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파편
단편
토막
새김질
조소
조상
새김
스페셜
"
조각
"(으)로 총 310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회복 뒤와 백신 접종 뒤 재감염 안돼" 영장류 실험서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0.05.22
DNA 백신 6종을 이용해 같은 실험을 했다. 백신은 모두 바이러스 표면의 스파이크 단백질
조각
을 만들도록 설계됐다. 연구팀은 붉은털원숭이 35마리를 준비한 뒤 25마리에는 두 차례에 걸쳐 DNA 백신을 접종하고 10마리에게는 접종하지 않았다. 이어 두 번째 접종 3주 뒤 35마리 모두에게 바이러스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눈이 없어도 볼 수 있을까
2020.05.19
연결되는 식이다. 따라서 시각피질에 카메라 CCD처럼 전극 여러 개가 2차원으로 배열된
조각
을 붙인 뒤 외부 시각 정보를 담은 신호를 보낸다면 시각피질은 이를 해석해 시각 패턴을 재구성해 뭔가를 ‘볼 수 있을’ 것이다. 영국 런던대의 생리학자 자일스 브린들리는 1960년대 최초로 시력을 잃을 ... ...
방역당국 "재양성 환자, 타인 감염시키지 않는다"(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20.05.18
증식은 호흡기 상피세포 내에서 발생해 바이러스가 불활성화된 후에도 바이러스 RNA
조각
이 상피세포 내 존재할 수 있다”고 밝혔다. 코로나19 환자의 바이러스 재검출이 재활성화나 재감염보다는 이미 불활성화된 바이러스의 RNA 검출일 가능성이 높다는 입장을 보였다. ... ...
방역당국 "재양성 환자, 타인 감염시키지 않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18
증식은 호흡기 상피세포 내에서 발생해 바이러스가 불활성화된 후에도 바이러스 RNA
조각
이 상피세포 내 존재할 수 있다”고 밝혔다. 코로나19 환자의 바이러스 재검출이 재활성화나 재감염보다는 이미 불활성화된 바이러스의 RNA 검출일 가능성이 높다는 입장을 보였다. ... ...
"코로나 진단기술로 국내 특허 1호 타이틀 땄어요"
동아사이언스
l
2020.05.15
유전자를 증폭시킨다. 노 책임연구원은 “특정 유전자를 증폭하는 데는 짧은 DNA
조각
인 ‘프라이머’가 쓰이는데 RT-PCR은 2개의 프라이머를 이용하는 반면 RT-LAMP는 4~6개가 쓰인다”며 “RT-LAMP는 온도변화에 필요한 시간이 따로 요구되지 않고 프라이머를 4~6개씩 사용하기 때문에 적은 시료로도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미생물의 발견
2020.05.14
그림으로 그린 것이다. 19장~31장에서는 식물을 다룬다. 이 부분의 하이라이트는 코르크
조각
이었다. 훅은 코르크를 얇게 잘라 현미경으로 들여다보았다. 훅이 본 것은 줄맞춰 빼곡하게 들어서 있는 조그만 방들이었다. 그 모습이 수도원의 작은 방들 또는 벌집의 조그만 구멍들과 비슷해 보였다. ... ...
"노약자와 기저 질환자, 코로나19에 약한 이유 알아냈다"
연합뉴스
l
2020.05.14
필 존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연구팀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한 '퍼즐
조각
맞추기'를 거듭한 끝에, 사스 바이러스의 유전체를 표적으로 삼는 848종의 마이크로 RNA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유전체를 겨냥하는 873개의 마이크로 RNA를 가려냈다. 이 가운데 558종의 마이크로 RNA는 양쪽 모두를 ... ...
현생인류 유럽 진출 예상보다 더 일렀다…4만5000년 전후 생활도구 발굴
동아사이언스
l
2020.05.13
베이초 키로 동굴에서 발굴된 석기다. 1~3, 5~7은 날카롭게 끝을 벼린 돌칼 및 그
조각
이고, 8은 가장 긴 돌칼이다. 4는 뼈로 만든 것과 비슷한 장신구로 사암을 깎아 만들었다. 막스플랑크 진화인류학연구소 제공 유럽 대륙에 현생인류(호모사피엔스)가 처음 도착한 시점이 기존 추정보다 이른 4만5000년 ... ...
WHO “코로나19 재양성 사례, 재감염으로 보기 힘들어”
동아사이언스
l
2020.05.07
증식은 호흡기 상피세포 내에서 발생해 바이러스가 불활성화된 후에도 바이러스 RNA
조각
이 상피세포 내 존재할 수 있다”고 밝혔다. 코로나19 환자의 바이러스 재검출이 재활성화나 재감염보다는 이미 불활성화된 바이러스의 RNA 검출일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다. WHO는 중앙임상위와 같은 입장을 ... ...
[IBS 코로나19 리포트] IBS가 밝혀낸 코로나19 유전자 지도의 의미
2020.04.30
숙주세포 안에서 바이러스 복제를 주도한다. 비구조단백질은 레고블록처럼 16개
조각
으로 나뉘어야 각각의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분할 과정을 억제하면 바이러스 증식도 제한된다. 예컨대, 칼레트라(lopinavir와 ritonavir의 혼합제)는 HIV의 단백질 절단효소에 대한 억제제로 개발됐다.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