돈을 모으려고 했고, 괜히 ‘대학 교수 연봉’ 따위를 검색해 보면서 내가 모으는 돈과
비교
도 해 봤다.그런데, 박승휴는 몇 년 후 창조경제 무슨무슨 뭐라고 하는 벤처 기업에 창립자로 참여했다가, 하루 아침에 막대한 돈을 벌었다. 박승휴는 실제로 사업을 한 것도 아니고, 돈을 투자한 것도 ... ...
[지식] 거대 소수를 찾는 사람들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소수는 상대적으로 쉽게 찾을 수 있다. 메르센 소수를 찾는 ‘뤼카-레머 판정법’을 쓰면
비교
적 짧은 과정을 통해 소수인지 아닌지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메르센 소수를 찾는 대표적인 프로그램인 Prime95에도 이 판정법이 쓰이고 있다.이 말은 메르센 소수 외의 소수를 찾는 획기적인 방법이 없다는 ... ...
[News & Issue] 소두증, 지카바이러스 단독범행일까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바이러스가 나왔다. 현재 브라질에선 소두증 태아를 가진 산모와 정상 산모를 추적
비교
하는 대규모 역학조사가 진행 중이다. 이제 아래 질문들을 던질 차례다. 지카는 왜, 무슨 이유로 소두증을 일으키는 걸까.바이러스는 아무 이유 없이 우리를 괴롭히는 사이코패스가 아니다. 오직 자신의 생존과 ... ...
[Knowledge] 대의를 위한 희생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해석했다.예를 들어보자. 동물들은 자식을 좀 더 낳을 수 있을듯한 상황에서도
비교
적 정해진 수의 자식들만 낳는다. 동물이 출생률을 조절한다는 사실은 명백하다. 그 어떤 동물도 무한정 자식만 낳진 않으니까 말이다. 일례로 괭이갈매기는 한 둥지당 약 2알, 쥐는 한 배에 4~7마리의 자식들을 ... ...
[수학뉴스] 방향에 속지 않는 컴퓨터의 눈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사물을 분석합니다. 그 결과 한 번도 본 적 없는 사물을 보고도 기존에 입력받은 사진과
비교
해 사물이 어느 방향을 보이고 있는지 맞힐 수 있었습니다. 인공지능을 위해 사진 속 사물의 방향을 일일이 표시하는 수고를 들일 필요도 없습니다.이 알고리즘은 차의 종류가 다양한 도로에서 주변차의 ... ...
Part 2. 난수의 컴퓨터 시대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주기는 219937-1로 이 수는 현재 49개로 알려진 메르센 소수 중 24번째 수다.선형합동법과
비교
하면 메르센 트위스터가 훨씬 더 정교한 난수생성기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메르센 트위스터도 결국 주기가 있기 때문에 궁극적으로 완벽한 난수생성기라고는 볼 수 없다. 현재 가장 똑똑한 ... ...
이전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