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모범
본보기
견본
귀감
극치
이상
모형
스페셜
"
전형
"(으)로 총 210건 검색되었습니다.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3)계산화학의 선구자, 월터 콘
2016.12.15
복잡하게 연결돼 있는 실험실에서 시약이 묻어 얼룩덜룩한 실험복을 입고 있는 모습이
전형
적인 화학자의 이미지다. 그러나 오늘날 화학자 가운데 상당수는 컴퓨터 모니터를 바라보며 시뮬레이션 결과를 기다리는 게 일이다. 1960년대 ‘밀도함수이론(density functional theory)’을 만들어 계산화학이라고 ... ...
표범의 추억
2016.11.08
파리식물원에 자주 들르라고 권했다. 이 유명한 시는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돼 왔는데,
전형
적인 예가 물리적 창살에 갇힌 표범이 무형의 창살(일상, 가족, 직장 등)에 갇힌 인간을 상징한다는 해석이다. 심지어 이 시에서 묘사된 표범이 ‘사로잡힌 지 아주 오래된 상태’라는 동물행동학적 관점에서 ... ...
37억 년 전 지구엔 이미 생물이 번성했다!
2016.09.12
크기의 원뿔 모양의 구조물이 잘 드러난다. 호주 울런공 대학 연구자들은 이런 형태가
전형
적인 스트로마톨라이트일뿐 아니라 원소 조성을 분석한 결과 주변 암석과 차이가 두드러졌다고 보고했다. 37억 년 전 스트로마톨라이트에는 미생물의 존재를 보여주는 미화석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100% ... ...
요거트의 상징 메치니코프 타계 100주기: 선천면역에서 프로바이오틱스까지
2016.07.12
주장했다. 그러면서 대표적인 예로 유산균을 들었다. 즉 유산균 발효 제품에서는
전형
적인 부패를 일으키는 다른 세균들이 잘 자라지 못하는데, 이런 현상이 장속에서도 일어날 것이라는 것이다. 실제 동물을 대상으로 한 실험 결과 그렇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메치니코프는 “똑같은 콜레라균에 ... ...
인류는 언제부터 전쟁을 했을까?
2016.05.02
모자이크처럼 섞여 있는 곳으로 상상했는데 막상 와서 보니 서북쪽은 인구 20만 도시의
전형
적인 모습이고 동남쪽에 유적들이 몰려 있다. 천마총을 비롯해 거대한 고분 20여 기가 있는 대릉원에 와서는 책에서 ‘우리의 뿌리이자 원형의 다른 이름-대릉원에서’라는 에세이를 읽은 뒤 둘러보는 ... ...
꽃처럼 아름다운 눈결정에 담긴 비밀
2016.01.18
설명할 수 있지만 가로축, 즉 온도에 따른 변화는 여전히 미스터리다. 우리가
전형
적인 눈결정으로 생각하는 가지가 많은 육각형 별 형태는 도표에서 보다시피 영하15℃ 부근 습도가 높은 조건에서 만들어진다. 습도가 낮아질수록 육각형의 장식이 단순해지다가 결국에는 작은 육각형 박판 형태가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3)세포의 신호전달체계를 밝힌 세포생물학자 '앨런 홀'
2016.01.03
박사후연구원 생활을 했다. 화학에서 출발해 분자생물학을 연구하게 되는
전형
적인 코스다. 1980년 마흔 살에 런던에 있는 암연구소(ICR)의 소장으로 임명된 분자생물학자 로빈 와이스는 유망한 젊은 과학자들을 영입했는데, 먼저 마셜을 그리고 이듬해 홀을 데려왔다. 1993년 런던대(UCL)로 옮길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6)피임약의 아버지 ‘칼 제라시’
2015.12.26
번역서가 나왔지만 현재 절판된 상태다. 이 책을 읽어보면 제라시는 꽁생원 같은
전형
적인 화학자 이미지와는 180도 다른 삶은 풍운아 같은 삶을 살아온 것 같다. 학술지 ‘네이처’ 2014년 11월 6일자에 제라시의 새로운 자서전 ‘In Retrospect: From the Pill to the Pen’에 대한 서평이 실렸다. 1923년생으로 ... ...
생물권의 암흑물질 박테리오파지를 주목하라
2015.11.02
74의 게놈을 해독했다. 1982년 생어는 1980년 노벨화학상 수상 업적인 다이데옥시법을 써서
전형
적인 달착륙선 모양인 람다파지의 게놈(이중가닥 DNA 염기 48502개)을 해독하는데 성공했다. 파지는 간접적으로도 생명과학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1970년대 박테리아에서 발견된 제한효소는 ... ...
호모 날레디, 고인류학을 비추는 별이 될까
2015.09.14
분류했다. 이번에 남아공에서 호모 날레디가 발굴되면서 남아공 일대에서
전형
적인 오스트랄로피테쿠스(아프리카누스)와 모자이크인 오스트랄로피테쿠스(세디바), 모자이크인 호모(날레디) 화석이 다 발굴된 것이다. 고인류학의 축이 동아프리카에서 다시 남아프리카로 이동한 셈이다. 사실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