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비교"(으)로 총 6,845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대대손손 빛을 잃은 초파리 “믿을 건 냄새뿐”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이어받은 후세 박사는 2012년 암흑에서 자란 노랑초파리의 DNA를 분석했다. 보통 초파리와 비교해 DNA 수천 곳이 달라졌고, 단일유전자변이(SNP)도 22만 개가 발견됐다.후세 박사팀은 유전자 변이가 초파리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추가로 분석했다. 그 결과로 냄새와 화학물질을 감지하는 유전자와 ... ...
- [과학뉴스] 지하수가 해수면 상승 막는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총량을 계산했다. 이렇게 추정한 2002~2014년 사이의 물 용량 변화를 빙하가 녹는 속도와 비교했다. 그 결과, 최근 10여 년간 흙과 호수, 지하수 등에 3조2000억t의 물이 추가로 저장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해수면 상승 속도는 22% 느려졌을 것으로 추정됐다.연구를 주도한 NASA JPL의 존 리거 연구원은 ... ...
- [News & Issue] 아홉 번째 행성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6년 03호
- ‘궤도’의 차이는 어마어마하다고 말했다. “해왕성은 르베리에가 천구상의 위치를 비교적 정확히 계산한 덕분에 관측으로 바로 찾을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번 경우는 다릅니다. 브라운 교수팀은 행성의 위치가 아닌 궤도를 예측했을 뿐입니다. 그것도 해왕성이나 명왕성보다 몇 배나 큰 ... ...
- [Knowledge] 직립보행의 선구자 원시 악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등장한 거북목이나 1억9900만 년 전에 등장한 유린목(도마뱀과 뱀)과 비교하면 악어목은 비교적 최근에 등장한 분류군이다. 겉모습과는 달리 파충류계의 막내인 셈이다.등장한 시기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보니 악어목은 파충류 무리 가운데 그다지 규모가 큰 편이 아니다. 하지만 이들은 훨씬 더 큰 ... ...
- [Knowledge] 우리도 부모가 되고 싶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정자의 단백질도 해동에 잘 견디는 구조를 갖고 있어 다른 세포들에 비해 냉동보관이 비교적 쉬운 편이다. 때문에 얼린 정자의 50~90%는 정상 기능을 유지하며, 최대 10여 년 동안 보관할 수 있다. 현재 전국의 382개 불임치료 전문 병원들이 개별적으로 정자를 보관할 수 있는 시설을 갖고 있다 ... ...
- [Knowledge] CCTV에 기록된 그 날의 진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의뢰가 들어왔다. CCTV 속 사람의 걸음걸이와 휴대전화로 찍은 영상 속 사람의 걸음걸이를 비교분석 해달라는 것이다. CCTV에 찍힌 사람은 ‘비대칭 보행(unsymmetric gait)’을 하고 있었다. 양쪽의 보폭이 다르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다. 또 하나 특이한 건 오른쪽 발만 바깥쪽을 향하는 팔자 보행을 하고 ... ...
- [Tech & Fun] 박승휴 망해라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돈을 모으려고 했고, 괜히 ‘대학 교수 연봉’ 따위를 검색해 보면서 내가 모으는 돈과 비교도 해 봤다.그런데, 박승휴는 몇 년 후 창조경제 무슨무슨 뭐라고 하는 벤처 기업에 창립자로 참여했다가, 하루 아침에 막대한 돈을 벌었다. 박승휴는 실제로 사업을 한 것도 아니고, 돈을 투자한 것도 ... ...
- [News & Issue] 소두증, 지카바이러스 단독범행일까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바이러스가 나왔다. 현재 브라질에선 소두증 태아를 가진 산모와 정상 산모를 추적비교 하는 대규모 역학조사가 진행 중이다. 이제 아래 질문들을 던질 차례다. 지카는 왜, 무슨 이유로 소두증을 일으키는 걸까.바이러스는 아무 이유 없이 우리를 괴롭히는 사이코패스가 아니다. 오직 자신의 생존과 ... ...
- [Knowledge] 대의를 위한 희생과학동아 l2016년 03호
- 해석했다.예를 들어보자. 동물들은 자식을 좀 더 낳을 수 있을듯한 상황에서도 비교적 정해진 수의 자식들만 낳는다. 동물이 출생률을 조절한다는 사실은 명백하다. 그 어떤 동물도 무한정 자식만 낳진 않으니까 말이다. 일례로 괭이갈매기는 한 둥지당 약 2알, 쥐는 한 배에 4~7마리의 자식들을 ... ...
- [수학뉴스] 방향에 속지 않는 컴퓨터의 눈수학동아 l2016년 03호
- 사물을 분석합니다. 그 결과 한 번도 본 적 없는 사물을 보고도 기존에 입력받은 사진과 비교해 사물이 어느 방향을 보이고 있는지 맞힐 수 있었습니다. 인공지능을 위해 사진 속 사물의 방향을 일일이 표시하는 수고를 들일 필요도 없습니다.이 알고리즘은 차의 종류가 다양한 도로에서 주변차의 ... ...
이전1821831841851861871881891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