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디엔에이
유전자
스페셜
"
DNA
"(으)로 총 616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 X선의 발견, 20세기 물리학의 시작
2021.08.05
것으로 유명하다. 그러나 이들이 이중나선이라는 결과를 얻는 데에는 X선을 이용해
DNA
의 내부구조를 찍었던 로잘린드 프랭클린이라는 여성 과학자의 공이 결정적이었다. 결정의 구조를 갖는 구조물에 X선을 투사하면 결정을 이루는 격자들 때문에 X선이 회절하게 되는데 이 결과를 이용하면 결정의 ... ...
[올림픽의 과학]약물은 옛말…걸리지 않는 도핑이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30
극대화를 꾀해 지구력을 높이는 수혈 도핑도 잡아낸다. 신체 역량과 관련된
DNA
를 유전자 사이에끼워 넣는, 일명 ‘유전자 가위’ 기술이 발전하면서 이론적으로 유전자 도핑의 가능성도 제기된다. 가령 지구력과 순발력에 관여하는 '앤지오텐신 변환 효소(ACE)’ 유전자를 선수 유전자에 집어넣어 ... ...
캐나다서 8억9000만년 전 해면동물 흔적 발견…最古 화석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
2021.07.29
제공 이번 화석 발견은 동물의 기원을 밝힐 새로운 증거가 됐다. 과학자들은 유전자(
DNA
)의 진화에 걸리는 시간을 토대로 동물 발생 시기를 역추적하는 분자시계 분석을 통해 동물의 기원을 찾아 왔다. 이를 토대로 예측되는 동물의 발생 연대는 8~10억 년 전이다. 그러나 이를 뒷받침할 물적 증거가 ... ...
자가검사키트 허가 앞두고 의료계 왜 취소 요구할까
2021.07.22
검사자의 비강 깊은 곳에 면봉을 넣어 세포를 긁어낸 뒤 유전물질(RNA)을 증폭시키고
DNA
로 합성해 이 중 코로나19의 특징적인 유전자가 있는지 알아내는 원리다. 유전물질을 증폭하는 과정이 있어 결과를 얻기까지 최소 6시간이 걸린다. 민감도 99% 이상으로 매우 정확하다. 병원 응급실이나 ... ...
[과학게시판] 과기정통부 ‘
DNA
+드론 챌린지’ 대회 개최
동아사이언스
l
2021.07.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국내 드론서비스 산업에 활력을 제공할 ‘
DNA
+드론 챌린지’ 대회를 21일부터 개최한다고 밝혔다. 드론에 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
DNA
) 등 첨단 정보통신기술(ICT) 활용 고도화 및 새로운 드론 서비스 아이디어를 발굴하는 대회다. 지정공모, 자유공모, 아이디어 공모 등 ... ...
'바이러스 여름에 힘 못쓴다' 정설 깨뜨린 코로나19 전파력
동아사이언스
l
2021.07.20
환경에서는 잘 살아남지 못한다고 봐왔다. 바이러스는 단백질 껍데기나 인지질 막 안에
DNA
이나 RNA 같은 유전물질을 품고 있는 구조로, 기온과 습도가 높으면 그만큼 변질될 가능성이 크다. 그래서 감기와 독감이 여름보다는 겨울에 많이 유행한다. 하지만 코로나19는 지난해 여름, 특히 폭염을 ... ...
[카드뉴스]인류는 우유 마시는 어른 되기 위해 진화 중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7.20
시기를 연구했습니다. 유럽에서 낙농업이 정착되기 이전 신석기 시대 인골에서 고
DNA
를 채취해 분석한 결과, 락타아제 돌연변이는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유럽에서 이 돌연변이가 본격적으로 증가한 시점은 낙농업이 시작된 이후가 됩니다. 결국 락타아제 돌연변이는 목축업과 낙농업 때문에 ... ...
코로나19 재확산은 이미 예고됐다...미 과학자 "변이 추적 늑장 대처"
동아사이언스
l
2021.07.16
의미다. 코로나19 바이러스와 같은 RNA 바이러스는 복제할 때마다 돌연변이를 일으킨다.
DNA
바이러스와 달리 복제과정에서 생긴 오류를 수정하는 기전이 없다. 필연적으로 복제 때 변이가 일어나는 것이다. 과학자들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경우 30킬로베이스(kb)로 염기 3만 개가 연결돼 있어 한 번 ... ...
RNA 바이러스 표적 초고감도로 검출…"코로나19 조기진단 기여"
연합뉴스
l
2021.07.15
(RT-PCR) 기술이 쓰인다. 바이러스 내부 유전물질인 RNA를 상보적
DNA
로 역전사한 뒤
DNA
의 짧은 조각인 '프라이머'로 유전자를 증폭시켜 표적을 검출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정확도는 높지만, 바이러스 검출을 위해 온도를 올렸다 내리는 과정에 시간이 오래 걸리고, 대형 장비를 갖춘 병원 등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데니소바인은 한반도에도 살았을까
2021.07.13
없다는 것이다. 참고로 2010년 데니소바인 게놈 데이터는 콩알만 한 손가락뼈에서 추출한
DNA
에서 얻은 것이다. 고인류학은 고게놈학 이전과 이후로 나뉠 정도로 게놈 정보는 고인류학을 혁신시켰다. 그리고 요즘은 화석의 실체를 밝힐 때 형태의 차이를 지나치게 강조하는 것에 대해 조심하고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