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향"(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2. 소년이여, 신화가 되어라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둘 사이에 굉장한 수준 차이가 난다”고 말한다. 비침습형을 이용한 로봇이 동서남북 방향 정도밖에 못 움직이는 반면, 침습형은 임의의 각도와 속도로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다. 침습형이 훨씬 자유도가 높다. 적과 싸워야 하는 에바는 선택의 여지없이 무조건 침습형이다. 헌데 14살짜리 ... ...
- [Knowledge] 펨토초 엑스선으로 본 세상, 분자가 결합하는 찰나를 포착하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찍었다. X선을 고체의 결정구조에 쪼이면, 결정 사이의 좁은 틈을 지나가면서 X선이 특정 방향으로 에돌아 나간다. 이 때 벽면에 결정구조가 반영된 패턴이 그려진다. X선 회절법이란, 이를 역이용해 벽면에 생긴 패턴으로부터 원자가 어떻게 배열돼 있는지 밝히는 방법이다. 기존에는 고체 구조에만 ... ...
- 호주 바다에 나타난 ‘마귀할멈’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우스꽝스럽게 긴 코는 마귀상어가 살아가기 위해 꼭 필요한 기관이에요. 자기장의 방향과 세기를 감지할 수 있는 ‘로렌치니 기관’이거든요. 최근에는 마귀상어가 이 코로 미세한 전류를 감지한다는 사실도 밝혀졌지요. 그래서 시각과 후각이 퇴화한 상태에서도 마귀상어는 어두컴컴한 해저에서 ... ...
- [가상 인터뷰] 수학으로 설명하는 바닷가재의 헤엄수학동아 l2015년 05호
- ‘주기’라고 불렀습니다.연구팀은 일정한 주기 동안에 저의 헤엄다리가 만든 힘이 어느 방향으로 이동하는지 관찰했습니다. 저도 곰곰이 생각해보니, 헤엄다리가 만든 파동을 마치 파도타기 응원을 하듯 머리로 전달하는 습성이 떠올랐어요. 그래서 몸이 무거워도 헤엄을 칠 수 있었나 봐요.이 ... ...
- 2115년 인류 화성 정착기수학동아 l2015년 05호
- 모양을 구에 가깝게 만든 입체 도형이다.지오데식돔으로 만든 보호막은 튼튼하다. 어떤 방향에서 힘을 받아도, 빈틈없이 메워진 삼각형이 서로를 지탱하며 무게를 나눠 갖는다. 기둥 없이도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할 수 있다.작은 겉넓이로 가장 큰 부피를 에워싸는 구 모양이라 경제적이기도 하다. ... ...
- Part 3. 강함을 배운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선회할 때 몸을 기울이는 장면을 떠올리면 이해하기 쉽다). 페스토는 이를 위해 로봇에서 방향을 전환하는 기어와 몸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기어를 결합시켰다. 외형도 움직임도 커다란 갈매기와 유사한 이 로봇은 ‘테드(TED)’를 통해 알려지면서 전 세계를 놀라게 했다(맨 위 사진).물총새 머리 ▶ ... ...
- PART 1. 토요일 토요일은 과학이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중간에 빨간 동그라미가 있다. 트랙포인트라고 불리는 이 동그라미에 손을 대고 원하는 방향으로 압력을 주면 마우스 포인트가 움직였다. 현재의 터치패드와 비슷한 기능을 하는 셈이다. 트랙포인트 전의 모델들은 현재 터치패드 자리에 있는 커다란 공을 굴려서 포인트를 움직였다.볼마우스와 ... ...
- [Hot Issue] 뇌진탕 위험으로부터 미식축구 선수를 구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05호
- 가해질 때 머리는 크게 두 가지 가속을 받는다. 첫째는 ‘직선 가속’으로, 힘의 작용방향이 머리의 무게중심을 향할 때 생긴다. 강한 직선 가속은 두개골을 골절시킬 수 있다. 두 번째는 ‘회전 가속’이다. 회전 가속은 무게중심이 아닌 그 주변부에 힘이 가해질 때 생기는 운동 형태다. 뇌에 더 ... ...
- [Knowledge] 1300년 전 석탑, 그 원형을 찾아과학동아 l2015년 05호
- 했습니다. 석탑에 사용된 돌은 모두 3000여 개에 달합니다. 이들을 제대로 측정하려면 방향을 바꿔가며 각각 8번씩 측정해야 합니다. 모두 2만4000번이 넘게 측정을 했다는 뜻입니다. 8년이 걸린 대작업이었습니다. 하지만 결코 헛수고가 아니었습니다. 이렇게 측정한 부재 하나하나는 고스란히 컴퓨터 ... ...
- Part 2. 작지만 끈질긴, 가볍지만 정교한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진행된 실험에 따르면 철새인 유럽울새는 캄캄한 어두운 상자 속에서도 동서남북 방향을 정확히 구분한다. 자기장 감지를 방해하는 자석을 비둘기에 부착하면 목적지를 잘못 찾아가기도 한다. 과거에는 불가능하다고 여겨졌던 자각이 실험을 통해 밝혀지고 있는 것이다. 이런 연구는 아직도 ‘진행 ... ...
이전1861871881891901911921931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