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디엔에이
유전자
스페셜
"
DNA
"(으)로 총 618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이자 CEO "코로나 백신 '내성 변이' 나올 것"…실제 가능성은?
연합뉴스
l
2021.08.25
게 불가능하다는 점이다. 변이는 바이러스나 세균이 분열을 통해 증식할 때 유전물질(
DNA
·RNA)이 복제되는 과정에서 일부 염기가 삭제되거나 추가되고 염기서열이 바뀌면서 발생한다. 변이는 무작위로 일어나기 때문에 변이 발생 위험도 유전물질 복제 횟수가 많아질수록 증가한다. 이 때문에 ... ...
세계 최초로 긴급 승인된 印 코로나19
DNA
백신...주삿바늘 없애고 효능 66.6%
동아사이언스
l
2021.08.24
인도 정부가 21일(현지시간) 세계 최초로 긴급 사용 승인한 코로나19
DNA
백신인 자이코브디. 사람을 대상으로 한
DNA
백신으로도 최초다. 인도 제약사 자이더스 캐딜라가 ... 표적으로 삼아 예방 효과를 높이고자 했다. 이외에도 캐나다와 호주, 일본 등에서 코로나19
DNA
백신을 개발하고 있다 ... ...
34년전 프레온가스 퇴출 결정이 기후변화 대응시간 벌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23
막는다. 식물도 사람과 마찬가지로 유해 자외선에 장시간 노출되면 단백질과 세포의
DNA
가 손상돼 성장이 멈추고 생명을 잃는다. 식물들은 광합성 작용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식물 성장에 필요한 에너지를 생산한다. 오존층이 유지돼야 식물들이 잘 자라고 대기 중 이산화탄소도 잘 ... ...
[표지로 읽는 과학] 폐경 늦추는 유전자 변이
동아사이언스
l
2021.08.21
정보와 대조해 검증했다. 그 결과 폐경과 관련된 유전자 대부분은 손상된 난모세포
DNA
를 복구하거나 복구가 안될 경우 난모세포를 파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적인 게 ‘CHEK2’ 유전자다. 이 유전자는 손상된 난모세포가 스스로 체내에서 파괴되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생쥐를 대상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식물 유래 코로나19 백신이 온다
2021.08.17
되는 단백질(독감바이러스는 HA, 코로나19바이러스는 S단백질)의 유전자 정보를 알면 바로
DNA
조각을 만들어 아그로박테리움에 넣고 이를 식물(담배)에 감염시켜 4~6일 키워 수확해 바이러스유사입자를 정제하면 되기 때문이다. 백신 개발에 성공해 코로나 팬데믹이 얼마 안 남은 것 같다는 연초의 ... ...
스마트 국방 위해 민간 ICT 신기술 적용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17
중인 데이터, 네트워크, AI 등 신기술을 국방 전 분야에 적용한다. 양 부처는 이를 위해 ‘
DNA
기반 스마트 국방전략’을 하반기 중 수립하고 국방 ICT R&D 전용사업 신설도 추진한다. 국방과 민간 분야에 수요가 높은 기술 분야를 발굴해 R&D 전 주기를 양 부처가 공동 관리한다. R&D가 실증을 통해 적용 ... ...
[과학게시판] 디지털성범죄물 유통방지 위한 필터링 기술 지원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8.17
실시한다. 불법촬영물 필터링 소프트웨어(SW)와 공공
DNA
DB는 ‘디지털성범죄등 공공
DNA
DB 기술지원포털’(http://
dna
.kocsc.or.kr)에서 인터넷 사업자들이 무료로 받을 수 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1 인공지능(AI) 그랜드 챌린지 본 대회 참가팀 모집을 17일부터 다음달 16일까지 진행한다고 ... ...
갈수록 임상 어려워지는데…국산 백신 개발 '묘수' 없나
연합뉴스
l
2021.08.15
막바지 혹은 임상 2상 단계에 있는 기업들은 비교임상 방식이 차선책이라고 보고 있다.
DNA
백신을 개발하고 있는 진원생명과학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대조백신으로 하는 비교임상을 염두에 두고 있다. 1회 접종용 코로나19 백신을 개발하고 있는 셀리드는 얀센 백신과 효과를 비교할 ... ...
[표지로 읽는 과학] 액체 분자 하나까지 초고해상 촬영, 전기화학발광의 마술
동아사이언스
l
2021.08.14
물리화학적 현상을 관찰할 수 있는 단분자 분광학 기술을 개척해 단백질 구조 변화나
DNA
전사 등 세포 안을 들여다볼 수 있는 길을 열었다. 이들 덕분에 연구자들은 화학 반응이 일어날 때 세포 같은 아주 작은 분자 하나를 고해상도로 관찰할 수 있게 됐다. 하지만 형광 분자에 고출력 레이저 ... ...
日연구팀, 뇌에 신경난치병 치료약 효율적 전달 기법 첫 개발
연합뉴스
l
2021.08.13
붙어 통과하기 쉬운 콜레스테롤을 결합하는 방법을 찾아냈다. 기존 핵산의약은
DNA
또는 RNA 중 한 가닥이나 RNA 두 가닥으로 구성됐다. 연구팀은 새 방법을 사용한 생쥐 실험에서 정맥주사나 피하주사로도 뇌 안에 약물이 제대로 닿는 것을 확인했다고 한다. 연구팀의 요코타 다카노리 교수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