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파편
단편
토막
새김질
조소
조상
새김
스페셜
"
조각
"(으)로 총 310건 검색되었습니다.
노벨상위원회가 밝힌 생리의학상 수상자 공적
2020.10.05
호턴 교수는 환자의 혈청을 활용해 미지의 바이러스 단백질을 암호화했고 DNA
조각
을 확인해 이 바이러스가 플라비바이러스(양성 RNA 게놈 병원체) 과에 속한다는 사실을 알아내고, ‘C형 간염 바이러스’으로 명명했다. 찰스 라이스 록펠러대 교수는 C형 간염 바이러스 연구의 마지막 단계로 ... ...
30년전 C형 간염 바이러스 연구자, 코로나19와 싸운다
2020.10.05
바이러스의 백신 후보물질을 개발해 내년 임상시험을 앞두고 있다. 바이러스 단백질
조각
을 만들어 항원으로 인체 내에 주입하는 백신 형태인 ‘재조합 단백질’ 백신으로, 호턴 교수는 이 기술을 이용해 코로나19 바이러스 백신을 개발하고 있다. 마이클 호턴 캐나다 앨버타대 교수. 앨버타대 ... ...
C형 간염 바이러스 발견한 과학자들 노벨생리의학상(재종합)
2020.10.05
예측했다. 호튼 교수는 환자 혈청을 활용해 미지의 바이러스 단백질을 암호화하고 DNA
조각
을 확인했다. 그 결과 새로운 바이러스임을 규명하고 C형 간염 바이러스로 이름 붙였다. 두 사람의 발견으로 C형 간염 바이러스의 존재가 입증됐지만, 바이러스만으로 간염이 유발될 수 있는지는 명확하지 ... ...
노벨생리의학상 만성 간 질환 유발하는 간염과 전쟁 공헌한 바이러스학자들 수상(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20.10.05
호턴 교수는 환자 혈청을 활용해 미지의 바이러스 단백질을 암호화한 단백질의 DNA
조각
을 확인했다. 그 결과 새로운 바이러스임을 규명하고 C형 간염 바이러스로 이름붙였다. 두 사람의 발견으로 C형 간염 바이러스의 존재가 입증됐지만 바이러스만으로 간염이 유발될 수 있는지는 명확하지 ... ...
노벨생리의학상에 C형 간염 바이러스 발견한 바이러스학자 3명 (2보)
동아사이언스
l
2020.10.05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마이클 호턴 교수는 이 바이러스에 감염된 침팬치 혈액에서 RNA
조각
을 찾아내 C형 간염 바이러스의 존재를 밝혔다. 찰스 라이스 교수는 C형 간염 바이러스의 존재만으로도 간염을 유발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 C형 간염 바이러스가 피를 통해 전염될 수 있다는 결론을 ... ...
코로나바이러스 분석장치가 손안으로 들어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5
염기서열은 대부분 중간중간 끊어지고 빠진 불완전한 상태로 해독된다. 이런 ‘
조각
’을 가능한 많이 모아 서로 비교해 가면서 완전한 염기서열로 조합하고 역학이나 의학에 필요한 정보를 얻으려면 고성능 컴퓨터가 필요했다. 기존에는 연구자들이 현장에서 염기서열을 해독한 뒤 그 결과를 ... ...
[백신 업데이트] 코로나 백신 임상 3상 10종…전체 임상 42종
동아사이언스
l
2020.10.04
개발중이다. 재조합단백질은 체내에서 항체를 만들도록 유도하는 항원 단백질
조각
을 직접 제작해 주입하는 방식의 백신이다. 구제역이나 폐렴구균 등 여러 상용화 백신이 나온 안정적인 백신으로 꼽힌다. 국제기구 감염병대비혁신연합(CEPI)이 지원하는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 9개 중 3개가 이 ... ...
오늘 저녁 8시 12분, 통학버스만한 소행성이 다가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4
코더스 CNEOS 센터장은 “이 정도 크기면 대기권에 진입하더라도 대기와 부딪치면서 산산
조각
나 유성우가 될 것”이라며 “2020 SW와 같은 작은 소행성이 지구에 근접해 대기권과 충돌하는 경우는 1~2년에 몇 차례씩 발생하고 있다”고 말했다. 소행성 2020 SW는 지구에 접근하기 전 발견됐지만, ... ...
정말 바이러스를 뜯어고쳐 코로나19 바이러스를 만들 수 있을까
2020.09.17
뜻이다. 지금과 같이 13%의 서열을 바꿔여 하는 상황에서는 어차피 유전체를 작은
조각
으로 합성해서 짜맞추어야 한다. 이 경우에는 제한효소를 사용할 필요도 없이 '깁슨 어셈블리'라는 방법을 사용한다. 제한효소를 쓸 필요도 없는데 왜 굳이 이런 서열을 인위적으로 넣어 뒀다는 것인지 ... ...
“북극해 입구 거의 녹았다” 아라온호의 증언
동아사이언스
l
2020.09.15
조경호 극지연구소 책임연구원은 “해빙이 녹으면서 떨어져나온 수백미터 길이의 얼음
조각
때문에 어느 때보다 항해와 관측에 어려움이 많았다”며 “현장에서 체감한 북극의 변화를 데이터와 연구결과로 보여드리겠다”고 말했다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