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향"(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월호 인양7가지 질문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센터장은 “세월호 침몰 지역에 거대한 와류가 있어, 인양 시 순간적으로 조류의 속도와 방향이 어떻게 바뀔지 예측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북서쪽으로 2.5km 이동한 동거차도쪽 해역은 유속이 침몰지역의 절반이라 인양하기에 좋다. 일단 움직일 수 있을 만큼만 배를 살짝 들어 올린 다음, 얕은 ... ...
- Part 1.[발光하는 테크놀로지] 光의시대 光테크를 보여드립니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강약을 이용해 0과 1 디지털 신호를 보내요. 레이저는 일반적인 빛과 달리 빛의 진행 방향, 파장 등이 가지런한 것이 특징입니다. 이런 레이저를 광섬유에 실어 보내면 1초에 40기가비트(0또는 1의 디지털 신호 400억 개)의 정보를 손실 없이 전송할 수 있습니다. 물론 이건 하나의 파장의 빛을 사용할 ... ...
- 파워의 한국, 정교함의 일본?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이후 성적이 크게 하락했다. 먼저 타구의 질이 눈에 띄게 떨어졌다. 타자가 만든 타구의 방향과 속도 등 전반적인 타구질을 가늠할 수 있는 지표인 인플레이 된 타구타율(BABIP)이 MLB에 진출했을 때 7.4% 떨어졌다. 타석당볼넷 비율도(BB%)도 11.1% 줄어 출루 횟수도 줄었다. 가장 큰 낙폭을 보인 것은 ... ...
- PART 4 의도는 없다, 그러나 인간을 위협한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사이버 범죄를 통해 자원을 획득하거나, 설계 제한 사항을 제거해 자기 스스로를 유리한 방향으로 개선해 반사회적인 행동을 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도덕 등 인간사회의 소중한 가치를 알고리듬으로 넣어준다는 대안이 제시되지만, 구체적인 방법론은 아무것도 없다. 이상욱 한양대 철학과 교수는 ... ...
- Part 1 번개에 대한 진실 BEST 3수학동아 l2015년 07호
- 이해하기 쉽다. 번개는 양전하와 음전하가 섞여 있는 공중에서 공기 저항이 가장 적은 방향으로 전자를 흘려보낸다. 하천은 물길이 최소로 돌아가도록 땅에 새 물길을 낸다. 나무뿌리도 물과 양분을 빨아들이기 위해 단단한 땅속으로 잔뿌리를 낸다. 모두 무언가를 효율적으로 흐르게 하기 위해 길을 ... ...
- 캘리그래피에 담은 수학자의 명언 판곡중학교 김상미 선생님수학동아 l2015년 07호
- ‘물’ 같은 교사가 되고 싶다고 했다. 학생들을 있는 그대로 존중하면서 모두 좋은 방향으로 흐르게 하는 선생님이 바로 물을 닮은 선생님이다. 김 선생님은 다양한 특징이 있는 아이들에게 스며드는 물이 되려면 마음의 샘을 늘 갈고 닦아야 한다고 했다. 글씨를 쓰는 것은 여유로움을 즐기고 ... ...
- 시계 또는 반시계? 노인 또는 젊은 여인? 아리까리한 그림의 비밀수학동아 l2015년 07호
- 있다고 생각하면 시계방향으로 보이지만, 오른발로 서서 돌고 있다고 생각하면 반시계방향으로 돌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소녀의 모습이 검게 실루엣으로만 그려져 어떤 다리가 오른쪽인지 구분할 수 없기 때문이다.중의적인 그림 알아채는 데 약 0.34초지난 2012년 3월 독일의 ... ...
- 18년 만의 슈퍼 엘니뇨 강타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영향을 주는 태풍은 대부분 필리핀 서쪽 해상에서 발달해 중국 연안에 도달한 뒤 방향을 틀어 한반도 쪽으로 진행한다. 국 교수는 “9월에는 한반도에 태풍이 평균적으로 1개가 오는데, 엘니뇨가 발생했던 해에는 9월 태풍이 0개 또는 1개로 아예 오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며 “강력한 태풍이 발생할 ... ...
- 작은 세계와 큰 세계를 잇는 다리, 볼츠만 상수 KB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모여 컵을 이루고 있는 상태의 W보다 매우 크기 때문에 거시적인 세계에서는 컵이 깨지는 방향의 변화만 관찰된다. 엔로피 증가의 법칙이라고도 불리는 열역학 제2 법칙은 결국 “일어날 가능성이 큰 일은 일어나기 마련이다”로 바꿔 부를 수 있다. 어찌보면 당연해 보이는 이 평범한 문장이 ... ...
- 수학이 불러온 생물학 혁명수학동아 l2015년 07호
- 때 시계 반대방향으로 돌아가며, 나선 여덟 개가 들어 있다. 다른 한 묶음은 시계 방향으로 돌아가며, 나선 열세 개가 들어 있다.수학자들은 이것을 피보나치수열로 설명한다. 이탈리아 수학자 레오나르도 피보나치가 발견한 이 규칙은 앞에 있는 두 수의 합이 바로 그 뒤에 나온다. 1, 1, 2, 3, 5, 8, 13, 2 ... ...
이전1831841851861871881891901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